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먹구름' 낀 한국 경제 성장 전망 한은, IMF, OECD 등 줄줄이 성장 전망치 낮춰 잡아 美는 2025년 '고속 성장' 전망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 비상계엄과 탄핵 등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내수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외 기관 및 국제 신용평가사들 역시 속속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낮추며 비관적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한은 조사국장, 韓 성장 전망치 하향
20일 이지호 한은 조사국장은 블로그에 게재한 ‘1월 금융통화위원회 결정 시 한국은행의 경기 평가’ 게시글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6~1.7%를 기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은이 작년 11월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제시한 전망치(1.9%)를 소폭 밑도는 수준이다.
성장률 하향 조정의 근거로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목됐다. 지난해 12월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경제 주체의 심리가 악화하고 소비, 건설 투자 등 내수가 위축됐다는 분석이다. 이 국장은 이로 인해 작년 4분기 성장률이 작년 11월 전망치(0.5%)를 상당폭 하회하는 0.2% 수준에 머물거나 이를 밑돌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연간 성장률도 작년 11월 전망치(2.2%)를 밑도는 2.0~2.1%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향후 대내외적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 성장률 전망치를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국장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도출할 때) 작년 4분기 말 높아진 정치 불확실성이 올해 1분기까지 지속되다가 2분기부터 점차 해소되면서 경제 심리가 하반기 중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것을 전제했다”며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의 해소 시기와 정부의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 미국 신(新)정부의 경제 정책 전개 방향 등에 따라 다음 달 공개되는 경제 전망에서 성장률을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외 기관 전망치도 '줄하향'
국내외 주요 기관들도 한국의 경제 성장 전망치를 속속 낮춰 잡고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지난 17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0%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10월 전망치(2.2%)와 비교하면 0.2%p 하향 조정된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지난해 12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가 2.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5·9월 전망치(2.2%)보다 0.1%p 낮은 수치다.
국제 신용평가사도 비관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무디스는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2.3%)보다 낮은 2.1%로 낮췄다. 지난 15일 발표한 ‘2025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전망’ 보고서에서는 “경제 활동 교란 장기화나 소비자와 기업 심리 약화는 신용에 부정적일 수 있다”며 한국의 현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전망에도 먹구름이 꼈다. KDI는 지난해 발표한 ‘KDI 경제전망(2024년 하반기)’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가 2.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통상 여건 관련 불확실성의 확대로 인해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성장세가 소폭 꺾일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8일 KDI가 발표한 ‘1월 경제동향’에는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경기 개선이 지연되는 가운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담기기도 했다. KDI가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됐다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지난 2023년 1월 경제동향 이후 2년 만이다.
韓-美 성장 '희비교차'
한국의 경제 성장 전망이 줄줄이 하향 조정되는 반면, 미국의 올해 경제 성장 전망은 눈에 띄게 상향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국우선주의 정책이 미국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은 결과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미국 성장률이 2.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2.2%)에 비해 0.5%p 상향 조정된 수치다. 세계은행(WB)도 17일 발표한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작년 6월 전망치(1.8%) 대비 0.5%p 높은 2.3%로 제시했다.
IMF는 미국 경제의 독보적인 성장 전망을 반영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당초 전망치보다 0.1%p 높은 3.3%로 추정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IMF는 “미국 성장률의 상향 조정이 다른 주요 국가 경제의 하향 조정을 상쇄했다”고 밝혔다.
실제 미국을 제외한 여타 주요국의 경제 성장 전망은 대체적으로 하향 조정되는 추세다. IMF는 올해 유로존의 성장률을 1.2%에서 1.0%로, 캐나다의 성장률을 2.4%에서 2.0%로 낮춰 잡았다. WB도 올해 유로존 성장률 전망치를 1.4%에서 1.0%로 낮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