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메가 허브’ 이름값 무색 인천공항, 보안검색 하세월에 이용객 불만 최고조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외형 확장에 집중, 운영 효율화는 낙제점
국내 공항 보안검색 실패 해마다 증가
열악한 노동환경에 경력직 ‘줄퇴사’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출국장/사진=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이 혼잡도 증가로 몸살을 앓는 모습이다. 지난해 제2여객터미널을 확장한 데 이어 첨단 장비까지 확충하면서 혼잡도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상황은 정반대로 전개되는 양상이다. 원인으로는 잦은 장비 오작동과 인력 부족 등이 꼽힌다.

신형 보안검색대 잦은 오류, 탑승객 대기 시간 길어져

21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보안검색통합노조 등에 따르면 최근 인천공항 보안검색대는 오전 7~9시 기준 3분의 1가량 가동 중이다. 탑승객이 가장 많이 몰리는 해당 시간대에는 전체 직원의 약 절반, 출근하는 직원의 75%가량이 보안검색 작업에 투입되지만, 혼잡도를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라는 전언이다.

이용객 사이에서는 인천공항이 외형 확장에 걸맞는 운영 효율화를 끌어내지 못한 결과라는 비판이 주를 이룬다. 인천공항은 지난해 12월 제2여객터미널을 확장해 연간 1억 명을 처리할 수 있는 세계 3대 메가 허브 공항으로 거듭났다. 이 과정에서 360도 회전하며 수하물을 스캔하는 원형 검색대를 확충하고, 인공지능(AI)과 생체인식을 활용한 ‘스마트 패스 시스템’도 도입했다.

하지만 이들 신형 장비는 잦은 오작동으로 도리어 이용객들의 불편만 초래하고 있다. 특히 원형 검색대의 경우 휴대 수하물이 들어가는 장비 입구에 방사선 차폐 납 커튼이 많아져 스카프를 비롯한 가벼운 소품이 플라스틱 바구니 밖으로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다. 이 경우에는 장비의 전원을 차단하고 문제를 해결한 뒤 다시 작동해야 하는데, 최소 4분이 소요된다. X-레이 기반 구형 검색대를 이용한다면 약 16명의 짐을 검색할 수 있는 시간이다.

더 많은 보안검색대를 가동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만성적 인력 부족 탓에 이마저 쉽지 않다. 현재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에서 근무 중인 보안검색 직원은 290여 명이다. 이는 인천공항이 제시한 정원(308명)을 상당 폭 밑도는 수준이다. 노조에 의하면 2터미널 내 모든 보안검색대를 가동하기 위해서는 1,026명의 추가 인원이 필요하다.

인천공항 측은 “성수기 혼잡을 우려해 보안검색 단기 인력 추가 투입, 검색요원 연장 근무, 출국장 운영시간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오는 2월에는 약 110명의 보안검색 요원을 신규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또한 “그동안 공항 혼잡도는 현장에서 (대기줄을) 육안으로 보고 관리하는 수준이었다”면서 “철도처럼 구체적인 혼잡도를 측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 내 면세구역/사진=인천국제공항

국내 공항 보안 체계 ‘심각’ 수준

이용객들의 불편을 비롯한 각종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인천공항이 보안 시스템을 손보고 나선 배경에는 국내 공항의 보안 체계가 미흡하다는 각계의 비판이 깔려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인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20년부터 2024년 상반기 까지 국내 공항의 보안검색 실패 건수는 128건에 달했다. 연도별 보안검색 실패 건수 또한 △2020년 8건 △2021년 17건 △2022년 28건 △2023년 54건 등 갈수록 증가 추세다.

보안검색 실패의 유형별 현황에서는 가스분사기를 비롯한 폭죽 등 가연성 및 폭발물이 20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보호 및 보안구역 무단 진입 19건 △실탄과 공포탄 및 총기류 18건 △신분증 도용 및 불법체류 등 신분확인 실패 16건 △칼과 망치류 위해물품 9건 △오탑승 8건 △전자충격기 7건 등 순을 보였다.

공항 검색대에서 위험물을 적발하는 체계를 제대로 다잡아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김 의원은 “테러와 대형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국내 항공 보안검색에 큰 구멍이 생겨 국민의 안전이 위협받는 실정”이라고 진단하며 “잇따른 보안검색 실패에 대한 면밀한 원인 분석은 물론, 검색능력과 전문성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력직 이탈에도 인력 미충원, 악순환 거듭

현장에서는 항공 보안 강화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높은 퇴사율을 개선하는 등 고용·노동정책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내 공항에서 일하는 보안검색요원 10명 중 4명가량이 해마다 퇴사 중인 만큼 업무 숙련도를 갖춘 직원들의 고용을 장려해야 보안 강화 또한 담보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국보안방재노조에 의하면 2023년 기준 대구공항 보안검색요원의 퇴사율은 46.2%에 이른다. 같은 해 청주공항은 40%, 제주공항은 25.2%, 김해공항은 16.3%의 퇴사율을 기록했다.

공항 특수경비 업무는 항공경비와 보안검색경비 업무로 구분된다. 보안검색경비는 공항별로 근무체계가 다르다는 점에서 국내 공항 모든 곳에서 3조 2교대로 이뤄지는 항공경비와 차이가 있다. 지난해 14개 국내 공항 특수경비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300만~350만원 수준이다. 불규칙한 근무 시간과 낮은 임금이 높은 퇴사율로 이어지고, 인력 미충원에 의한 정원 부족이 장시간 노동이라는 악순환을 낳는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배경이다.

정부는 지난해 7월 항공보안 강화대책을 발표하면서 경비요원을 대상으로 경력·역량별 업무 범위를 달리하는 ‘판독등급제’를 도입하는 등 전문성을 강화하겠다고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청사진도 경력직이 줄줄이 빠져나가는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무용지물이라는 게 업계 종사자들의 일관된 평가다. 이상훈 전국보안방재노조 위원장은 “특수경비 노동자들의 바람은 그저 ‘쉬면서 일하고 싶다’는 것”이라고 꼬집으며 “처우개선과 적정인력을 유지해 공항 보안업무 노동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