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FE분석
  • "관세 영향 지켜봐야" 신중론 펼치는 연준 인사들, 9월 기준금리도 동결?
"관세 영향 지켜봐야" 신중론 펼치는 연준 인사들, 9월 기준금리도 동결?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연준 인사들 "금리 인하하기에는 데이터 부족하다"
트럼프의 극단적 관세 정책이 연준 신중론 낳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 주장하기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내에서 9월 기준금리 동결론에 힘이 실리는 추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극단적인 통상 정책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위험이 있는 만큼, 시장의 변화 양상을 조금 더 관찰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연준이 고용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당장 금리 인하를 시작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리 동결에 무게 싣는 연준

21일(이하 현지시각)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싸움에서 아직 승리를 선언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다. 그는 “물가 상승률 2% 목표 달성을 위한 마지막 구간이 꽤 어려운 것 같다”며 “현재 인플레이션 수치는 2%보다는 3%에 더 가까우며, 아직 우리에겐 할 일이 남았다”고 강조했다. 앞서 20일 연준 홈페이지에 공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7월 29∼30일 회의 의사록에서도 그는 미국 고용 시장이 “견조한 모습”이라고 진단한 바 있다. 물가가 여전히 높고 고용은 탄탄한 만큼, 서둘러 금리를 내릴 이유가 없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연준 내 다른 인사들도 신중론에 힘을 보탰다. 해맥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이날 야후 파이낸스와 인터뷰에서 "최근 경제 데이터를 고려할 때 9월 금리 인하 근거를 만들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부터 9월까지 얻을 많은 데이터가 있고, 나는 옳은 일이 무엇인지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모든 회의에 참석한다"면서도 "지금 가지고 있는 데이터와 내가 가지고 있는 정보로 회의가 내일 개최된다면 금리를 인하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짚었다. 이어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목표치인 2%로 낮추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세 전쟁' 후폭풍 가시화

연준 인사들이 이처럼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이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불러올 '후폭풍'에 대한 우려를 품고 있기 때문이다. 7월 연준 의사록을 살펴보면, 연준 위원들은 "관세 영향이 상품 가격에 더 명확히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인플레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은 여전히 관찰 중"이라고 평가하면서 "관세 상향 조처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의 규모와 지속성에 대한 명확한 판단을 내리기까지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실제 관세 정책이 촉발한 인플레이션 위기는 최근 들어서야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7월 미국의 생산자 물가 지수(PPI)는 전월 대비 0.9% 상승했다. 이는 월가 전문가 전망(전월 대비 0.2% 상승)을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이자, 2022년 6월(전월 대비 0.9% 상승)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7월 전년 동기 대비 PPI 상승률은 3.3%로, 이 역시 전문가 예상(2.5%)을 훌쩍 상회했다. 같은 달 소비자 물가 지수(CPI) 상승률이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하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던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관세발(發) 인플레이션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통상 PPI는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 지표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칼베이 인베스트먼츠의 클라크 게라넨 수석 시장 전략가는 “PPI가 예상보다 강하고, CPI가 비교적 완만하게 나온 것은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지 않은 채 스스로 부담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하지만 기업들은 곧 방향을 바꿔 이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미 늦었다" 일각선 비판 의견 제기

다만 일각에서는 연준이 더 이상 금리 인하를 늦춰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핌코 최고경영자(CEO) 출신인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경제 고문은 20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연준이 지난달 금리를 인하했어야 한다"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에는 너무 늦었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신빙성이 있다"고 밝혔다. 파월 연준 의장의 금리 인하가 '너무 늦다(Too Late)'고 지적해 온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동의 의사를 표명한 것이다.

엘-에리언 고문은 연준의 금리 인하 타이밍에 대해서 "과도한 데이터 의존도의 문제가 드러나기 시작했다"며 "단순히 데이터만 보고 몇 달 전에 무엇을 해야 했는지 알게 되면 이미 너무 늦다"고 꼬집었다. 이어 파월 의장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금리를 제로에 가깝게 유지하며 물가 압박이 '일시적일 것'이라고 예측했었다고도 지적했다. 하지만 이듬해 인플레이션은 9%를 넘어서며 정점을 찍었고, 이는 일련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으로 이어졌다. 엘-에리언 고문은 "연준은 (팬데믹 당시) 큰 실수를 저질렀으며, 이번에는 너무 늦어서 결국 실수를 저지르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연준 내부에도 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인사들이 일부 존재한다. 일례로 연준의 미셸 보먼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은 지난 9일 미국 콜로라도주에서 열린 캔자스은행연합회 주최 행사에 참석해 "지난 경제 전망에서 나는 올해 3차례 금리 인하를 전망했고, 최근 노동 시장 지표는 이 같은 내 견해를 강화한다"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가 제한적인 상황인 만큼, 고용 시장 약화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통화정책 대응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견해다. 그는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은 일회성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런 효과가 사라지면 인플레이션은 2%로 돌아올 것이라고 본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통화 정책 변화가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시차가 존재한다"면서 "지연된 행동은 노동 시장 여건 악화와 추가적인 성장세 둔화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고 우려했다.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