Skip to main content
  • Home
  • 대외정책
  • 이재명 대통령, 베트남과 '빅딜’ 시동 “고속철도 협력 물꼬 트나”
이재명 대통령, 베트남과 '빅딜’ 시동 “고속철도 협력 물꼬 트나”
Picture

Member for

9 months 3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하노이~호찌민 고속철 사업
베트남 GDP 14% 규모 추진
韓·中·프랑스 등 경쟁 예고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빈 방한한 또 럼 베트남 당서기장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이재명 대통령이 베트남 또 럼(To Lam)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올해 한-베트남 양국 자유무역협정(FTA) 10주년을 맞아 고속철도, 원전, 방산, 도시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를 낮추려는 정부의 실용외교 구상과도 맞닿아 있어 국내 관련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이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된다.

李 "베트남 원전·철도 참여 희망"

11일 이재명 대통령은 10~13일 나흘 일정으로 국빈 방한한 럼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하고 ‘한·베트남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를 위한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이번 회담에서 양국 정상이 주목한 분야는 고속철도, 원전, 방산, 신도시 개발 분야다. 베트남은 그간 전력 공급 부족 등으로 한국의 원전 등의 도입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 산업은 규모만 수십조원 규모일 뿐 아니라 원전 도입 이후에도 도입국으로부터 기술을 의존해야 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또 고속철도, 신도시 개발 등 한국의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양국이 협력을 증대한다는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공동언론발표에서 “저는 베트남의 신규 원전 건설사업과 북남 고속철도 건설 사업 등 대형 국책 사업이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현대화된 교통·물류 체계 구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며 “우리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협력 사례가 도출되길 기대한다는 점을 말씀드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 서기장님은 한국 기업의 뛰어난 경쟁력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서, 한국의 참여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베트남 북남 고속철도 주요 노선도/사진=베트남 정부 홈페이지

북남 고속철도, ‘국가 변화시키는 상징적 프로젝트’

베트남 정부가 추진하는 북남 고속철도 사업은 하노이의 응옥호이역에서 호찌민시 투티엠역까지 총 1,541㎞ 길이를 잇는 고속철도 노선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베트남 정부가 추산한 사업비는 총 1,713조 동(약 90조원)이며 이를 100% 국가 예산으로 조달해 2035년 남북 고속철도를 완공한다는 계획이다. 완공 시 설계속도 350㎞/h의 여객용 고속열차가 운행되게 되는데, 하노이에서 호찌민까지 5시간 30분 만에 갈 수 있다. 현재 ‘통낫열차’를 이용하면 30시간 넘게 걸린다는 점에서 혁명적 변화로 평가된다.

븍님 고속철도 사업은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가 강조하는 ‘인프라 주도 성장’의 핵심 사업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직후부터 베트남 정부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호찌민의 새 관문이 될 ‘롱탄 신공항’ 건설사업, 베트남 남북부를 잇는 초고압(500kV) 송전선 구축 사업(꽝짝-포노이) 등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1,290㎞인 국도망을 2030년까지 5,000㎞로 확장한다는 계획, 160억 달러(약 22조원)를 들여 2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한다는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이 대규모 인프라 건설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베트남 정부가 잡은 ‘2045년 1인당 2만 달러 이상 고소득국가 진입’이란 목표 달성(2024년의 1인당 GDP는 4,700달러)을 위해선 경제의 레벨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는 그 자체로 GDP를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는 만큼 공급망 개선, 제조업 부가가치 향상, 투자 유치 등이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어질 것이라 보는 것이다. 이는 2000년대 중국이 펼쳤던 경제성장 모델과 동일하다.

하지만 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베트남이 가진 건 전무하다. 고속철도와 관련한 기술도, 경험도, 인력도 없는 데다 철도, 차량, 신호 기술, 운영 솔루션 등 모든 것을 제로에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해외 기업과의 파트너십은 필수다. 대신 베트남 정부는 제휴를 맺을 때 기술 이전을 요구해서 고속철도 기술을 내재화하겠단 계획이다.

프랑스·중국과 삼파전

베트남 정부가 고속철도 프로젝트에 지원을 요청한 국가는 우리나라 만이 아니다. 해당 사업엔 현재 중국, 프랑스 등 기업들도 수주를 노리고 있다. 이를 위해 프랑스는 지난 4월 21일 베트남을 방문했으며, 중국은 같은 달 25일 쩐 홍 민 베트남 건설부 장관을 비롯한 베트남 인사들을 초청, 설명회를 개최해 수주전이 한껏 달아오른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수주 결과가 설계·용역 업체를 선정하는 올해 하반기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주요 노선은 4개로, 현재 베트남 북부의 라오까이-하노이-하이퐁 노선은 중국이 맡기로 잠정 결정됐다.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은 "해당 노선은 중국이 이미 수주를 한 상태지만 고속철도가 아닌 준고속철도(시속 150㎞)며 사실상 지선에 가까워 경제성이 110억 달러(약 15조3,000억원)로 낮다"면서 "진짜 본 게임은 앞으로 발주되는 나머지 세 노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베트남 정부는 한 국가가 전담하기보다는 다수의 국가가 나눠 수주하길 내심 기대하고 있다"며 "특히 자본력을 갖춘 중국에 대해 경계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종합적인 기술력에서 가장 앞선 한국의 수주 가능성이 꽤 높은 게 사실"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현재로선 고속철 차량 기술에서 앞선 중국이 가장 큰 경쟁 상대지만, 베트남 정부가 인접 국가인 캄보디아, 라오스를 비롯해 중국의 인프라 침투로 인해 경제 종속화가 돼버린 국가들을 '반면교사' 삼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우리 철도·건설 업계에는 잭팟을 터뜨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것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철도 노선 외에도 주변 토지·인프라 개발·민관합작사업(PPP) 등 사기회가 무궁무진하다"며 "실제 사업성은 10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3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