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한 때 시가총액 270억 달러로 포드 앞서기도 전기차 캐즘에 전기차 스타트업 잇달아 파산 부채 100억 달러 육박하며 주식 97% 하락해

한 때 '제2의 테슬라'로 불리며 기대를 모았던 전기·수소 트럭 제조업체 니콜라가 경영난 끝에 결국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니콜라의 파산으로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에서 사실상 유일한 수소 트럭 제조업체로 남게 됐다. 하지만 경쟁사의 잇따른 도산과 정부 지원 축소 가능성으로 인해 수소 트럭 시장의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완성 기술 홍보 논란으로 몰락의 길 접어 들어
19일(현지 시각) 니콜라는 "델라웨어주 파산법원에 파산법 제11장에 따른 구제 청원서를 제출했다"며 "파산법 제363조에 따라 자산 경매·매각 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승인 요청서도 함께 제출했다"고 밝혔다. 스티브 거스키 최고경영자(CEO)는 "전기차 업계의 다른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운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시장 및 거시경제적 리스크에 직면했다"며 "최근 몇 달 간 자본을 늘리고 부채를 줄이기 위한 많은 조치를 취했지만, 안타깝게도 중대한 위기를 극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2015년 설립된 니콜라는 전기·수소 트럭 기술을 앞세워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2020년 뉴욕증시 상장 당시 주가가 급등했고 주가가 고점에 도달했을 때는 시가총액이 미국 완성차 제조업체 '빅3'인 포드를 넘어서기도 했다. 그러나 같은 해 미완성 기술을 홍보한 사실이 드러나며 몰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당시 미국의 행동주의 펀드 힌덴버그리서치가 니콜라의 홍보 동영상 속 수소 전기 트럭의 주행 장면이 내리막 도로에서 촬영된 것이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폭로했다. 이로 인해 창업자인 트레버 밀턴은 2023년 사기 혐의로 징역 4년을 선고받았다.
니콜라는 이후 경영진을 교체하고 재기를 시도했지만, 경영권을 둘러싼 혼란이 이어졌고 시장의 신뢰를 다시 얻지 못했다. 여기에 전기차 캐즘(수요 정체)도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2023년 로드스톤, 2024년 피스커에 이어 올해 1월 카누까지 미국 전기차 업체의 파산이 이어졌다. 뉴욕타임스(NYT)는 "몇몇 전기차 스타트업은 아직 운영 중이지만, 주가가 폭락했고 언제 어떻게 수익을 낼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며 암울한 전망을 내놨다. 이 사이 회사의 주가도 급락을 거듭하며 구제 신청서를 제출하기 전날 기준으로 1년 새 97%나 하락했다.
수소 트럭 시장,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지난해까지만 해도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는 수소 트럭 산업의 성장을 예상했다. 미국 수소 트럭 시장은 이제 막 개화하는 단계지만 사업 잠재력이 상당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미국 국내 물류 대부분이 트럭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배경으로 꼽혔다. 미국 교통부 산하 교통통계국(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에 따르면 트럭 운송은 2023년 화물 무게 기준 운송 수단별 점유율 가운데 68.1%를 차지했다.
수소 트럭이 기존 미 물류업계에서 주로 사용했던 디젤 엔진 트럭과 달리 친환경 기술이라는 점도 차별화된 경쟁력 중 하나로 꼽혔다. 디젤 트럭이 미국 내 전체 자동차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3%에 불과하지만 온실가스 배출 비중은 25%에 달한다. 더욱이 전기 트럭보다 충전 속도나 1회 충전 당 주행거리 등에서 우위를 가진다는 점도 수소 트럭 시장의 성장 잠재력 중 하나다. WSJ은 "수소 트럭은 고중량의 배터리가 불필요해 전기트럭보다 적재량을 늘릴 수 있으며 충전 속도와 주행거리 등에서 장점을 가졌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수소트럭 시장은 2030년 30억 달러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2024년부터 연평균 24.3%씩 확대된다는 계산이다. 이러한 전망 속에 니콜라는 수소 트럭 개발은 물론 충전소 사업인 '하일라'를 론칭해 자체적으로 수소 전기차의 인프라까지 해결하려 했지만 무리한 전략이었음이 드러났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니콜라의 총 부채는 최대 100억 달러로 추정된다.
현대차, 미국 시장 유일한 수소 트럭 제조사 될 수도
니콜라 파산으로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에 유일한 수소 트럭 제조사가 됐다. 2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현대차가 경쟁사 파산으로 미국에서 사실상 유일한 수소 트럭 업체로 남을 공산이 커졌다"고 보도했다. 일리노이주 볼링브룩에 거점을 둔 다른 수소 트럭 제조기업 하이존(Hyzon)이 있지만 이번 달 대규모 구조 조정을 예고하며 사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WSJ에 따르면 현대차는 캘리포니아주와 조지아주에 수소 트럭 ‘엑시언트’ 각각 30대와 21대를 운행하는 등, 전 세계에 수소연료전지 대형 트럭을 운영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경쟁사가 줄면서 수소 트럭 시장이 더욱 축소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산업 그룹인 수소연료전지파트너십(HFCP)의 빌 엘릭 사무총장은 "한 회사만 사라져도 업계가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수소 트럭 시장이 커지려면 정부 보조금이 필수라는 점 또한 지적됐다. 비싼 연료 가격과 충전소 인프라 구축을 지원할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럼프 정부 들어 수소를 비롯한 친환경 에너지 지원 예산이 축소될 처지라 현대차와 같은 업체가 불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전해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트럭 운전사 발언을 인용해 “정부가 보조금을 쏟아붓지 않으면 수소 트럭이 디젤 구동 트럭을 대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바라봤다.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 내 전기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쳤지만, 중국 의존도를 낮춘 공급망 구축과 비용 절감이 지연되면서 전기차 수요가 예상보다 낮아지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가 기존의 전기차 육성 정책을 폐지할 계획을 밝히면서, 신생 전기차 업체들의 경영 환경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