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좌파 교육' 억압하는 트럼프, 유학생 SNS까지 살펴본다
Picture

Member for

7 months 1 week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美 국무부, 유학생 SNS까지 사전 심사
트럼프, 명령 불복한 하버드에 재정 위협 일삼아
"막내아들 불합격 보복인가" 조롱 의견 확산

트럼프 행정부가 유학생 비자 신규 면접을 전면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향후 모든 유학생 비자 신청자에 대한 소셜미디어(SNS) 심사를 강화하기 위한 사전 조치다. 소위 '좌파 교육'을 향한 트럼프 행정부의 억압이 점차 거세지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사감을 앞세워 대학들을 대상으로 공격적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유학생 거르기' 나선 美

27일(이하 현지시간) 폴리티코, NBC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미 국무부는 전 세계 미국 대사관에 발송한 전문을 통해 “추가적인 유학생(F, M, J비자) 및 교환 방문자 비자 면접 일정을 더는 배정하지 말고, 수일 내에 내려질 후속 지침을 기다리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학생 및 교환 방문자 비자 신청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SNS 심사 지침이 곧 제공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면접이 일시 중단되는 F비자는 미국 대학에 유학하거나 어학연수를 받는 학생이, M비자는 미국에서 직업 훈련을 받는 사람이 취득하는 비자다. J비자는 교환 연구자와 학생 등이 받는다.

NBC는 “트럼프 대통령은 다수 대학이 ‘좌파 이념’에 경도돼 있다고 비판해 왔다"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현재 국무부는 ‘미국을 외국 테러리스트 및 국가 안보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 ‘반유대주의 대응 추가 조치’ 등 앞서 서명된 행정명령에 따라 특정 유학생 및 교환 방문자 비자 신청자를 사기 방지 전담 부서에 회부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SNS 검사를 이미 의무화한 상태다.

확대되는 SNS 심사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질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미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인스타그램, 엑스(X·구 트위터), 틱톡 등 플랫폼에서 신청자의 게시물, 공유 내용, 댓글 등을 검토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폴리티코는 “예컨대, 엑스 계정에 팔레스타인 국기 사진을 게시한 것만으로도 추가 조사를 받을 수 있는지 등 명확한 지침은 없는 상태”라며 “국무부 관계자들도 ‘지침이 지나치게 모호하다’는 불만을 제기해 왔다”고 전했다.

트럼프와 하버드의 이념 갈등

이 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진보 교육 바로잡기' 행보는 유학생뿐 아니라 현지 유력 대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미 정부는 하버드, 컬럼비아, 프린스턴 등 소위 '아이비리그'로 구분되는 명문대가 반(反)이스라엘 정서에 미온적으로 대응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들 대학 프로그램 전반에 녹아 있는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등을 전면 폐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하버드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은 이러한 요구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한다며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대학가의 반발이 커질수록 정부의 압박 역시 점점 거세져 가고 있다. 미 정부는 지난 22일 하버드대의 ‘학생 및 교환 방문자 프로그램’(Student and Exchange Visitor Program·SEVP) 인증을 취소하겠다고 통보했다. 해당 인증이 없는 대학교는 외국인 학생을 받을 수 없다. 이에 하버드대는 법원에 효력 중단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고, 미 메사추세츠주 연방법원은 “정부의 조치가 실행되면 하버드가 회복 불가능한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며 행정 조치 시행을 유예했다.

하버드대의 외국인 학생 유치를 막는 전략이 실패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이름과 출신국 정보를 요구하고 나섰다. 그는 25일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하버드 학생의 3분의 1이 외국인이고 그중에는 미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국가 출신도 있다”며 “우리는 이들이 누구인지 알고 싶지만, (하버드대는) 명단 제출을 꺼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26일에는 “3억 달러(약 4,100억원)의 연방 보조금을 직업 학교에 전환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하버드대에 배정된 연방 지원금을 회수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하버드 때리기'는 사적 복수?

트럼프 행정부와 하버드대의 갈등이 나날이 격화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념을 빌미 삼아 '사적 보복'을 감행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뉴욕포스트, 이코노믹타임스 등에 따르면 최근 SNS 등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막내아들인 배런 트럼프가 하버드대에 지원했다가 합격하지 못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이에 보복하기 위해 아이비리그를 겨냥해 공격적 정책을 펼치고 있다는 주장이 확산하고 있다.

실제로 한 네티즌은 페이스북에 “배런 트럼프를 받아들이지 않은 대학은 하버드, 스탠퍼드, 컬럼비아 등 트럼프가 공격하는 대학들 모두”라는 내용의 글을 올려 많은 이의 공감을 얻었다. 한 엑스 이용자는 "하버드는 배런의 지원서와 불합격 통지서를 공개해야 한다"며 "그래야 트럼프가 왜 하버드를 겨냥하는지 온 세상이 정확히 알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 셸던 화이트하우스 역시 지난 4월 엑스에 “얼마나 많은 트럼프가 하버드대에 떨어졌는지 궁금하다”는 글을 남겼다.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자,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 대변인인 니콜라스 클레멘스는 “배런은 하버드에 지원한 적이 없고, 배런의 대리인이 대신 지원했다는 주장도 완전히 거짓”이라고 밝히며 해명에 나섰다. 배런은 지난해 9월 뉴욕대 스턴경영대학에 입학했다. 그가 대학에 입학할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외신 인터뷰에서 “배런이 많은 대학에 합격했다”며 “아주 똑똑한 아이고 뉴욕대에 있는 훌륭한 학교인 스턴경영대에 간다”고 발언한 바 있다.

Picture

Member for

7 months 1 week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