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임선주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카페 1분기 폐업, 7% 늘어난 1,101곳고물가·내수부진으로 침체에 빠진 외식업계저임금 1만원 시대, 자영업자 부담 더 커져
Cafe 001 TE 20240813
올해 들어 서울에서 폐업한 카페 수가 최다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커피 소비량은 해마다 증가 추세지만 카페를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생존 기로에 놓인 모습이다. 국제 커피원두 가격 상승과 시장 포화, 해외 고급 카페의 국내 진출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우크라이나, 러 영토 20㎞까지 대대적 공세러시아 ‘협박 카드’, 가스 시설도 점령


티빙 가입자 증가·FS 딜리버리 확대 등 힘입어 성장 가속화커머스 사업도 원플랫폼2.0 전략 순항하며 영업이익 견인하반기 실적도 청신호, 분기 손익분기점 돌파 기대 
CJ ENM 001 TE 20240809
CJ ENM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과 미국 스튜디오 피프스시즌(FIFTH SEASON)의 손익 개선 기조를 이어갔다. 티빙은 한국프로야구(KBO) 중계로 유료구독자 수를 끌어올렸고, 피프스시즌은 콘텐츠 제작·유통을 확대했다.
저축은행 79곳 3,000억대 적자, 추정치보다 대폭 축소금감원 "부실채권 비싸게 팔아 저축은행 실적 포장" 지적부실채권 '공동매각'에도 대출 규모 여전, 효과에 물음표
PF localbank reserve FE 202400808
국내 79개 저축은행이 올해 상반기 3,000억원대 적자를 낸 것으로 파악됐다. 부실채권 매각 과정에서 대규모 충당금이 환입된 결과다. 다만 금융당국은 일부 저축은행이 실적을 위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펀드에 부실채권을 비싸게 넘긴 것으로 보고 진상 조사에 나섰다.
SK하이닉스, 첫 미국 공장 건설에 5.2조원 투자미 정부로부터 6,000억원 상당 보조금 수혜 


버라이즌, 5G 서비스 범위 확대 위한 설비투자 추진경쟁사 대비 5G 도달 범위 좁아, 5G 가용성 7.7% 삼성 네트워크 사업부, 버라이즌 수주 확대로 반등 기대
Verizon LEE TE 20240806 001
삼성전자의 주요 고객사 중 한 곳인 북미 최대 이동통신 회사 버라이즌이 5G(5세대 이동통신) 설비투자를 확대하면서 수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현재 버라이즌은 안정적인 실적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인 티모바일, AT&T에 비해 5G 서비스 품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고금리에 대출 원금 및 이자 제때 못갚아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1만3,000건 육박전월比 24%↑·전년比 46%↑11년래 최대치경매시장도 극과 극, 서울-비수도권 간 양극화 심화
data.iros FE 001 20240805 new
대출금을 갚지 못해 임의경매로 넘어간 부동산이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아파트 등 집합건물 임의경매는 13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시장이 활황일 때 담보 대출을 받아 부동산을 매입한 '영끌족'들이 높아진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면서 임의경매 신청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빅4' 회계법인 채용, 2년 새 40%가량 급감CPA 1,250명 합격인데 올해 810명만 채용일감 성장 둔화에 채용 축소, 업계 안팎 '팍팍'
accountant FE 001 20240801
새내기 공인회계사(CPA)들이 올해 ‘역대급’ 취업난을 겪을 전망이다. 인수합병(M&A) 등 투자은행(IB) 관련 딜 규모가 확 줄어든 데다 컨설팅 부문이 침체하자 회계법인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면서다. 기존 회계사가 사모펀드(PEF)업계 등으로 빠져나가는 사례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
소시어스 조성한 5호 펀드에 1,000억 내외 출자 결정그룹 의존도 높은 현대글로비스, 외부 사업 강화 박차인천공항 내 GDC 구축 등 물류영역 항공 확대 주목
HDglovis FE 001 20240801
사진=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가 에어인천이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인수를 위해 조성한 사모펀드(PEF)에 출자자(LP)로 참여한다. 화물사업부 인수가 기존 항공 화물 면허를 보유 중인 항공사로 제약되자 간접적인 방식으로 항공화물 산업에 발을 들이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경기', 대구 제치고 전국 미분양 주택 1위평택‧이천 등 미분양 적체 심화한 영향‘건설’ 손 놓은 건설사 증가, 하반기 전망도 '흐림'
molit unsold home FE 20240801 001
경기도가 대구를 제치고 전국 미분양 주택 수 1위를 기록했다. 미분양 주택이 1만 가구에 육박하면서다. ‘악성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5월보다 30% 이상 늘어났다. 서울·수도권 일부는 아파트 청약 때 수백만 인파가 몰릴 만큼 인기지만 그외 지역 아파트 미분양은 7개월 연속 증가하는 모습이다. 일각에서는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이 확대되는 만큼 부도 건설사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큐텐그룹, 티메프 사태 수습 위해 자금 모집 나서큐익스프레스, 나스닥 상장 영향 불가피 전망구영배 큐텐 대표 “티메프와 무관”, 선 긋기 총력
Qoo10 corporate rehabilitation FE 001 20240731
큐텐이 계열사 티몬·위메프의 정산·환불 지연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펀드레이징에 나선다. 일부 재무적투자자(FI)가 펀딩 참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사태를 수습할 정도의 펀딩이 성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구영배 큐텐 대표가 전날 지분매각 의사를 밝힌 가운데 원매자의 관심을 끌지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농협금융 컨소시엄, 3.3㎡당 3,500만원 제시NH농협리츠운용, 사모 부동산펀드에 담을 예정디타워 인수로 '서대문 농협타운' 큰 그림에 한 발
dtower FE 001 20240730
디타워 돈의문 전경/사진=DL이앤씨
NH금융그룹이 올해 상업용 오피스 대어인 DL본사 사옥 '디타워 돈의문'을 품는다. 서울 종로구 통일로에 자리한 디타워 돈의문은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과도 지하로 연결돼 있어 초역세권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이로써 NH농협금융은 서대문 일대를 'NH금융타운'으로 조성하려는 야심 찬 계획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
온라인에 밀리고 인구 줄어들고, 지방 유통업계 눈물전국서 서울만 10%대 성장률, 지방선 업종 변경 움직임


내수·수출 동반 부진, 2분기 GDP -0.2% '역성장'한은 "기저효과 작용, 경제 망한 것 아니다" 항변


지난해 국내 면세점 매출 13조원, 코로나 이전 대비 반토막유커 가고 싼커 왔지만, 여행 트렌드 변화 제대로 대처 못해


한진, 삼성물산 상대로 공사 지연에 따른 배상금 청구지체 상금 소송가액 156억원, 핵심은 '공사 연장 기간'


6월 중소기업 취업자 증가 폭 둔화대기업 취업 비중도 10%대, 5년 4개월 만에 최소비경제활동인구 증가 및 최저임금 인상 영향
employee PE 001 20240723
자영업자 등 중소기업뿐 아니라 대기업도 취업자 증가 폭이 둔화하는 모습이다. 지난달 대기업 취업자 증가 폭이 5년여 만에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경기 부진 여파로 취업자 증가 현상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에서 지속되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삼성전자, HBM 수요에 맞춰 全 사업장 설비 계획 수정 착수범용 D램 공급 부족 우려 대응, 평택 4공장에 전용 생산라인 구축단기로는 HBM, 장기론 CXL이 '차세대 메모리 사업'의 핵심 축
Samsung Pyeongtaek TE 001 20240722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4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를 공급하기 위한 양산에 돌입했다. HBM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첨단 D램 전초기지에 후공정 라인을 설립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공정위, 영화관 운영 3사 정조준시민단체, 공정위 신고 '담합 의혹' 제기한두 달 간격으로 1만5,000원 일제히 인상
CGV MEGA 002 20240719. 02
공정거래위원회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국내 멀티플렉스 운영 3사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영화 티켓 가격 담합 및 폭리를 저지르고 있다며 시민단체들이 3사를 신고한 데 따른 조치다.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 잡음에 문체부 나서축협 측 ‘FIFA 독립성’ 언급하며 거세게 반발축협 정부 보조금 연 110억 수준, 민낯 들춰지나
news KFA Hong 20240718
홍명보 신임 국가대표팀 감독/사진=프로축구연맹
홍명보 신임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과 관련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정부가 직접 개입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의원은 대한축구협회(축협)에 자료 제출을 요구하며 압박에 나섰고, 문화체육관광부는 축협에 대한 직접 조사를 예고했다. 축협은 정치권의 이런 움직임에 "이런 나라는 없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