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또 ‘유연성’ 내세운 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도 ‘일시 면제’ 시사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폰·PC 이어 이번엔 車 부품 관세 면제 시사 발언
車 25% 관세 부과 중, 엔진 등 부품은 내달 3일 발효
"최대 2만 달러 오른다" 차량 가격 급등 경고 반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도널드 트럼프 인스타그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추가 면제를 시사했다. 앞서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철회 조치를 두고 ‘관세 후퇴’ 논란이 일자 직접 “누구도 봐주지 않겠다(Nobody is getting off the hook)”며 무관용 원칙을 천명했던 것과는 다른 결정이다.

트럼프 “車부품 자국생산 시간 필요”

14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의) 자동차 회사들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을 더 주기 위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시적 면제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백악관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 만나 ‘일시적 관세 면제를 검토하는 특정 물품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나는 자동차 업체 일부를 돕기 위한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자동차 회사에 대해 “그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이곳(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생산을) 전환하고 있다”며 “그러나 그들은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3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 중이다. 다만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3일 이전에 발효하기로 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전방위적인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가 미국인의 필수품인 자동차 가격을 크게 올릴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리서치회사 앤더슨이코노믹스룹에 따르면 자동차에 대한 관세로 일부 고급 수입차 가격은 최대 2만 달러(약 2,800만원)까지 오를 수 있고 소형 세단 등도 2,500~4,500달러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이에 자동차 회사들이 미국으로 공급망을 옮긴다는 약속하에 일부 부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유예해 주는 선택지를 만지작거리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불확실성 확대

앞서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스마트폰, PC,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20개 전자제품도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진은 전날 관세 유예가 한시 조치라고 진화했지만, 하루 만에 유연성을 언급하는 등 앞뒤가 안 맞는 발언과 행보로 시장 혼선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수시로 변경하면서 시장과 기업, 미국의 교역 상대방 모두 관세발(發) 불확실성으로 큰 혼란에 빠졌다. 일단 관세 폭탄을 투하한 뒤 유예, 면제를 주고 다시 관세 재부과를 시사하는 등 정책 변경이 지속되면서 특히 기업들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경영 계획을 수립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글로벌 금융회사 노던 트러스트의 칼 태넌바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소비자, 기업, 시장 신뢰에 가한 피해는 이미 돌이키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강공으로 주식·국채 투매 등 금융시장이 발작을 일으키고, 월가 거물들이 잇달아 경기 침체를 경고하자 관세 정책에서 계속 물러서고 있다. 주먹구구식으로 관세 폭격을 쏟아붓고 다시 거둬들이는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조차 관세 정책의 방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의 최대 경쟁 상대인 중국 역시 보복관세·희토류 수출 금지로 맞불을 놓는 등 관세 압박에 꿈쩍도 하지 않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다급해진 모습이다. 여기에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 우려로 미국 내 여론까지 점차 악화하면서 관세 전쟁을 장기전으로 끌고 가기 어려운 상황이 돼 가고 있다.

내주 美 재무와 무역협상 예정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는 미국 재무부와의 무역 협상을 앞두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14일 “한국과 다음 주 무역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먼저 움직이는 국가가 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보통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하는 사람이 최고의 합의를 하게 된다"고 말했다. 어느 국가가 미국과 가장 먼저 협상을 타결할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는 "그들의 선택"이라고 답했다.

이어 베선트 장관은 상호관세 90일 유예가 끝나기 전에 협상을 타결할 국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의 무역 (협정) 문서가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는 원칙적인 합의를 할 것이며 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완전히 없앨 수도 있냐는 질문에는 “난 나라들에 ‘당신의 최선의 제안을 가져오라’라고 말한다”며 “뭘 들고 왔는지 보고 거기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을 비롯한 일본, 영국, 인도, 호주 등 동맹국들과의 무역 협상이 최우선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관계자를 인용해 베선트 장관이 5개국 관계자들과 연락을 취하고 있다고 전했다. 베선트 장관이 관세율 10% 이상의 국가들과 신속하게 협상하기 시작한 것은 그가 무역에 관한 대통령 고문이자 미국 협상 대표가 된 이후의 일이다. 그는 지난 9일 미국은행연합회(ABA) 행사에서 자기가 무역 협상을 이끌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같은 날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결정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그 내용을 설명하는 등 무역 문제에서 최근 전면에 나서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4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