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달러 패권 지키고 나선 트럼프 “관세 100% 부과”, BRICS에 엄포
Picture

Member for

2 months 4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트럼프 “탈달러 시도 방관하지 않겠다”
위안화 국제화 서두르는 중국 정부
미·중 갈등 ‘관세→통화’ 전선 확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신흥경제국 협의체 브릭스(BRICS)를 향해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브릭스 국가들이 달러 패권에 도전할 경우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압박이다. 중국은 미국이 높은 관세로 무역 문턱을 높이는 기회를 틈타 위안화 점유율을 높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달러 대체할 다른 통화 용납 안 해”

1일(현지 시각)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전날 소셜미디어를 통해 “브릭스 국가들이 달러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는 것을 미국이 방관하며 지켜보는 시대는 끝났다”며 “이들 국가는 새로운 통화를 만들지도, 강력한 미국 달러를 대체할 다른 통화를 지원하지도 않겠다는 약속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 않으면 100% 관세를 물게 될 것이며, 미국이라는 훌륭한 시장에서 판매할 기회를 영영 잃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브릭스를 향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은 기축통화로서의 달러 패권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그는 미국의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약달러를 선호한다면서도 달러 패권에 대한 도전은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줄곧 강조해 왔다. 대선 캠페인 기간에는 달러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들에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구상을 밝히기도 했다.

브라질(Brazil), 러시아(Russia), 인도(India), 중국(China),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 등으로 이뤄진 브릭스는그간 넓은 면적과 인구 규모를 앞세워 글로벌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 지난해 기준 브릭스 5개국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33조1,000억 달러(약 4경6,500조원)로 전 세계 GDP의 약 30%에 달했다. 이들 국가는 과거와 같이 각국이 달러에만 의존할 경우 환율 변동이나 미국 경제 상황, 미국 정부의 통제 등에 휘둘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왔다.

이에 브릭스는 역내 통화 활용을 늘리고 회원국 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 더해 올해는 이집트, 에티오피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국이 브릭스에 추가 합류하기도 했다. 달러 이외 통화로 눈을 돌리는 국가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SWIFT 배제된 러시아, 달러 대안 필요성 강조

브릭스의 탈달러화 움직임은 지난 10월 러시아 연방 타타르스탄공화국 카잔에서 열린 제16회 브릭스 정상회담에서 다시 한번 가시화했다.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달러가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고 비판하며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서 배제되는 등 달러 거래가 제한된 상태다.

이에 러시아는 중국과 지난해 8월부터 석유, 가스, 농산물 등 주요 원자재 거래를 현지 통화로 전환하기로 합의하는 등 적극적으로 손을 잡았다. 이후 같은 해 11월 양국 간 누적 무역액은 2,181억 달러(약 306조5,400억원)에 달했다. 이는 2019년 러시아와 중국이 합의한 2024년 달성 목표 2,000억 달러를 훨씬 앞당겨 달성한 결과다.

이처럼 브릭스 회원국들은 각국의 자국 통화 결제 비율을 늘리기 위해 공동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는 등 다각도로 노력 중이다. 금을 비롯한 달러 외 안전 자산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제재 위험이 없는 자산 비중을 확대해 달러 의존도를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겠다는 취지다. 글로벌 투자은행(IB) ING에 따르면 브릭스 회원국 중앙은행들의 금 보유량이 세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5.2%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22%까지 확대됐다.

중국의 ‘위안화 굴기’ 현재진행형

달러 패권에 가장 먼저 도전장을 던진 나라이자, 최대 위협국은 중국이다.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분쟁이 본격 시작되기 이전인 2009년부터 위안화의 국제화를 시도하고 나섰다. 당시 자국 통화로 무역 결제를 시도하고 나선 중국 정부는 이후 ‘중국형 국제결제시스템(CIPS)’을 도입하면서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발걸음을 서둘렀다. 중국 정부는 이를 통해 △무역 거래비용 감소 △환리스크 축소 △자금 조달 효율성 증대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2022년 12월에는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중국·걸프 아랍국가협력위원회 정상회의’에서 “(장기적으로) 원유 및 천연가스 무역에서 위안화를 사용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또 지난해에는 사우디와 500억 위안(약 9조6,400억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 반다르 알 코라예프(Bandar Al Khorayef)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 장관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과의 원유 대금 결제에도 위안화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며 위안화 국제화에 힘을 실었다.

브라질과는 지난해 3월 양국 무역 및 투자에서 위안화와 헤알화 등 서로의 통화를 사용하기로 합의했으며, 아르헨티나도 중국산 수입 제품 일부를 위안화로 결제하고 있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노력 결과 국제결제 시장에서 위안화 사용 비중은 올 8월 4.74%에 달했다. 2020년 9월까지만 해도 1.97%로 2%에 못 미쳤지만, 4년도 채 안 돼 2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지난해 11월에는 일본 엔화를 제치고 4위로 뛰어오르는 등 급속도로 세를 불리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미국과 중국의 관세 및 무역 전쟁이 트럼프 2기 출범과 함께 통화로까지 전선이 넓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이어져 온 미국 중심의 ‘1극 체제’가 지난 몇 년간 급속히 흔들리고 있다고 보고 제조업·반도체·첨단산업 등 전 분야에서 자국 우선주의 정책을 예고했다. 이를 위해 달러화의 지위를 다시 공고히 다진다는 전략이다. 이렇게 되면 2009년 이후 꾸준히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해 온 중국과의 정면충돌은 불가피하다. 미·중 패권 경쟁이 관세와 무역, 첨단산업 등을 넘어 이제는 통화로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는 배경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4 week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