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임선주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이창용 한은 총재, 국회 기재위 한은 국정감사 출석이 총재"기준금리 인하 시기 적절, 부동산 시장 고려"


금융위·금감원, 가계대출 축소 총력이달 가계대출 1조원 증가 가능성전세-정책 대출도 DSR 규제 검토
loan_FSS_FE_2041014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하면서 보험·상호금융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는 '풍선 효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도입은 물론, 각 금융사들이 가산금리를 올리는 등 가계대출 축소를 위해 시중은행이 가용 가능한 모든 수단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전영현 부회장, 근본적 체질 개선 강조‘반도체인 신조’ 개편으로 정신 재무장근본 원인은 인재 고갈과 내부 위기 TSMC가 ‘이건희 정신’으로 삼성 뛰어넘어
20240925_samsung_te
삼성전자가 '조직 혁신' 카드를 꺼내 들고 반도체 핵심 먹거리로 떠오른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잡기에 박차를 가한다. 내부 진단을 바탕으로 반도체 산업 내 위기감이 크게 작용하자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CSI300지수 7.1% 폭락, 항셍지수 이틀째 하락美 증시 개장 전 알리바바 등 중국 주식 ADR도 하락전문가들 "지준율 낮춰도 부동산 소생 어려울 것"
CN_stock market_PE_20241010
대규모 부양책으로 들끓던 증시가 한숨 쉬어가는 가운데, 중국 주식의 장기적인 투자 매력은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왔다. 실물 경제 반등이 뒷받침되고 있지 않은 데다 다음 달 있을 미국 대통령 선거라는 큰 산이 있어서다. 특히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중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가 예정돼 있어 수출에 대한 차질이 불가피하다.
노벨물리학상에 'AI 대부' 존 홉필드·제프리 힌튼 공동수상물리학 대표 모형인 '이징 모형'에서 아이디어 차용


"규제 일변도 AI 법안에 업계 우려 확산우버·에어비앤비 사태 재현될 수도업계 "모든 규제 담기보다 유연하게 설계해야"
AI_Act_TE_20241008
지난달 국회 ‘AI 기본법 공청회’에서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AI 기본법을 신속히 제정하겠다고 밝힌 뒤 법안 논의가 구체화되고 있다. 금지된 AI 기술의 규정 여부와 고위험 AI에 대한 규제 범위 등이 쟁점으로 거론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규제 위주의 기본법이 제정될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내수 살리려 대규모 부양책 내놨지만 경제 전망은 빨간불부동산 이어 국채 거품도 터지나, 중국의 일본화 우려중앙은행, 유동성 공급 이어 재정 부문도 동참 예고
Chinese government_economy_FE_20241007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지난달 정책 금리 인하를 단행하는 등 침체된 내수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수요 회복에 대한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당장은 대규모 부양책에 시장이 환호하고 있으나, 사실상 중국 경제가 ‘일본화’(Japanification)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려아연과 MBK·영풍 공개매수가격 83만원, 조건도 동일종료 시점만 달라, 기간 연장으로 ‘치킨게임’ 될 가능성↑


F&F, 2022년 235억원 투자해 ‘빅텐츠’ 인수인수 2년 만에 빅텐츠 매출 89.7% 감소'패션+컨텐츠' 시너지 효과도 미미, F&F엔터에 주력
victents_FE_20241004
빅텐츠가 제작해 방영한 드라마 작품/사진=빅텐츠
의류 브랜드 MLB, 디스커버리 등을 만드는 F&F가 드라마 제작사 빅토리콘텐츠(빅텐츠)를 인수한 지 2년 반 만에 매각했다. 패션 사업과 콘텐츠 사업 간 의미 있는 시너지를 만들어내지 못한 채 사모펀드(PEF)와 다수의 투자조합에 지분을 되팔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논란의 밸류업지수, 증권가도 외면지수 기반 ETF 수익률에 악영향 예상비판 커지자 거래소 "종목 변경 검토"
Value Up_PE_20241002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한국밸류업지수가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높은 종목을 포함하는 등 논란을 낳고 있는 가운데, 지수 구성 종목 일부의 실적 전망치가 하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가는 실적의 함수임을 고려할 때 향후 밸류업지수 종목들의 주가 우상향을 기대하기 어려워 지수 기반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한미사이언스, 3자연합 임시 주총 요구 수용이사회 정원 확대, 신동국·임주현 이사선임 안건 상정


엘리엇, 삼성물산 상대 약정금 청구 소송 제기747억원 약정금에 지연손해금 267억원 요구法 "주식매수대금 일체에 지연손해금 포함 안 돼"
samsungcnt_FE_20240928
삼성물산 전경/사진=삼성물산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이 삼성물산을 상대로 제기한 약정금 청구 소송에서 법원이 삼성물산의 손을 들어줬다. 삼성물산이 엘리엇에 지연이자를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본 것이다.
저축액 1,500만원, 10만원씩 12년→25만원씩 5년다자녀·신혼부부 특공엔 납입액보다 기간·횟수 중요높은 분양가·경쟁률, 전문가 "효과 크지 않을 것"
property_PE_20240927
앞으로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에 월 25만원씩 5년 동안 꼬박꼬박 부을 경우 공공분양주택 당첨선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최대 월 10만원의 납입액으로는 1,500만원의 당첨선을 맞추는 데 12년이 걸렸지만 앞으로는 월 25만원씩 5년이면 가능해지는 것이다.
美 빅컷 이어 中도 유동성 공급 확대중국 경기 부양 기대에 원자재값 상승 랠리경기 침체 우려 여전, 국제유가는 2% 이상↓
pbc_PE_20240926
글로벌 자산시장이 중국발 랠리를 펼치고 있다. ‘원자재 블랙홀’인 중국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내놓자 국제 유가와 경기 바로미터로 통하는 구리 가격이 일제히 치솟고, 금값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이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한 데 이어 또 다른 경제 대국인 중국이 통화정책 완화 패키지를 꺼내 들면서 세계 경제가 연착륙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 결과다.
글로벌 철강·구리 등 원재재 값 반등중국 당국의 대규모 부양책 효과경제 침체에 강력한 정책 지원 제시
SHFE_PE_20240925
지난 1년간 상하이선물거래소 철근 선물 가격 추이/출처=트레이딩이코노믹스
경기 침체로 부진했던 원유·철 등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반등했다. 중국 인민은행의 '유동성 확대 패키지'가 꺼져가던 건설·제조업의 불씨를 되살린 결과라는 평가다.
하이브·SM, 웹툰·애니메이션·게임 출시 속도엔하이픈이 애니로 '다크 문: 달의 제단' 제작아티스트 IP 활용 ‘원소스멀티유즈’ 전략


카빈 인베스트먼트 “올해 D램 가격 97.5% 상승”마이크론 내년 실적 전망치도 상향 조정


KCGI, 인수 가격 10% 낮춰 2,200억원에 계약OK금융·메리츠증권 ‘구원투수’로 인수자금 확보관건은 '적격성 심사', 당국 '파킹딜 의혹' 돋보기 심사' 예고
인포
'강성부 펀드'로 알려진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KCGI가 결국 한양증권을 품에 안았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지 7주 만이다. 다만 KCGI의 한양증권 인수 마지막 관문인 금융위원회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추천 알고리즘에 SNS 중독 심화부적절한 온라인 콘텐츠 난무에 우려↑빅테크들 보호정책 내놨지만 자율규제론 역부족
instagram_getty_20240919_PE
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07년 10만 건이던 10대 유해·불법콘텐츠 숫자가 2023년 3,620만 건으로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플랫폼 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했지만, 커진 영향력만큼 미성년자에 대한 보호조치는 충분히 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더본코리아 '연돈볼카츠' 가맹점주들과 상생 행보신제품 '뚜열치' 출시 및 식용유 공급가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