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미·중 무역 휴전했지만 ‘자동차 관세’가 발목, 日 자동차업계 ‘생존 모드’ 돌입
Picture

Member for

7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미국 관세 악몽에 주가 급락
올해 대규모 수익 감소 예상
현지 생산 확대로 타격 최소화 노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던진 ‘관세 폭탄’에 일본 자동차업계가 휘청이고 있다. 일본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실적 전망치를 대폭 낮추는 한편 구조조정에도 칼을 빼들었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본격적인 ‘생존 모드’에 돌입한 것이다.

日 완성차 업체들, 심각한 어려움 직면

19일 일본 경제신문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일본 수출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는 자동차 산업은 엔화 강세와 함께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준수하지 않고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추가 25% 관세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이 지난주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인하하고, 영국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0%로 낮추는 제한적 무역 협정에 합의했음에도 일본 자동차업계에 대한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애널리스트들은 일본 자동차 회사들이 미국 시장에 대한 높은 의존도와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비판으로 인해 관세 협상에 대한 희망이 거의 없다고 분석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동차가 일본에서 잘 팔리지 않는 반면, 일본 자동차는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비판해 왔다.

트럼프 관세에 실적 급감·인원 감축

이런 상황에서 일본 자동차 주식들은 현재 대부분 할인된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일본 금융정보회사 QUICK 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1위 자동차 업체 토요타가 장부가의 0.96배로 평가된 가운데, 스바루(0.7), 미쓰비시 자동차(0.6), 혼다(0.5), 마쓰다(0.3), 닛산(0.25) 순으로 저평가되고 있다. 트럼프 재선 이후 마쓰다의 주가는 19% 하락했고, 닛산은 11%, 미쓰비시는 7% 하락했으며, 토요타와 혼다도 각각 2%와 1% 하락했다.

이와 관련해 시티그룹 글로벌마켓 재팬의 료타 사카가미 전략가는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일본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면서 "자동차를 필두로 한 주당순이익 추정치 악화는 일본 주식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실적 전망치도 줄줄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토요타는 2025년 회계연도 영업이익을 전년보다 20.8%나 낮은 261억6,000만 달러(약 36조5,500억원)으로 전망했다.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올해 4~5월에만 12억3,800만 달러(약 1조7,300억원)의 이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혼다는 올해 회계연도 순이익이 1년 전보다 70% 감소한 17억2,000만 달러(약 2조4,000억원) 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일부 기업은 인원 감축에 나섰다. 닛산은 최근 직원 2만 명을 감원하는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9,000명 감원 계획을 발표했는데 여기서 1만1,000명을 더 줄이기로 한 것이다. 공장 수도 2027년까지 17곳에서 10곳으로 줄일 계획이다.

'미국서 만든 일본 차' 역수입 만지작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 카드로 일본 자동차 업체가 미국 공장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인들의 미국산 차에 대한 수요를 당장 높일 방법은 없으니, 일본 자동차 회사가 미국에서 생산한 차를 수입하면 미국의 대일 무역적자가 조금이나마 해소될 수 있지 않겠냐는 뜻에서다.

사실 이 제안은 과거에도 쓴 카드다. 1990년대 미·일 무역 마찰 시기 일본 업체들이 미국에서 생산한 차량을 역수입했고, 일부 모델은 판매 호조를 보였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미국 업체 빅3(제너럴모터스·포드·스텔란티스) 차에 대한 일본 시장 수요는 한정되고 이들의 판매 노력도 부족하다"며 "역수입은 이를 해소할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이를 통해 자동차 관세를 낮출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일본은 미국이 지난달 3일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자 강한 유감을 표하며 '자동차 관세 철폐'를 일관되게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자동차 관세는 논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

양국은 3차 협상을 앞두고 우선 실무급 협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NHK방송은 "실무급 협의에선 일본이 미국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자동차 안전기준 완화와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미국이 지적한 비관세 장벽 항목 등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실무급 협의로 이견을 좁힌 뒤 다음 주 후반쯤 3차 장관급 협상을 열 것으로 예상된다. TV아사히에 따르면 일본 협상 담당 장관인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담당장관이 실무급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르면 오는 22일 미국을 방문해 미국 협상 담당자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과 만날 예정이다.

Picture

Member for

7 month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