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美中 기술 패권 경쟁에 줄타기 나선 TSMC, 해외 공장 적자에도 美 투자 확대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TSMC 애리조나·구마모토·드레스덴 모두 적자 발생
中 난징 공장, 3년 연속 흑자, 사상 최대 이익 달성
트럼프 관세 압박 속에 대미 투자 1,000억 달러 확대 

지난 3월 백악관에서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미국에 1,65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인 대만 TSMC가 지난해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6,200억원이 넘는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난징공장에서는 1조1,000억원 넘는 이익을 올렸다. 난징공장은 주로 28나노(㎚·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이상 성숙공정 제품을 생산한다.

美 애리조나 공장, TSMC 해외 생산시설 중 최대 손실

21일 대만 경제일보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TSMC의 미국 애리조나 공장이 작년 143억 대만달러(약 6,230억원)의 손실로 해외 생산기지 중 최대 손실폭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TSMC는 2020년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120억 달러를 투자해 반도체 공장을 짓기 시작했으며 지난해 4분기 애리조나 팹 21에서 4나노공정 양산을 시작했다. 경제일보는 올해는 애리조나 팹 21이 본격적인 양산에 진입하는 해이지만, 생산으로 손실폭이 축소될지는 미지수이며 투자 확대와 더불어 손실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TSMC의 일본 자회사 JASM이 운영하는 구마모토 공장도 지난해 사상 최대 손실(43억8,000만 대만달러)을 기록하며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갔다. 독일 드레스덴 공장도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는 등 TSMC의 반도체 공장은 모두 적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TSMC의 해외 공장 중 수익성이 가장 돋보이는 곳은 중국 난징 공장이다. 2018년 가동을 시작한 난징 공장은 사상 최대규모인 259억5,000만 대만달러의 이익을 기록했다. 난징공장은 최근 3년 연속 200억대만달러(약 8730억원) 이상의 이익을 올리는 등 수익성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기존 애리조나 공장에 더해 총 1,650억 달러 투자

앞서 웨이저자 TSMC 회장은 지난달 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면담한 뒤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미국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 애리조자주에 팹 시설 3곳, 패키징 공장 2곳, 그리고 연구개발(R&D) 센터 1곳을 추가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약속한 650억 달러 규모의 애리조나 공장 건설계획과 합치면 TSMC의 투자규모는 1,650억 달러로 불어난다. 웨이 회장은 TSMC의 대미투자가 트럼프 1기 때인 2020년 시작됐다는 점을 언급한 뒤 새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비전과 지지에 사의를 표한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투자 결정은 TSMC는 물론 미국에 엄청난 일"이라며 "수천개의 고임금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지능(AI) 반도체는 바로 이곳 미국에서 만들어질 것이며 그 가운데 상당 부분을 TSMC가 만들 것"이라면서 "이것은 경제 안보는 물론 국가 안보의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TSMC도 아주 안전한 다른 곳으로 존재(공장)를 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웨이 회장을 "이 방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고 치켜세웠다.

앞서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는 반도체 지원법에 따라 TSMC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66억 달러(약 9조2,000억원)의 지원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지원법에 따른 보조금 지원에 대해서 비판하며 그는 대선 때 반도체 산업 유치를 위한 보조금 지급 대신 수입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면 업체들이 대미 투자를 늘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TSMC는 물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대한 반도체법 보조금이 취소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지난 1월 인사청문회에서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지급을 약속할 수 없으며 제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TSMC의 투자 발표 행사에 참석해 TSMC가 이번에 미국에 투자한 것은 보조금이 아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때문이라고 설명한 뒤 "그들은 관세를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으로 온 것"이라면서 "지금 여러분은 트럼프 대통령의 힘을 보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추가 투자 발표 나흘 만에 TSMC 때리기 나선 트럼프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TSMC의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힌 지 나흘 만인 지난달 7일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만 반도체 산업을 직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반도체 사업을 쉽게 보호할 수 있었다"면서 "이제 그건 전부 거의 독점적으로 대만에 있으며 약간(little)은 한국에 있지만 대부분 대만에 있다"고 지했다. 대만과 함께 한국을 거론하면서 미국으로 추가적인 반도체 투자를 압박하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에도 TSMC는 미국 시장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을 고려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AI 반도체 수요의 약 60%가 미국 기업에서 발생하는 만큼, 미국의 제재와 정책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특히 미국의 관세정책이 사실상 중국과의 기술 패건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조치인 만큼 중국과 미국의 관계 속에서 글로벌 생산망을 균형 있게 운영하면서 리스크를 분산하려는 전략이란 해석이 나온다.

지난 2024년 11월부터 미국이 7나노미터 이하 AI 칩의 중국 수출을 금지하면서 TSMC는 사전에 중국향 출하를 중단하는 등 미국의 규제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TSMC는 자사 반도체가 제재 대상인 중국 화웨이에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미국의 수출통제 정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우회 인정한 셈이다.

Picture

Member for

6 months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