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조 쏟는 금호타이어, 유럽 공장 건설 본격 타진 "물류비 절감·불안정성 해소·가치 제고 삼박자 맞춘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유럽 공장 타진하는 금호타이어, '홍해 사태' 불안정성 낮춘다
현지 진출로 매출 상승 노린다, 'MADE IN KOREA' 브랜드 가치 오를 수도
타이어에도 '지속가능성', 유럽 소비자 겨냥한 기업의 성숙한 발걸음
tire_EU_FE_20240318

금호타이어가 1조원 이상을 투입해 2027년 유럽에 첫 공장을 짓는다. 루마니아, 세르비아, 포르투갈, 튀르키예 등 4개국을 대상으로 보조금 규모, 세제 혜택 등 각국이 약속한 인센티브를 검토한 뒤 연내 공장 부지를 선정하겠단 방침이다. 금호타이어는 유럽 현지에 공장을 세우면 브랜드 가치 제고, 물류비 절감 등 연계 효과를 통해 매출 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호타이어, 유럽에 현지 공장 건립

금호타이어 측은 지난 15일 "홍해 사태 등으로 물류비가 늘어난 점 등을 감안해 유럽에 현지 공장을 세우기로 했다"라며 유럽 공장 설립 계획을 알렸다. 금호타이어는 현재 한국, 중국, 미국, 베트남 등 4개국에서 8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지금으로선 유럽에 따로 공장이 없기에 폭스바겐, 푸조 등 유럽 완성차 업체 등에 납품하는 타이어는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을 배로 옮겨야 하는데, 이로 인한 불안정성을 전면 타파하겠다는 게 금호타이어의 목표다. 금호타이어는 "유럽 공장을 연산 1,200만 개 규모로 지은 뒤 메르세데스벤츠 등 프리미엄 업체들도 신규 고객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경영난 여파로 지난 2018년 중국 더블스타에 매각된 금호타이어는 2022년 흑자로 돌아선 데 이어 지난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4,110억원)을 올렸다.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매출(4조414억원)의 23.8%(9,639억원)를 유럽 시장에서 거뒀는데, 이 중 대부분이 교체용 타이어(RE)에서 나왔다. 폭스바겐과 푸조 등에 공급하는 신차용 타이어(OE) 물량은 25%가 채 되지 않는다. 현지에 공장이 없다 보니 유럽 완성차업체를 고정 고객을 끌어들이기가 만만찮았던 탓이다.

그런데 지난해 홍해 사태가 터지면서 상황은 급변했다. 수에즈운하가 막힌 탓에 아프리카 대륙 남단 희망봉을 빙 둘러 가야 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물류비용이 10% 이상 상승했고, 운송 기간도 보름가량 늘었다. 이는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기업 운영에 직타를 입힌 사례가 됐고, 금호타이어의 유럽 공장 계획을 보다 빠르게 진행시킨 촉진제로 작용했다.

적자기업 꼬리표 뗐다, 숙원 사업 드디어 첫발

사실 금호타이어의 유럽 생산기지 건설은 지난 2022년부터 타진돼 온 금호타이어의 숙원 사업이다. 원가 구조 개선을 위해선 유럽 생산기지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당시 정일택 금호타이어 대표는 "유럽 생산 시설은 금호타이어를 더욱 성장하게 만드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물류비 등 급격한 비용 증가를 더 지켜볼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 국내 공장을 비롯해 베트남과 사우디아라비아 등 현지 생산만으로는 유럽 시장을 대응하는 데 한계가 뚜렷할 수밖에 없는 만큼 이를 타개하기 위해 유럽 공장을 고려하겠단 취지의 설명이다.

실제 금호타이어의 매출 원가율은 지난 2021년 기준 82.3%에 달했다. 경쟁사인 한국타이어(72.7%)보다 10%p 높은 수준이다. 무엇보다 운송료가 급증했다. 2020년 1,510억원 선이었던 운송료는 2021년 3,270억원으로 급증했다. 원료 가격 또한 7,753억원에서 1조1,683억원으로 50%가량 늘었다. 해외 생산기지 부족이 물류비와 원료 가격 급등에 따른 변수로 이어진 것이다. 다만 당시까지만 해도 금호타이어가 신규 투자에 나서는 건 상당히 어려웠다. 적자기업의 꼬리표를 달고 있던 탓이다. 올해 드디어 숙원 사업을 진행하고 나선 건 적자 꼬리표를 떼고 흑자로 돌아선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Kumho_Tire_MOU_20240318
정일택 금호타이어 대표(왼쪽)와 말터 볼파르트 신토스 합성고무 부문 연구소장(오른쪽)이 2023년 11월 30일 지속가능 원재료 공동개발 MOU를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금호타이어

노리는 건 브랜드 가치 제고? 매출 올릴 금호타이어의 전략은

유럽 생산기지가 실제 건립되면 금호타이어의 매출은 상당 부분 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퓨처마켓인사이트에 따르면 유럽 타이어 시장 규모는 2033년 1,087억 달러(약 144조7,884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684억 달러(약 91조1,088억원)에서 연평균 4.8% 성장하는 셈이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현지 생산과 납품이 이뤄지면 시장 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무엇보다 물류비를 절감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MAEA IN KOREA'의 브랜드 가치 제고를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업계에 따르면 국산 타이어 품질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속한다. 예컨대 프랑스의 미셸린 타이어 품질을 100이라 했을 때 금호타이어의 품질은 객관적으로 90~95 수준이다. 그러나 정작 값어치는 미셸린의 60~70%가량에 불과하다. 값싸고 품질 좋은 제품이라 해도 자신이 아는 브랜드만을 고집하는 소비자 보수성에 의해 시장 진입이 어려운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 생산기지가 현실화하면 금호타이어도 출고 때부터 자동차에 장착되는 타이어(OE) 시장에 진출을 꾀할 수 있게 된다. OE시장 특유의 재고 및 물류비 부담을 현지 생산기지 건설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OE용 타이어는 RE타이어 대비 가격이 60%에 불과하지만, 유명 자동차에 자동 장착돼 출고되면 저절로 브랜드와 품질의 이미지가 상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지 시장에 따르면 유럽 소비자들은 여전히 원산지 표기가 'KOREA'로 돼 있으면 삼류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런 만큼 유럽 생산기지를 통해 한국산이 아닌 유럽산 제품으로서 유럽 소비자에 접근하면 상대적으로 상품경쟁력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이는 금호타이어가 노리는 지점 중 하나기도 하다. 아울러 '지속가능성'을 제고하려는 시도를 함께함으로써 유럽 소비자의 니즈에 판을 맞추는 노력도 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말께 유럽 석유화학 그룹 신토스와 '지속 가능한 타이어 원재료 공동개발을 위한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지속가능 원재료를 80% 적용한 타이어를 직접 개발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유럽을 향하는 금호타이어의 성숙한 한 걸음, 한 걸음이 시장의 기대를 더하는 모양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박창진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