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은행
  • 부실 PF에 갇힌 상호금융권, 부동산 경기침체 속 공동대출 ‘부메랑’

부실 PF에 갇힌 상호금융권, 부동산 경기침체 속 공동대출 ‘부메랑’

Picture

Member for

11 months 1 week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부실 PF 사업장 9조2,000억원 규모
악성 미분양 많은 대구, 공동대출 연체율 34.75%
금융당국, 공동대출 관리 규제 개선 추진

지역 단위 농협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공동대출 연체율이 2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 금액도 올 들어 1조2,800억원가량 늘었다. 다른 상호금융도 부동산 대출을 늘리다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이 급격히 악화했다. 건설 경기가 호황이던 시기 조합원 대출을 줄이는 대신 부동산 대출을 무리하게 확대했던 상호금융이 최근 시장 침체로 부메랑을 맞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단위 농협 공동대출 연체율 19.12%

30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단위 농협의 전체 PF 공동대출 잔액은 23조2,384억원, 연체율은 19.12%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연체 금액은 4조4,427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1조2,783억원 증가했고, 같은 기간 연체율도 5.5%포인트 상승했다. 공동대출은 대규모 대출에 대해 여러 조합이 함께 대출을 내주는 방식이다. 지역 농·축협은 부동산 PF 대출을 할 수 없지만, 브리지론 등 토지 매입 자금 대출은 2개 이상의 조합이 공동대출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 단위 농협 공동대출 대부분이 이런 PF 대출이다.

단위 농협의 공동대출 연체율은 2021년 1.25%, 2022년 1.88%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3년 들어 7.41%로 급등했다. 이후 지난해 말 13.62%, 올해 8월 말 19.12%까지 치솟았다. 같은 기간 연체 금액은 25배 폭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지역의 연체율이 가장 높았다. 대구 지역 농협 공동대출 연체율은 34.75%, 연체 금액은 2,039억원이었다. 경북의 연체율은 25.42%(연체 금액 6,459억원)로 뒤를 이었다. 이어 충북 22.33%, 경기 21.58%, 강원 20.21%, 경남 19.66% 등의 순이었다.

단위 농협의 공동대출 연체액과 연체율이 치솟은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주된 이유다. 특히 대구와 경북 등 미분양 주택이 많은 지역 중심으로 관련 지표가 악화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7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대구의 악성 미분양(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3,707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경북 미분양 주택도 3,235가구에 달했다.

상호금융 부실채권 44조 규모

PF 공동대출 확대로 NPL 규모도 크게 늘었다. 이는 농협뿐 아니라 다른 상호금융 기관도 마찬가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농협·새마을금고·신협·수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권 조합·금고의 지난해 말 NPL은 43조8,673억원으로 나타났다. 새마을금고의 NPL이 16조9,55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농협(16조3,035억원), 신협(7조5,653억원), 수협(2조4,496억원), 산림조합(5,931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상호금융권 NPL은 수년간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2021년 11조3,519억원에서 2022년 15조665억원, 2023년 27조5,239억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작년엔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금융당국의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이 강화되자 NPL이 전년 대비 59.4% 급증했다.

부실채권이 급증한 건 부동산 PF 대출과 토지담보대출 영향이 크다.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은 건설 경기가 호황이던 2020년 후반부터 2022년까지 고위험·고수익 상품인 부동산 관련 대출을 급격히 늘렸다. 그러나 금리 인상기와 경기 둔화가 겹치며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돼 연체와 부실로 이어지는 상황이다. 상호금융권이 투자한 부동산 PF 부실 사업장 규모가 금융권 전체에서 가장 많을 정도다. 금감원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상호금융권 PF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는 9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뒤를 이어 저축은행(3조6,000억원), 증권사(3조4,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2조1,000억원), 보험사(6,000억원), 은행(4,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상호금융, 부실 PF 정리해 '새출발'해야

이에 금융당국은 상호금융의 대규모 대출 부실의 근본적 원인으로 지목되는 공동대출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중앙회 사전 심사를 받아야 하는 공동대출 규모를 하향 조정하고 부동산 PF는 별도 관리 기준을 만드는 식이다. 당국이 규제 필요성을 제기하는 또 다른 배경에는 상호금융의 정체성 문제도 있다. 상호금융은 조합원 공동 유대를 바탕으로 지역밀착 서민금융을 제공하는 게 본업이다. 한국금융연구원도 지난해 ‘상호금융의 정체성 확립 및 감독체계 개편 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구정한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상호금융기관은 본래의 설립 취지에 맞게 운영되도록 과도한 수익성·성장성 추구를 억제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상호금융기관에 대한 동일기능-동일규제 원칙이 적용되도록 건전성 감독을 일원화하는 방안이 가장 수월하고 현실적인 방안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이찬진 금감원장도 상호금융권에 부실 부동산 PF를 조속히 정리해 내년에 새 출발 할 수 있게 하라고 당부했다. 19일 서울 농협중앙회 본점에서 열린 '상호금융 중앙회장 간담회'에 참석해 "부실 PF 부분이 계속 상호금융의 발목을 잡고 있다"며 "부동산 개발성 대출과 관련돼 부실이 확대되는 부분을 빨리 잡아서 신속한 금융 회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게 굉장히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상호금융권에 부실 PF 연체율이 상승하고 수익성도 악화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악순환의 연결고리를 끊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앙회 차원에서 마지막으로 (부실 PF를 정리) 해서 내년부터는 새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으면 한다"며 "중앙회장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11 months 1 week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