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은행
  • 2조 부실 털어냈지만 카드사 연체율 10년來 ‘최고’, 정책 리스크에 출구전략도 ‘난망’

2조 부실 털어냈지만 카드사 연체율 10년來 ‘최고’, 정책 리스크에 출구전략도 ‘난망’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4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넘치는 부실채권에 카드사 쩔쩔
신용 사면으로 카드사 연체율 비상
대손충당금에 발목, 하반기도 먹구름

경기 둔화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카드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자영업자·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서민 경제에 경고등이 켜지면서 급전 창구 역할을 하는 카드사도 직격탄을 맞는 모양새다. 연체율이 10년 6개월 만에 최악 수준으로 치솟자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를 위한 고육지책으로 부실채권(NPL) 매각에 뛰어들고 있지만, 부실을 털어내도 연체율 상승세가 가팔라 건전성을 관리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부실채권 매각 내몰리는 카드사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비씨)가 올해 상반기 매각한 부실채권 규모는 총 2조3,34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 37.2% 급증한 수치다. 부실채권 매각 규모는 2023년 상반기 1조2,669억원에서 같은 해 하반기 1조291억원으로 줄어든 뒤 지난해 상반기 1조7,009억원으로 상승 전환했다. 이어 지난해 하반기 1조7,541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2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말까지 부실채권 매각 규모는 최대 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롯데카드가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은 6,654억원의 부실채권을 팔았다. 작년 상반기보다 89.8% 급증한 규모다. 이어 KB국민카드(5,356억원), 하나카드(2,889억원), 우리카드(2,750억원), 신한카드(2,743억원), 현대카드(1,783억원) 순으로 많았다. 경기 침체로 돈을 제때 갚지 못하는 차주가 늘어나자 카드사들이 부실채권 매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카드사는 건전성 지표 개선을 위해 부실채권을 NPL 전문회사나 대부업체 등에 매각해 연체율을 낮춘다. 원금 대비 매입가율 5~20% 수준에서 부실채권을 털어낸다. 일부라도 건져 부진한 수익성을 만회하겠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매각조차 어려운 부실채권의 경우엔 한 푼도 건지지 못하더라도 장부상 대출자산을 지워버리는 상각을 통해 처리한다.

대규모 신용사면·배드뱅크도 부담

하지만 대규모 부실채권 매각에도 카드사 건전성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카드사의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1.76%로, 지난해 말 대비 0.11%포인트 상승했다. 2014년 말(1.69%) 이후 최고치다. 특히 현금서비스와 카드론 등이 포함된 카드 대출채권 연체율은 지난해 말보다 0.16%포인트 오른 3.54%에 달했다. 카드사 연체율은 서민 경제의 부실 정도를 가늠하는 역할을 한다. 시중은행에서 대출 한도가 찼거나 신용도가 낮은 사람이 카드빚을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부실채권 규모도 여전히 크다. 6월 말 기준 카드사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은 1.30%로 지난해 말 대비 0.14%포인트 올랐다.

이 와중에 정부의 대규모 신용 사면이 예고된 점도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30일부터 연체 빚(5,000만원 이하)을 올해 말까지 갚으면 연체 기록을 삭제해 주는 신용 사면에 나선다. 기존에는 빚을 다 갚아도 신용정보원엔 1년간, 신용평가사엔 최대 5년간 남았던 연체 기록이 이번 정부의 신용 사면으로 빨간줄이 남지 않게 됐다. 빚을 갚은 연체자들은 낮은 신용점수로 인해 대출금리, 대출한도, 카드 이용 등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이에 카드업계에선 신용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인한 건전성 문제를 우려하고 있다. 신용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금융산업의 기둥인 신용평가시스템이 흔들릴 것이란 우려다. 연체 이력을 자꾸 지우면 신용 점수는 상향평준화될 수 밖에 없다. 지난해 말 기준 NICE평가정보에서는 46.9%,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에서는 44.2%가 900점을 넘었다. 국민 절반이 최상위 등급이 되면서 변별력이 약해진 것이다. 이는 연체 이력 등을 토대로 산정되는 신용정보의 신뢰성을 퇴색할 뿐 아니라 '택갈이'에 성공한 취약 차주가 카드채권을 갚지 못하고 다시 연체에 빠지는 사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이에 더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8,000억원 규모의 배드뱅크 설립을 추진 중이다. 배드뱅크는 부실 자산이나 채권을 할인 매입해 정리하는 기관으로 이번 프로그램은 7년 이상 연체된 5,000만원 이하의 장기 연체 채권을 매입한다. 재원 8,000억원 가운데 4,000억원은 내년 예산, 4,000억원은 은행·증권·보험·카드 금융권이 분담해서 조달할 예정이다. 카드사 입장에서는 배드뱅크로 차주들의 의도적인 상환 유예가 발생하면 연체율이 오르고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

대손충당금 확대에 ‘수익성 직격탄’

더군다나 채권들이 매입이 안 되면 대손비용이 더 커지게 되는데 현재 업황상 카드사들은 재원을 마련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카드사들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106.3%로 지난해 말(108.1%) 대비 1.8%포인트 하락했다. 이 비율은 높을수록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흡수할 능력이 충분함을 의미한다.

대손충당금은 금융사가 회수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채권에 대비해 적립하는 금액으로, 규모가 커질수록 당기순이익은 줄어들게 된다. 특히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연체가 늘어나면서 부실이 확대됐고, 카드사들은 지난해보다 5~17% 더 많은 대손충당금을 적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카드론이 신용대출 범주에 포함되면서 본격적으로 규제가 시작돼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그동안 카드론은 '기타대출'로 분류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등 각종 대출 규제에서 제외돼 왔다. 6·27 부동산 대책 초기에도 카드론은 기타 대출로 분류됐지만, 금융당국이 지난 7월 카드론을 '연 소득 이내 한도'가 적용되는 '신용대출'로 분류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카드론 규제가 본격화하면서 하반기 카드사 실적에도 압박을 받는 모양새다.

이에 카드업계는 당분간 긴축 경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본업 부진이 심화하고 있는 데다 대출 규제로 카드론을 늘리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업황 악화가 이어지면서 판관비 등 지출 항목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대손 부담이 커진 만큼 허리띠를 졸라매는 카드사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4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