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시니어 인력 기반 정기배송 대행 플랫폼 ‘옹고잉’을 운영하는 내이루리가 11억 8,000만원 규모의 프리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존 주주인 블루포인트파트너스가 투자를 이어갔으며, 에이치지이니셔티브(HGI), 고벤처개인투자조합, 브이엔티지(VNTG)가 신규 참여했다.
옹고잉은 시니어 배송원을 정규직으로 고용해 물류 정기배송을 대행하는 서비스다. 현재 서울 전 지역과 경기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매월 발생 정기배송 물량은 14만 5,000인분 규모다. 내이루리는 지난 9월 중소벤처기업부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인 ‘팁스(TIPS)’에 선정되며 최적 배송 경로 생성 기술 및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 개발 역량을 인정받았다. 아울러 서울시 50플러스재단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중장년 대상 일자리 발굴 및 확산에도 기여 중이다.
정현강 내이루리 대표는 “이번 투자 유치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인재 확보 및 인프라 구축을 통해 더욱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시니어 인력 기반의 다양한 배송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니어 특화 앱으로 안정적 물류 서비스 제공
내이루리가 운영하는 정기배송 대행 플랫폼 ‘옹GOING’은 60세 이상 시니어를 배송원으로 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노인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고객사에는 대행 비용을 절감해주는 서비스라고 설명한다. 주요 고객사로는 △오피스푸드 정기 배송 서비스 '푸딩' △기업 조식 정기 배송 서비스 '웃어밥' △점심 정기 배송 서비스 '위잇딜라이트' △공유주방 '키친밸리' 등이 있다.
시니어 배송원들은 자체 배송 차량 10대를 이용해 정기적으로 물류 배송 업무를 수행한다. 옹고잉은 배송원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안전하고 정확한 배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시니어 특화 UX와 UI를 적용한 전용 앱을 제공하고 있다. 가시성 높은 폰트 사이즈와 버튼 크기, 간결한 화면 구성, 배송 단계별 기능 설계 등을 통해 노인이 사용하기에도 어려움 없는 UI를 구현한 것이다. 옹고잉 배송원은 앱을 통해 배송 일정을 간편하게 확인하고, 최적화된 경로를 안내받아 정확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옹고잉은 고령화라는 사회적 문제를 배달 서비스라는 우리 사회의 새로운 수요와 연결했으며, 양질의 노인 일자리를 창출해 '선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내이루리는 차후 정기 배송/수거 대행 서비스에서 다양한 배달 서비스 범위와 지역을 확장, 기업의 소셜 임팩트를 더욱 확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증가하는 노령 인구, 일자리 원하는 노인들
인구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2025년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초고령 사회(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로의 진입이 얼마 남지 않은 셈이다. 생산가능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을 의미하는 노년 부양비는 2019년 20.4명에서 2040년 60.1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2020년 경제활동참가율은 36.8%로, 주요 선진국인 일본(25.5%), 미국(19.%) 대비 상당히 높다. 이렇게 많은 노인이 노동에 참여하는 것은 한국의 노후소득 보장 수준이 낮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나라는 노령연금 급여 수준이 매우 낮으며, 기초연금 급여 역시 월 30만 원으로 높지 않은 편이다. 65세 이상 노인의 소득 중 공적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OECD 평균 57.1% 수준이지만, 한국의 경우 25.9%에 그친다. OECD 평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한편,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2020년 기준 38.9%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2.8배 수준이다. 소득 보장 수준이 낮고, 빈곤율이 높으니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경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연구원이 지난 4월 전국 60세 이상 일하는 노인 500명을 설문 조사한 내용을 담은 ‘증가하는 노인 노동, 일하는 노인의 권리에 주목할 때’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일을 하고 있는 노인 노동자 중 97.6%가 지속해서 근무하기를 희망했다. 그 이유로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46.3%)’, △‘돈이 필요해서(38.1%)’ 등이 꼽혔다.
노인 일자리의 한계
노인 인구의 비중과 노인 경제 활동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며, 노인 일자리 사업도 발전을 거듭해왔다. 2004년 처음 시작한 정부 노인일자리 사업은 당시 3만 5,000개에서 올해 기준 84만 5,000개까지 증가했다. 사업예산은 1조 442억원, 수행 기관은 1,291곳에 달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 노인의 근로 환경이 안정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전체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73.4만원인 것에 비해, 노인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전체 임금근로자 대비 약 100만원 낮은 167.4만원 수준이다.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임금 격차 역시 51.7%로 매우 크다. 또한 노인 상용직의 월평균 임금은 244.8만원인 반면, 노인 임시직과 일용직의 임금은 상용직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는 것도 쉽지 않다. 노인 노동자는 노동조합이 없는 일자리에서 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노인 노동자의 노동조합 가입률은 전체의 3.9% 수준이며, 노동조합 미가입 유형은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노동조합이 있으나 가입 대상이 아닌 경우 △노동조합이 있고 가입 대상이나 가입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노인일자리 사업은 유형과 유형별 사업 목적, 급여 수준, 전달 체계 등이 법적 근거 없이 지침에 따른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어 안정성이 결여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시니어 배송원을 정규직으로 고용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옹고잉이 노인의 노동 환경 개선에 앞장서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