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제인
[email protected]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 '취약기업 상환능력 분석' 발표기업 채무 1,900조원, 양은 늘어나고 '질'은 떨어지고체감경기도 양극화, 수출기업 업황은 '개선' 내수는 '악화'
KIF_FE_20240429
기업들이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액이 1,900조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상환 능력이 부족한 취약기업의 차입금 비중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준만큼이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여파의 직격타를 정면으로 맞은 기업들의 연체율도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는 와중에, 고물가 장기화에 따른 민간소비 부진과 경기 침체까지 겹치며 기업들의 체감경기 양극화도 심화하는 모습이다.
금융당국, 불법공매도 차단 시스템 'NSDS' 공개정상 결제 무차입 공매도 등 감독 사각지대 해소


최근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로 대변되는 3고(高)의 파고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이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며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회사 돈을 사용한 골프 금지령부터 해외 전시회 불참, 임원 보수 한도 축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경영 불확실성의 대비 태세 수위를 높이는 모습이다.
한미글로벌·한반도미래연구원 공동 세미나 개최주택수요량 2040년 이후 꺾여, 집값도 하락 전환수도권·도심보단 지방·교외가 집값 하락 가파를 것


세계 유일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제조기업인 네덜란드의 ASML이 해외에 본사를 이전하려던 방침에서 한발 물러나 자국 내 대규모 시설 확장에 나선다. 앞서 대형 글로벌 기업의 해외 이전 악몽이 있는 네덜란드 정부의 긴급 지원책에 방향을 튼 것이다.
연준 관계자들, 잇따라 '금리 인하 내년 이후'에 무게일부 연준 위원 "필요시 금리 인상할 수 있다" 발언도금리 인상 가능성 대두에 원달러 환율 사흘 만에 반등
Federal-Reserve-System_FE_20240419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인사들이 연일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인플레이션 반등 가능성과 견고한 미국 경제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도 나오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개입으로 겨우 진정세를 보이던 원달러 환율이 다시금 출렁이고 있다.
뉴욕증시, 금리 인하 멀어지자 줄줄이 하락고금리 유지에 미국 상업용 부동산 부실 위험↑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금리 내릴 때 아냐"
STANDARDPOORS_FE_20240418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를 비롯한 뉴욕증시가 4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무너지면서 고금리 우려가 시장을 압박한 결과다. 좀처럼 꺾이지 않는 고금리 기조에 수년간 채권 만기가 줄줄이 예고돼 있는 미국 상업용 부동산의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금리가 해결되지 않는 이상 상업용 부동산에 청신호가 들어올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분석한다.
예상 뛰어넘은 고물가 지표에 '연내 3회 인하' 입장 선회파월 발언에 달러화 최강세, 2년물 국채 금리 5% 넘기도원·달러 환율 한때 1,400원 돌파, 금리 인하도 불투명
Jerome_Powell_Fed_FE_20240417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기준금리 인하 연기를 시사했다. 미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최근 석 달간 물가 지표마저 예상을 크게 웃돌자 기존의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다. 파월 의장의 발언에 미국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5% 선을 돌파했고, 달러는 더욱 강세를 나타냈다. 이에 당초 7~8월로 예상됐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도 불확실성이 커졌다.
금감원, 건전성 우려 저축은행에 자본확충방안 제출 요구'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발 리스크' 금융권 전반 확산 차단부동산 업황 악화·PF 부실 확산 위기에 올해도 실적 개선 요원
savings-bank_PE_20240416
금융당국이 부실 조짐을 보이는 저축은행에 건전성 관리를 위한 자본확충방안을 요구했다. 최근 저축은행의 건전성 우려가 심화하는 만큼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 일종의 ‘컨틴전시 플랜(비상 계획)’을 미리 마련하라는 것이다. 금융업계에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부실 확산에 따른 ‘저축은행 사태’ 재발을 미연에 차단하기 위해 당국이 선제 조치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치솟는 원달러 환율, "1,400원 지붕 뚫리나"Fed 금리 인하 지연에 중동 전쟁 우려까지 겹쳐


페퍼저축은행 지난해 순손실 1,000억원대, '업계 최대'지난해 79개 저축은행 총 순이익 '마이너스'로 돌아서


강성 거대 야당 탄생, 22대 국회 여야 관계 '험로' 전망금투세 폐지 등 윤 정부 감세안들 줄줄이 좌초 위기밸류업도 제동 걸릴까, 코스피 2,700선 붕괴하기도
Financial-investment_001_FE_20240411
제22대 총선에서 야당인 민주당이 대승을 거두면서 그간 정부·여당이 주도해 온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동력을 잃을 것으로 전망된다. 증시 세제 개편은 법 개정 사안인 만큼 거대 야당이 ‘부자 감세’ 반대를 내걸고 제동을 걸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레임덕(권력 누수)까지 겹칠 경우 정부의 금융 정책 추진력이 더욱 약화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 월가의 황제, 미 경기 낙관론 경계 "금리 급등 가능성 경고"예상보다 인플레 높게 유지될 수도, 금리인하 대신 8%로 인상도 가능


합병 시초가 대비 절반도 안 되는 가격에 거래실적 기반 얕은 기업 대다수, 상장 자체에 목적


HUG, 전세사기 여파로 지난해 당기순손실 4조원 육박국토부, HUG에 4조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의


대통령실 “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규모로 대폭 증액”내년 R&D 예산 '역대 최대' 발표에 과기계 일단 "환영"


국내 상속세, 기업에 최대주주 할증과세 적용 '실제 상속세율' 60%한미약품그룹-OCI그룹 통합 신속 추진 배경도 상속세 문제 영향


임씨 남매 사촌들, 주주총회서 막판 형제 측 지지
모녀 vs 형제 분쟁, 결국 형제 측 승리로 막내려
상속세 납부 및 신약 개발 R&D 재원 마련 숙제
hanmi_bro_FE_20240402
3월 28일 경기 화성시 신텍스(SINEX)에서 열린 제51기 한미사이언스 정기주주총회 참석 중인 임종윤(왼쪽) 한미사이언스 사장과 임종훈(오른쪽) 한미정밀화학 대표의 모습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에서 송영숙 회장의 특별관계인으로 분류됐던 고 임성기 창업주의 조카들이 형제 측 손을 들어주면서 임종윤 전 한미약품 사장의 경영복귀가 확정됐다.
프랑스, 실업급여 지급 기간 18개월에서 12개월로
연금개혁 성공 이끈 마크롱, 노동개혁 성공도 가시화
원조 유럽의 병자 취급 받던 프랑스, 개혁이 바꾼 신세
FRANCE_unemployment_PK_20240329
프랑스 정부가 노동개혁의 일환으로 실업급여 개편에 나선다. 실업급여 지급 기간을 18개월에서 12개월로 줄이고 자격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로, 실업급여가 노동자의 재취업 의지를 꺾는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조처다.
1990년 이후 34년 만에 엔화 가치 최저치 기록
견고한 강달러 및 미온적 통화긴축 기조가 원인
엔·달러 환율 155엔 넘으면 실개입 나설 수도
yen_dollar_fe_20240328
엔화가 달러당 152엔에 근접하며, 버블 경제 시절이던 1990년 이후 약 34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지난 19일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해제를 계기로 엔화 약세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예상과는 반대로, 엔저 고삐가 풀린 모양새다. 시장은 일본은행의 미온적인 통화긴축과 견고한 강달러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이런 가운데 시장의 눈은 일본 금융당국의 실개입 여부에 쏠리고 있다. 사실상 실개입 외에는 ‘슈퍼 엔저’를 방어할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