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소비자물가 상승률 3개월 연속 3%대 상승, “물가 목표치 2%, 2025년은 돼야”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한세호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세상에 알려야 할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정보는 물론 재미와 인사이트까지 골고루 갖춘 균형 잡힌 기사로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10월 소비자물가 3.8% 상승으로 7개월 만에 최고치, 농수산물 가격 급등 여파
중동 분쟁에 따른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변동, 연말까지 물가 상승세 지속될 우려
주요 예측기관들 "국내 ‘물가목표 2% 도달’ 시점, 2025년 상반기 중으로 전망"
10월 소비자물가동향/출처=통계청

10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8% 오르면서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예년보다 석유류 가격의 하락세는 이어졌지만 사과와 토마토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한 영향이 컸다. 국제유가 상승이 국내에 미치는 시차가 2~3주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이-팔 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세는 다음 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 재확산됨에 따라 한국은행과 글로벌 투자은행(IB) 등 주요 예측기관들은 2025년 상반기 중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계청, '2023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37로 전년 동기 대비 3.8% 상승했다. 올해 3월까지 4%대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부터 3%대로 내려왔고 7월(2.3%) 저점을 기록한 이후 최근 3개월 연속 3%대 오름세다.

에너지와 식료품 등 가격 변동이 큰 품목을 제외한 근원 물가 지표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10월 말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의 상승률은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3.2%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5월 3.4%를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확대 폭을 키운 주범은 농축수산물이었다. 농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7.3% 오르며 2021년 14.9% 상승한 이래 2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같은 기간 농산물 가격이 13.5% 급증한 가운데 사과(72.4%)와 토마토(22.8%), 귤(16.2%), 쌀(19.1%), 파(24.6%) 등도 크게 올랐다. 생선·채소·과실 등 품목을 조사하는 신선식품지수도 지난해 9월(12.8%) 이후 최대치인 12.1%나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4.6% 오르면서 지난 2월(5.5%) 이후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자주 구매하는 품목과 지출 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된 지수로, 통상 체감물가로 쓰인다.

‘석유류 물가’ 하락폭 둔화세, 중동 전쟁 여파 다음 달 물가 지표에 반영될 전망

최근 3개월 소비자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석유류 물가는 1년 전보다 1.3% 하락했으나 전달과 비교하면 오히려 1.4% 올랐다. 여전히 하락 추세에 있지만, 하락폭은 점차 둔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7월 이후 중동 산유국들의 감산 소식 등으로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석유류 가격 하락세가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6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는 자발적 감산 기한을 내년 말까지 유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도 이에 따라 당시 100만bpd 감산을 약속했다.

국제유가 상승이 국내에 미치는 시차가 2~3주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본격적으로 다음 달 소비자 물가에 이-팔 전쟁 등 중동 사태가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부터 고물가 부담 완화책을 내놓고 있으나, 물가 상승을 주도할 석유류와 원자재 등의 가격이 정부가 직접 제어할 수 없는 외부 요인인 탓에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지난달 내놓은 물가 정책이 농축산물 분야에 국한된 점도 물가 관련 부정적 전망이 지배적인 이유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민생·물가안정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배추 집중 공급과 천일염 1,000톤 50% 할인 제공, 망고와 탈지분유 할당관세 추진 등의 대책을 제시한 바 있다.

출처=트레이딩이코노믹스

‘중동 전쟁 확산’ 등 대외변수에 국내 물가 목표 도달 시점 미뤄져

현재 정부와 주요 금융기관들은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0%에 수렴하는 시기를 2025년 이후로 내다보고 있다. 중동 사태가 주변국으로 확장될 경우 국제유가 급등이 예상되는 만큼 이보다 더 늦춰질 가능성도 작지 않다.

먼저 글로벌 IB 등 주요 예측기관들은 그 시기를 2025년 상반기로 전망했다. 지난달 30일 한은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주요국 디스인플레이션 현황 및 평가’ 보고서를 통해 “주요 예측기관들이 물가목표 2% 도달 시점을 미국은 2026년경, 유로 지역은 2025년 하반기, 한국은 2025년 상반기 중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이 미국이나 유럽보다는 빨리 물가 목표 수준에 도달하겠지만, 여전히 1년 이상 고물가 상황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한은도 이에 동의하는 분위기다. 이창용 총재는 지난달 초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내년 말에 물가가 목표치인 2%대로 수렴할 것이라고 발언했지만, 최근 전망을 수정했다. 그는 지난달 19일 금통위 통화정책 회의에서 “최근 유가·환율 상승으로 헤드라인 물가 충격뿐만 아니라 이차 파급효과로 디스인플레이션 과정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수렴하는 시기도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문제는 물가가 목표치에 수렴하는 시기가 뒤로 밀릴수록 성장이 둔화되는 만큼, 경기침체를 피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국내 금융투자 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물가목표 수렴 시기가 1년 이상 차이 나는 점도 금리 인하 시점의 불확실성이 높은 이유"라며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의 전환 시점도 늦춰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고금리가 장기화될 경우 국내 경제 성장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한세호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세상에 알려야 할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정보는 물론 재미와 인사이트까지 골고루 갖춘 균형 잡힌 기사로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