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4조원 투자에도 기술력 한계 직면” 한화,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 무산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 가동 중단
폴리실리콘→모듈 수직계열화 무산
미국 태양광 시장 1위 지키기에 총력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한화큐셀 달튼 공장/사진=한화큐셀

한화그룹이 미국 워싱턴주에 위치한 태양광 소재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다. 폴리실리콘 제조와 관련해 품질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한화그룹은 약 4조원을 들여 확보한 해당 공장을 전면 폐쇄하고, 경쟁사인 OCI홀딩스에서 폴리실리콘을 납품받기로 했다. 이에 폴리실리콘부터 모듈에 이르는 태양광 밸류체인의 수직계열화를 구축하려던 한화그룹의 계획 또한 물거품이 됐다.

설비 노후·인력 부족에 품질 기준 충족 '역부족'

6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한화솔루션과 ㈜한화가 각각 지분 21.3%, 12.0%를 보유한 노르웨이 폴리실리콘 기업 REC실리콘의 미국 워싱턴주 모지스레이크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본격적인 인력 감축은 아직 시작 전이지만, 조만간 공장 폐쇄와 함께 인력을 정리할 전망이다. 2014년 문을 연 해당 공장은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량이 연간 1만6,000t(톤)에 달한다. 하지만 가격 품질 면에서 중국에 따라잡히면서 2019년 잠시 문을 닫았다.

한화는 한화솔루션의 미국 태양광 법인인 한화큐셀이 미국에 구축한 태양광 밸류체인에서 딱 하나 없는 폴리실리콘 생산 시설 확보를 위해 REC실리콘과 접촉했다. REC실리콘만 손에 넣으면 폴리실리콘-잉곳-웨이퍼-셀-모듈로 이어지는 태양광 밸류체인을 100% 수직계열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023년 9월 한화큐셀은 REC실리콘은 REC실리콘으로부터 향후 10년간 미국산 저탄소 폴리실리콘을 공급받는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총 30억 달러(약 4조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한화는 “미국 내 생산 시설 확보로 개발 속도와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 혜택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하지만 REC실리콘 모지스레이크 공장은 한화큐셀이 제시한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순도를 끝내 맞추지 못했다. 가동을 멈춘 4년 동안 설비 노후화는 물론, 핵심 기술 인력 또한 모두 빠져나간 상태였기 때문이다. 공장 재가동 당시 한화솔루션은 1억5,000만 달러(약 2,200억원)를 공장 재정비에 투입했지만, 설비 전면 교체에는 역부족이었다. 태양광 밸류체인의 첫 단추인 폴리실리콘 순도가 낮으면, 최종 제품인 태양광 모듈의 전력 생산 능력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은 한화큐셀은 폴리실리콘을 경쟁사인 OCI홀딩스의 말레이시아 생산법인 OCIM에서 조달할 계획이다. OCIM의 폴리실리콘은 ㎏당 22달러로 중국산(평균 약 7달러)보다 3배가량 비싸지만, 미국이 중국산 폴리실리콘에 최대 250%에 달하는 반덤핑·상계관세(AD/CVD) 부과를 예고한 만큼 보다 합리적인 방안이라는 설명이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향후 OCI홀딩스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태양광 밸류체인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폴리실리콘 사용엔 예민

지난해 중국산 폴리실리콘을 사용했다는 혐의를 받으며 한 차례 홍역을 치른 한화큐셀에는 경쟁사인 OCI홀딩스와의 동행 외엔 뚜렷한 대안이 없는 상태다. 지난해 7월 블룸버그는 한화큐셀이 강제 노동으로 인해 미국 당국의 제재를 받은 중국 업체로부터 재료를 공급받으면서 미국에서 거액의 세금 공제 혜택을 받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미국은 2022년 발효된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Uyghur Forced Labor Prevention Act, UFLPA)을 통해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제품뿐 아니라 해당 법에 따라 식별된 특정 기업이 생산하는 모든 제품의 미국 내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전까지 보고된 바 없는 중국 문서를 인용하며 “한화큐셀의 중국 공급 업체 두 곳 중 폴리실리콘을 공급한 업체가 강제 노동과 관련해 미국 정부 제재 명단에 올랐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화큐셀은 폴리실리콘 소싱과 관련해 ‘상업적 경쟁 및 영업 비밀 우려’를 이유로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이는 중국에서 공급망을 얼마나 잘 감시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낳는다”고 지적했다.

한화큐셀은 즉각 반박했다. 데브라 드송 한화큐셀 미국 법인 대변인 겸 부사장은 “문제가 된 폴리실리콘과 관련해서는 신장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고, 강제노동이 투입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도록 공급사들에 요구했다”면서 “이를 위해 진술서와 제품 추적 검사 등을 통해 미국 시장에 불공정 노동을 통해 제조된 제품이 유통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2022년 일부 거래처가 제품 추적 검사에서 탈락한 적은 있지만, 즉각 모든 계약을 끊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미국 내 비판 여론은 쉬이 가라앉지 않았다. 미국 비영리단체 에너지공정무역연합(EFTC) 관계자는 “한화큐셀의 공급업체 가운데 일부가 제재 대상 목록에 올라와 있는데도 관세국경보호청이 조사에 나서지 않는 점은 정말 이상하다”고 비판했으며, 존 바라소 상원의원은 미국에서 IRA 혜택을 받는 한화큐셀이 중국 기업과 아르곤 가스 관련 공급계약을 맺은 것까지 문제 삼고 나섰다. 자국 정부의 IRA 보조금이 한화큐셀을 거쳐 중국으로 흘러간다는 주장이다. 매출의 80%가량을 미국 시장에 의존하는 한화큐셀로선 이와 같은 부정적 여론을 잠재울 필요가 절실했던 셈이다.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한화큐셀 카터스빌 공장 전경/사진=한화큐셀

연간 1조원 상당 세액공제, 2조원 규모 대출까지

애초 한화큐셀이 태양광 밸류체인 구축에 공을 들인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북미 시장 내 입지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등에 업고 공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하겠단 복안이다. 실제로 한화큐셀은 조지아주에 북미 최대 규모의 태양광 통합 생산단지 ‘솔라 허브’를 건설을 위해 미국 에너지부 산하 대출 프로그램 사무국(LPO)으로부터 14억5,000만 달러(약 2조1,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승인받기도 했다.

현재 솔라 허브는 카터스빌 공장 등 일부 생산라인 건설을 완료하고 가동에 돌입한 상태다. 카터스빌 공장의 제조 능력은 연간 3.3GW(기가와트) 수준으로, 앞서 2023년 말 증설된 달튼 공장 생산량 5.1GW를 합친 한화큐셀의 미국 내 모듈 생산능력은 연간 8.4GW로 늘어났다. 이는 기존 시장 점유율 1위를 자랑하던 미국 퍼스트솔라의 생산량 6.3GW를 크게 앞지른 결과다.

한화큐셀은 솔라 허브가 완공 후 전면 가동에 들어가면 자사가 수령하게 될 첨단세액공제(AMPC) 혜택이 연간 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카터스빌 공장이 지난 한 해만 약 2GW 규모의 모듈을 생산하게 되면서 이에 따른 세액공제 혜택이 연 1억 4,000만 달러(약 1,860억원) 추가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재무적 안정성을 높이는 한편 해외에서도 높이 인정받는 성장성과 잠재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