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9급 공무원 응시율 3년 연속 하락, 처우 개선에도 공무원 매력 떨어져
Picture

Member for

5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올해 9급 공무원 응시율 역대 최저
선발 인원 줄어 경쟁률은 소폭 상승
Z세대 대기업·전문직 선호도 영향

공무원 시험 열기가 한풀 꺾인 가운데,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개채용 필기시험' 응시율이 또다시 최저치를 경신했다. 선발 예정 인원이 줄면서 경쟁률은 소폭 상승했지만 응시율이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낮은 연봉과 과중한 업무, 대기업과 전문직 선호, Z세대의 가치관 변화 등이 실무직·저연차 공무원의 매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정부가 월급 인상 등 처우 개선과 워라밸 확대를 추진하고 있지만, 젊은 층의 관심은 여전히 대기업과 전문직으로 향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9급 공무원 응시율 75.2%, 경쟁률 24.3대 1

7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지난 5일 전국 17개 시도에서 치러진 2025년 국가공무원 9급 공개채용 필기시험 응시자는 10만4,952명으로 실제 시험장에 나온 인원은 7만8,894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올해 응시율은 75.2%로 지난해 75.8%보다 0.3%포인트 낮아졌다. 최근 5년간 응시율 추이를 보면 △2021년 77.7% △2022년 77.1% △2023년 78.5% △2024년 75.8% △2025년 75.2%로 2023년을 기점으로 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경쟁률은 24.3대 1로, 지난해(21.8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는 선발 예정 인원이 줄어든 반면 응시원서 제출 인원은 지난해보다 1,514명(1.5%)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정부는 올해 4,33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최근 5년간 경쟁률은 △2021년 35대 1 △2022년 29.2대 1 △2023년 22.8대 1 △2024년 21.8대 1로 내리막을 이어오다가 올해 반등한 모습이다. 역대 최고 경쟁률은 2011년 기록한 93.1대 1로 지난해까지 매년 경쟁률이 하락했다.

낮은 보수, 과다한 업무에 직업 선호도 떨어져

이처럼 공무원 지원자가 줄어든 배경으로는 학령인구의 감소가 꼽힌다. 실제로 20대 지원자 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2021년 12만1,533명에서 2023년 6만9,083명으로 2년 새 5만2,450명(43.15%)이나 줄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지원자 감소율(38.65%)보다 4.5%포인트 높고, 30대 감소율(32.49%)보다 10.66%포인트 높다. 고교선택과목제 폐지도 영향을 미쳤다. 2022년 선택과목에서 고교과목이 빠지고 전공과목으로 대체돼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이로 인해 당해년도 지원자가 3만2,000명가량 감소했다.

특히 9급 공무원의 경우, 급여가 최저임금 수준인 데다 일은 많고 고되다는 인식이 큰 몫을 했다. 지난해 한국행정연구원이 중앙행정기관·광역자치단체(시도)·기초자치단체(시군구) 공무원 6,0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공직생활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이직 의향이 5점 만점에 평균 3.48점,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은 3.31점을 기록해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꾸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직 기간별로는 재직 기간 6~10년, 직급별로는 하위직인 8~9급의 이직 의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직 의향 이유로는 '낮은 보수가 66%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9급 공무원의 초임(1호봉) 월급은 187만7,000원이었다. 2순위는 '과다한 업무'가 10.5%로 집계됐다. 직무 만족도도 하락했다. 공무원이 업무 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흥미, 열정, 성취감 등을 측정하는 '직무만족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26점으로 전년(3.32점)보다 하락했다. 반면 직무 스트레스는 더욱 커졌다.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는 5점 만점에 2.87점으로 전년(2.88점)보다 소폭 하락했지만, 기초자치단체는 3.00점으로 전년(2.92점) 대비 상승하며 처음으로 3점대를 기록했다.

취준생 10명 중 8명, 공무원 준비할 의향 없어

이에 정부는 공무원 조직의 매력을 높이기 위해 실무직·저연차 공무원의 처우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9급 초임 공무원 월급은 지난해보다 6.6%(12만3,882원) 오른 200만882원으로, 처음으로 200만원을 넘어섰다. 각종 수당을 포함한 9급 초임 보수는 연 3,222만 원으로 월평균 269만 원을 받게 된다. 아울러 9급 초임 월급은 내년 284만 원, 2027년 월 300만 원이 되도록 단계적으로 인상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가족돌봄휴가 확대, 연가 보상비 현실화 등 '워라밸' 정책을 강화했지만, 실질적인 관심 회복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젊은 층에서는 공시 열풍이 한풀 꺾이고 민간 채용이 회복되면서 공직 대신 다른 길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AI매칭 채용콘텐츠 플랫폼 캐치가 Z세대 취준생 1,547명을 대상으로 '공무원 시험 준비 의향'에 관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8%가 '공무원을 준비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공무원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연봉이 낮아서'라는 응답이 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희망 직무가 아니어서 15% △수직적인 분위기 9.4% △반복적인 업무 9%의 순으로 나타났다.

Z세대 취준생이 희망하는 공무원 연봉은 5,000만원(전체 응답자의 25%)'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어 4,000만원(17%), 6,000만원(16%)의 순으로 집계됐다. '연봉이 아무리 높아도 공무원 희망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경우도 13%를 차지했다. 공무원 복지 중 개선을 원하는 부분으로는 △성과급·보너스 상향 39% △승진 기회 확대 33% △워라밸 보장 16% △유연 근무제 돌입 1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 '교육의 기회 제공(12%)', ' 연차·휴가 확대(11%)'라는 응답도 있었다.

Z세대가 취업을 희망하는 곳(복수 응답) 1위는 '대기업(71%)'으로 나타났다. 이어 △ 중견기업 29% △전문직 시험 20% △외국계 기업 19% △공기업·공공기관 16% △중소기업 12% 순이었고 공무원은 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당 조사를 진행한 캐치 측은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했던 과거와 달리 Z세대는 즉각적인 보상을 중시한다"며 "비교적 높은 연봉을 제공하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전문직 시험을 선호하는 것도 이러한 경향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3 week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