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Tech News
All News









박창진
넷플릭스에 이어 유튜브까지 수익성 개선을 위해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을 유도한다. 유튜브가 프리미엄 멤버십이 아닌 광고 차단 앱 등을 활용해 광고 없이 유튜브를 이용하는 시청자들에 대한 제재를 가하는 테스트에 나선 것이다. 유튜브가 넷플릭스와 함께 수익성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었던 건 유튜브의 시장 장악력이 그만큼 뛰어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모바일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그해 유튜브 앱 MAU(월간활성이용자)는 4,183만 명에 달했다. 한국 인구 5,163만 명 중 81%가 사용하는 셈이다. 다만 국내 OTT 업체들은 넷플릭스, 유튜브와 같은 행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고객 '풀'이 그만큼 좁기 때문이다.
Read More










박창진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 인위적 개입 보도와 관련해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해 실태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네이버의 전기통신사업법 규정 위반 여부를 집중 점검하고 네이버를 시작으로 향후 미디어 시장을 왜곡하는 포털 등 부가통신사업자의 위법 행위를 엄단할 계획이다. 네이버 측은 특별히 잘못한 건 없다는 입장이다. 알고리즘이 형성되는 그대로를 보여줄 뿐 조작한 게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이와 별개로 네이버는 알고리즘 편향성 문제 해결엔 적극적으로 나서겠단 방침이다. 정치적 이슈를 최대한 피해가기 위함인 것으로 보인다.
Read MorePagination
전문가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