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영화 티켓 부담금 폐지한 정부, 티켓값 인하까지 덩달아 추진
객단가 문제가 '발목',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상화도 못 이뤄"
"대중 기대 못 맞추면 역풍 맞을 수도, OTT 시대에 티켓값 인하 효용 있나"
정부가 영화 티켓 부담금(주말 상영 기준 약 500원) 폐지에 맞춰 영화 티켓 가격을 최대 1,000원 안팎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상영관 측도 가격 인하에 동참하라는 취지로 풀이된다.
문체부, 영화 티켓값 인하 추진한다
17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상영관 업계는 최근 영화 티켓 부담금 폐지에 맞춰 티켓 가격을 추가 인하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말 영화 티켓 부담금을 포함해 '숨은 세금'으로 불리는 부담금 18개를 폐지한다고 발표했는데, 이에 따른 후속조치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07년부터 영화 관객이 구입하는 입장권 가액의 3%를 부과금으로 걷어왔다. 입장권이 1만원인 경우 300원, 1만5,000원인 경우 약 500원의 부담금이 부과되는 식이다. 이 부담금은 영화발전기금으로 조성돼 영화진흥위원회를 통해 독립·예술영화 지원, 신인 창작자 발굴 등 영화 산업 전반을 지원하는 데 쓰여왔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상영관 업계가 침체에 빠지고 영화관람료가 일제히 오르면서 '숨은 세금 폐지' 정책의 과녁이 됐다. 티켓 부담금은 내년 1월부터 폐지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부담금 폐지에 발맞춰 상영관 업계에도 영화 티켓 가격 인하를 강조하는 모양새다. 업계 측에서 티켓값을 높게 유지하면 산업 침체기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취지에서다. 현재 영화관 3사(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의 티켓값(성인 2D)은 평일 기준 1만4,000원, 주말엔 1만5,000원 안팎으로 형성돼 있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한 편당 최대 1,000원 안팎으로 가격을 인하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에 있다"고 전했다.
상영관 업계는 '다소 난감', "낮은 객단가 부담 여전해"
다만 상영관 업계가 정부의 방침에 얼마나 따라와 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이미 지난해 한 차례 상영관 업계가 내부적으로 논의하던 관람료 인하 방침이 무산된 바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께 상영관 업계는 한국영화관산업협회 소속 CJ CGV·메가박스·롯데시네마가 주축이 돼 매주 수요일 영화관람료를 7,000원으로 인하하는 아이디어를 두고 논의를 이어갔으나 최종 무산됐다. 관계자 간 이견이 갈리면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것이다.
이들의 발목을 잡은 건 역시 수익 문제다. 객단가(관객 한 명당 지불한 실질적인 티켓값)가 티켓 가격에 맞춰 오르지 못한 점이 한계로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KOBIS)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영화 티켓값은 CGV 일반관 주말 기준 1만2,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3,000원 상승했지만, 한국 영화의 객단가는 8,286원에서 1만48원으로 1,762원 오르는 데 그쳤다. 티켓 가격과 비교했을 때 객단가의 인상률도 낮을뿐더러 가격 차이도 난다. 할인 티켓 등으로 일부 관객들이 실제 지출한 티켓 가격이 정가보다 그만큼 저렴했다는 의미다.
일각선 '역풍' 우려도, "500원 내려서 될 문제 아냐"
올해도 상영관 업계는 티켓값 인하에 대해 "어렵다"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정부의 부담금 폐지 정책에 부응해야 한단 부담은 있지만,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작정 티켓값을 내리면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CGV의 경우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1조5,458억원, 영업이익 491억원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후 첫 연간 흑자를 기록했으나 2020~2023년 누적 순손실이 1조4,000억원을 웃돌아 손해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업계 관계자는 "티켓 가격을 동결한 이래 인건비, 임대료, 관리비 등 모든 부분에서 다 올라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국민 부담 경감을 내세우며 가격 인하를 압박하는 건 지나친 것 같다"고 토로했다.
일각에선 티켓값 인하 폭이 대중 여론의 기대에 맞지 않아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폐지되는 부담금(약 500원)만큼만 가격을 인하하면 '올릴 땐 1,000원씩 높이더니 내릴 땐 500원만 내린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원하는 티켓값은 500원, 나아가 1,000원~2,000원 내리는 수준도 아니다"라며 "결국 10,000원 정도를 적정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2016년 이전 가격이라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격 저항이 있는 관객들 사이에서 부담금 폐지에 따른 가격 인하 정책이 얼마나 효용이 있을지 업계에서도 크게 와닿지 않는 상황"이라며 "더군다나 OTT 시대에 티켓값 인하가 상영관으로 관객을 유도할 유인책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