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연준, 기준금리 5.25~5.50% 동결 결정, 한국과 금리차 2.0%P 파월 "금리 정점 도달한 듯" 내년도 세 차례 금리 인하 가능성 시사 한은도 금리 인하 시기 고민 시작, 미국 인하 확인한 뒤 본격 행보 보일 듯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상 기조 중단 가능성을 언급함에 따라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저울질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연준이 내년도 세 차례 금리 인하를 시사하자 시장에서는 길었던 긴축의 시기가 끝났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해 한은의 금리 인하 시기를 내년 하반기로 예상하고 있다.
美 금리 인상 기조 끝났나, 기준금리 동결
13일(현지 시각)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5.25~5.50%로 동결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9월과 11월에 이어 세 번 연속 동결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긴축 국면에서 기준금리가 정점이나 그 근처에 도달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 점도표를 고려한 결과 추가 금리 인상이 적절하지 않다는 게 FOMC 참석 위원들의 관점”이라고 전했다.
이날 공개된 연준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내년 기준금리 중간값을 4.6%로 예상했다. 이는 현재 금리에서 세 차례 금리 인하를 반영한 수준이다. 사실상 금리 인상 기조가 중단된다는 말에 시장에선 이르면 내년 1분기 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3월 FOMC에서 정책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80.8%, 동결할 가능성을 19.2%로 보고 있다.
한은 금리 인하 단행할까, 시장선 내년 7월경 예상
한편 연준이 금리 인상 중단을 시사하면서 한은도 본격적으로 금리 인하 시점을 고민하고 있다. 그간 한은은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내리기도 어려운 딜레마 상황에 놓여 있었다. 기준금리를 올리자니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 등 금융 시장 불안 요소가 컸고, 내리자니 가계부채와 물가 급등, 미국과의 금리 차 등이 발목을 잡은 탓이다. 이런 가운데 나온 이번 연준의 결정으로 한은은 기준금리 인상 압박 요인을 하나 덜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은이 당장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크진 않지만 내년 하반기 중에는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달 미국 대형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아시아 주요 3국(한국·대만·베트남)에 대한 경제분석 보고서를 통해 내년에 많아야 2번 기준금리(0.5%)를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의 높은 가계부채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이보다 앞선 지난 10월 독일 투자은행인 도이치방크는 한은의 금리 인하가 내년 2분기가 지나야 시작될 수 있을 거란 전망을 발표하기도 했다. 당시 줄리아나 리 도이치방크 연구원은 “연준의 매파적인 태도를 고려할 때 한은은 당장 금리 인하를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며 “최소 내년 2분기 전까지는 상황을 지켜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시장 역시 비슷한 예측을 내놨다. 당초 삼성증권은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 전망을 2024년 3분기로 전망했으며, 한화투자증권 역시 최소한 2024년 상반기까지는 현 수준의 기준금리가 유지될 거라고 봤다.
연준 발표 이후에도 이 같은 전망은 이어졌다.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연구원은 14일 "미국이 내년 5-6월 쯤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의 경우 상반기 급격한 경기 둔화가 예상되지 않아 환율 등 변수가 없다면 연준이 금리를 인하한 뒤인 7월쯤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