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스베르방크에 中과 AI R&D 협력 확대 주문 지난해 브릭스 중심의 'AI 얼라이언스' 출범 우크라 전쟁 이후 AI 반도체 수급 제한 받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부에 중국과의 인공지능(AI )협력 확대를 주문했다. 앞서 지난달에는 AI 기술 강화를 위해 중국을 포함해 브릭스 국가가 중심이 되는 AI 동맹을 출범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이어진 서방의 제재로 AI 반도체 등 첨단기술에 대한 접근이 제한된 상황에서 비서방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고 나아가 미국의 AI 패권을 견제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러, AI 주도권 잡기 위해 中과 협력 강화
3일(현지 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최대 은행인 국영 스베르방크에 "AI 분야 기술 연구·개발(R&D) 분야에서 중국과의 협력을 확대하라"고 지시했다. 푸틴 대통령이 직접 중국과의 AI 협력을 당부한 것은 비서방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서방의 기술 제재를 돌파해 나가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지난해 12월 31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푸틴 대통령과 새해 인사를 나누며 "양국 지도자의 전략적 지도 하에 정치적 상호 신뢰와 전략적 협력이 더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전방위적인 협력을 강조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의 제재로 첨단기술 접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요 반도체 기업의 수출 중단으로 AI 개발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수급이 막힌 상태다. 게르만 그레프 스베르방크 최고경영자(CEO)도 지난해 "GPU가 러시아가 대체하기 가장 어려운 하드웨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로 인해 러시아의 AI 경쟁력은 크게 뒤처졌다. 영국 톨토이즈 미디어의 글로벌 AI 지수에 따르면 러시아는 AI 구현·혁신·투자 부문에서 83개국 중 31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 중국은 물론 브릭스 회원국인 인도, 브라질보다도 낮은 순위다.
비서방 AI 동맹 구축해 공동연구 등 추진
이날 발언은 지난달 브릭스(BRICS) 국가들과의 AI 협력을 발표한 지 3주 만에 나온 후속 조치다. 지난달 11일 푸틴 대통령은 모스크바에서 열린 AI 기술 국제회의(AI Journey)에 참석해 "브라질,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브릭스 회원국과 손잡고 AI 기술 개발을 위한 국제 연합체인 'AI 얼라이언스 네트워크'를 구성한다"고 발표했다. 러시아 정부의 AI 사업을 총괄하는 스베르방크에 따르면 브릭스 회원국 외에도 세르비아, 인도네시아 등 비(非)브릭스 국가들이 AI 얼라이언스 네트워크에 합류할 예정이다.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비서방 국가들의 AI 동맹은 AI 분야의 기술적 고립을 탈피하고 미국의 AI 기술 패권에 도전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AI 기술과 규제에 대한 공동 연구를 촉진하고, 각국이 개발한 AI 제품이 동맹국의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될 기회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날 행사에서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는 강력한 AI를 개발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에 동등한 조건으로 참여해야 한다"며 "현재 러시아 과학자들이 첨단 솔루션을 연구하고 있으며 우리는 전 세계 과학자들이 이 협력에 동참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자체 AI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도 마련됐다. 지난해 2월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연방 AI 개발에 관한 대통령령 제490호'를 발효했다. 해당 법령은 지난 2019년 10월 승인한 'AI 국가 개발 전략'의 초안을 개정한 것으로 AI 기술을 이용한 국내 총생산(GDP)을 2024년 2,000억 루블(약 2조9,000억원)에서 2030년 11조2,000억 루블(약 162조원)로 55배 이상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와 함께 AI 분야의 솔루션 개발 ·운영 예산을 2024년 120억 루블(약 1,500억원)에서 2030년 600억 루블(약 7,800억원)로 확대하기로 했다.
개정안에는 오는 2030년까지 달성할 성과목표도 담겼다. 구체적으로는 △AI 기술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제고(55%→80%) △근로자의 AI 작업 숙련도 향상(5%→80%) △AI 전공자 수 확대(3,048명→15만5,000명) △AI 기술 이용한 GDP 성장(2,000억 루블→11조2,000억 루블) △기업의 AI기술 도입·적용을 위한 투자 증대(1,230억 루블→8,500억 루블) 등이 제시됐다. 예를 들어 제조업 분야에서는 AI 로봇을 활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의료 분야에서는 AI 진단 시스템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예측·예방하는 식이다.
우크라 전쟁에선 AI를 핵심 무기에 적용
일각에서는 러시아의'AI 무기화' 움직임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2월 푸틴 대통령은 군사 장비에 AI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 러시아군은 AI 시각 식별(AIVI) 기술을 탑재한 KYB-UAV 드론을 사용해 실시간으로 표적을 분류하고 우크라이나군의 기동력을 효과적으로 봉쇄했다. 이 외에도 자폭형 드론, 자율 어뢰, 전략 무기 제어, 무인 전투기와 무인 잠수정 등에 AI를 도입해 전장에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연속 생산을 시작한 치르콘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AI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AI의 군사적 활용을 위해 중국과의 협력도 확대했다. 지난해 2월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러시아 외무부 성명을 인용해 "러시아와 중국의 관리들이 중국 베이징에서 회담을 열고 "군사적 목적의 AI 기술의 활용에 관한 상세한 평가를 교환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양국은 유엔(UN)의 '치사형자율무기시스템(LAWS)에 관한 비인도적 무기 협약'의 당사국 정부전문가그룹(GGE) 하에서 조정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AI의 무기화에 대한 국제 규범을 자신들에 유리한 방향으로 형성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최근에는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를 겨냥한 정보전과 사이버 공격에도 AI 기술이 적극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 해커 그룹 SDA는 AI를 이용해 허위 정보를 담은 영상을 제작하고, 신뢰할 만한 언론사를 사칭한 가짜 웹사이트를 통해 이를 유포했다. 러시아 해커 그룹 APT28은 와이파이 네트워크의 취약점을 이용해 서방 국가들의 네트워크에 침투하는 사이버 공격을 수행했고 러시아 군대·크렘린궁과 연계된 핵티비스트들은 북한 등과 함께 AI를 활용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과 협력국에 대한 공격을 확대·강화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의 AI 동맹에 대해 전문가들의 전망도 엇갈린다. 로이터통신은 "미국과 중국이 AI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는 가운데 러시아와 중국이 손잡는다면 역학 구도가 바뀔 수 있다"며 "현재 10개국이 자체적으로 생성형 AI를 개발 중인데 러시아도 그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중국과의 AI 협력을 통해 서방의 기술 제재를 우회한다 해도 미국의 대중 기술 제재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중국과의 실질적 협력이 제한될뿐더러 단기간에 기술 격차를 극복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