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못난이 농산물' 정기배송 서비스 어글리어스가 19억원가량의 프리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 고물가 상황에 못난이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며 어글리어스의 성장세에도 청신호가 들어왔다. 다만 농가 유통 구조의 한계 등 이유로 잉여 농산물을 제대로 수익화하지 못해 폐기되는 농산물이 적지 않은 형국이다. 폐기 농산물은 환경문제와 관련이 깊은 만큼, 정부 차원에서 유통 관리에 대한 교통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 11일 미세조류인 ‘클로렐라’를 활용해 폐배터리에서 리튬을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한 그린미네랄이 50억원 규모의 시리즈A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브릿지 투자에는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GS벤처스, 대교 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캐피탈, 캐피탈원 주식회사 등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물운송 플랫폼 스타트업 센디가 6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KDB산업은행이 주도한 이번 투자는 BNK벤처투자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기존 투자자인 신한자산운용이 후속 투자를 진행했다. 이번 투자로 지금까지 센디의 총 누적 투자액은 약 175억원 수준에 이른다.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1년 4개월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다만 지난달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어든 영향으로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다. 하반기에도 세계 경제와 교역은 제한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지난해 이어 올해에도 무역적자가 이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주요 경제단체들이 인력 수급 해결책으로 외국인 고용 확대를 요구하고 나섰다. 현재 우리나라의 인력난 문제는 심각한 수준이다.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세대 교체에 따른 직업관의 변화, 교육체제의 한계, 현직 종사자의 이직, 일자리 불안정성 등 여러 복합적인 이유가 중첩되며 인력난은 점차 가중되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산업계는 외국인 근로자 도입을 확대하고 있으나, 인력난은 여전한 상태다.
퍼스널모빌리티 플랫폼 '더스윙'이 타다(VCNC)의 지분 60%를 240억원가량에 인수한다. 타다 인수를 통해 자사를 종합 모빌리티 기업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카카오 모빌리티조차 수익성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더스윙이 타다를 인수한다 한들 제대로 된 수익 창출을 해낼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