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中 파상공세에 범용 D램 가격 하락, 내년 1분기도 먹구름
Picture

Member for

1 month 3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창신메모리 등 중국업체, D램 값 50% 할인 공세
D램 재고 쌓이는데 IT 기기 수요 회복 더뎌
中 생산 라인의 탄력적 전환 불가피

글로벌 D램 가격이 폭락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정보기술(IT) 수요가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메모리 업체들의 저가 공세까지 더해지며 D램 가격 하락세가 심화하는 모양새다.

범용 D램 가격, 4개월째 뚝

10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 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 거래가격은 올해 7월 2.1달러에서 11월 1.35달러로 넉 달 새 35.7% 하락했다. 특히 지난달 가격은 전달보다 20.59% 급락했는데, 이는 올해 들어 가장 큰 낙폭이다. 또 메모리 공급사들의 감산 효과로 D램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하기 직전인 작년 9월의 1.3달러 이후 최저치다.

앞선 반도체 불황에 D램 가격은 2022년 2월 이후 1년 반 정도 하락하다가, 감산 효과와 재고 소진 등에 업황이 회복하면서 작년 10월부터 반등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스마트폰, PC 등 전방 IT 수요 부진이 이어지며 10개월 만인 8월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꺾였다.

D램 가격이 급락한 데는 PC 판매 둔화로 범용 제품 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중국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이 반값 공세에 나선 영향이 컸다.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와 푸젠진화(JHICC)는 DDR4 8Gb D램을 시중 가격의 절반 수준인 0.75~1달러에 팔아치우며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DDR5도 가격 하락 압박

범용 제품뿐 아니라 선단 제품인 DDR5 가격도 하락 압박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PC용 DDR5 16Gb 제품의 평균 고정거래 가격은 3.9달러로 전월의 4.05달러 대비 3.7% 내렸다. 지난 7월의 4.65달러와 비교하면 16.1% 하락한 수치다. CXMT 등의 물량 공세에 대응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 3사가 선단 공정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DDR5 공급 증가 우려가 반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시장조사업체 트렌스포스는 "CXMT가 DDR4 생산 능력을 공격적으로 확장하면서 메모리 3사에 DDR5로의 공정 업그레이드를 가속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공급 증가 압력이 DDR4에서 DDR5로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하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전방 IT 수요가 뚜렷한 개선 조짐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데다 수요 부진 영향에 고객사의 메모리 재고 조정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내년 1분기까지 레거시 D램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中 반도체서 손 뗄 각오 불가피

이에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출구 전략 모색에 한창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이후 컨퍼런스콜에서 탄력적 설비 투자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했다. HBM과 DDR5 등으로의 전환 투자와 연구개발(R&D)·후공정 투자에 집중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특히 생산은 레거시 라인에서의 1b 나노 전환을 가속화해 시장 내 경쟁이 심화하고 있는 구공정 기반 DDR4, LPDDR4의 비중을 줄이기로 했다.

SK하이닉스도 크게 다르지 않다. HBM에서 높은 수익을 내고 있는 SK하이닉스는 “가능한 빨리 DDR4 등에 활용했던 레거시 기술을 선단 공정으로 전환해 수요가 둔화하는 제품의 생산은 줄이고 늘어나는 HBM3E의 생산을 확대하는 데 집중해 수요에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레거시 제품은 재고를 소진하고 생산 규모를 줄이며 대응하겠다는 의미다. SK하이닉스는 올해 1월에도 중국 우시 공장 생산라인의 1a 나노 전환을 통해 DDR5, LPDDR5 등 제품 양산이 가능하도록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전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차세대 메모리 공정 전환과 더불어 중국에서의 사업을 점점 줄여가는 판단 역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레거시 D램이나 낸드플래시는 중국 업체들이 자급자족을 통해 만들고 있어 더이상 수요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첨단 반도체 영역 또한 미국의 통제 탓에 중국에서 제품 생산이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두 트럼프 행정부 2기에는 중국 압박이 더 거세질 수 있어서다. 미국이 최근 수년간 첨단 영역에서 중국 통제를 지속하고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 본다면 현실적으로 중국 사업을 축소하는 것에 대한 전략적인 판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3 week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