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기타정부정책
  • 다음 달 11일부터 우유 원유가격 협상 개시, 우유 가격 인상 가능성은?
다음 달 11일부터 우유 원유가격 협상 개시, 우유 가격 인상 가능성은?
Picture

Member for

9 months 2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낙농진흥회, 소위원회 열어 원유가격 인상 논의
인상 범위는 생산비 반영한 리터당 0~26원 예상
농식품부 "가격 동결하거나 최소 수준 인상 중재"
Bottles of milk in shopping trolley in supermarket aisle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낙농가와 유업체들이 우유 원유 가격을 새로 정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한다. 원유 가격이 오르면 빵과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 가격도 함께 오른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진다. 이에 정부는 엄중한 물가 상황을 감안해 생산자와 유업체들이 원유 기본 가격을 동결하거나 최소 수준에서 인상하도록 중재할 계획이다.

생산비 4.6% 올라 우유 가격 인상에 반영 가능성

3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진흥회는 다음 달 11일 소위원회를 열어 원유 가격을 논의하기로 했다. 낙농가와 유업계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는 한 달간 가격 협상을 진행하고 협상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그동안 각 유업체는 원유 가격을 개별적으로 정할 수 있지만 관행적으로 낙농진흥회가 결정한 원유 기본 가격을 준용해 왔다. 소위원회가 올해 가격을 정하면 낙농진흥회 이사회 의결을 거쳐 오는 8월 1일부터 인상분이 반영된다.

우유 생산비는 원유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난해 우유 생산비는 전년 대비 4.6% 오른 리터(L)당 약 1,003원이다. 농식품부는 생산비 상승분에 지난해 음용유(마시는 우유) 사용량이 전년 대비 2% 감소한 상황을 감안해 생산비 상승분 리터당 44.14원의 0∼60% 수준인 리터 당 0∼26원 범위에서 가격 인상을 진행하도록 했다.

올해 협상에서는 2025∼2026년 유업체가 구매할 용도별 원유량을 조정하는 논의도 처음 진행된다. 각 업체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음용유 공급이 많은 경우 해당 물량을 줄이고 가공유 물량을 늘릴 수 있다. 조정된 원유량은 내년 1월부터 적용된다. 지난해 음용유 초과량이 5%를 넘어 이번 협상에서 음용유 감축 범위는 9,112∼2만7,337톤(t) 수준에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우유 물가 상승률 9.9%, 14년 만에 최고

원유 가격이 오르면 이를 주재료로 쓰는 유제품 가격도 오르게 된다. 지난해에는 원유 1리터에 69∼104원 범위에서 인상 폭을 논의해 음용유 기준 가격을 리터 당 88원 인상했는데 이에 따라 유제품 전반의 가격이 오르는 '밀크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실제로 지난해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9.9% 오른 118.13을 기록했다. 특히 우유 물가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던 2009년 19.1% 이후 14년 만의 최고였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3.6%와 비교하면 2.8배 수준이다.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발효유, 치즈,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도 기록적인 가격 인상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 유제품은 기록적인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치즈와 아이스크림은 각각 19.5%, 10.8%로 2008년 이후 15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발효유는 12.5%로 1981년 18.4% 이후 42년 만에 가장 높았고, 분유는 6.8%로 2014년 7.15%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다만 올해는 지난해보다 생산비 변동 폭이 크지 않아 지난해와 같은 기록적인 수준의 우유 가격 인상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생산비 변동 폭이 4.6% 수준임을 감안해 원유 가격이 동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외국산 반값 멸균우유 수입은 6년 새 9배 늘어

milk_20240531-2
외국산 멸균우유/사진=11번가

한편 밀크플레이션으로 인한 부담이 커지면서 최근 6년 새 외국산 우유 수입량이 9배나 늘어났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외국산 우유 수입량은 3만1,462톤으로 2017년에 비해 9배나 급증했다. 이 기간 우유 수입량은 해마다 증가했는데 2017년 3,440톤에서 2018년 4,219톤으로 늘었고 2019년에는 1만484톤을 기록하며 1만 톤을 넘어섰다. 이후 2년 만인 2021년 2만3,284톤으로 2만 톤을 넘어선 데 이어 불과 1년 만인 지난해 3만 톤을 넘어선 것이다.

외국산 우유가 약진한 배경은 국내산에 비해 싼 가격이다. 외국산은 멸균 우유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폴란드산의 경우 온라인을 통해 리터당 1,500~1,700원에 구할 수 있다. 이는 국내산 우유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오는 2026년부터 미국과 유럽연합(EU)산 우유의 관세율이 0%가 되는 만큼 외국산 우유 수입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올해 각각 7.2%, 6.8%인 미국과 EU산 우유의 관세율은 매년 순차적으로 인하돼 2026년 0%가 된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2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