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서울연구원 '감성도시 서울' 위한 정책포럼 개최, '녹지 양극화’ 해결될까
Picture

Member for

1 month 3 weeks
Real name
한세호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세상에 알려야 할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정보는 물론 재미와 인사이트까지 골고루 갖춘 균형 잡힌 기사로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출처=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이 한강과 서울의 주요 수변지역에 대한 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포럼을 개최한다. 서울연구원은 주요 지류하천 수변지역 이용 활성화 방안, 시민들의 다양한 생활양식을 담아내기 위한 열린공간 활용 방안 등을 제안하고, 학계 전문가와 실무 담당자가 참여하는 토론회도 마련했다. 다만 분석 결과 서울의 생활권 녹지가 지역에 따른 양극화로 인해 실제 활용 가능한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난 만큼, 자연환경뿐 아니라 시내 유휴공간을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서울 주요 수변지역과 열린공간 활성화 논의

서울연구원은 28일 '감성도시 서울 실현을 위한 정책제언'을 주제로 ‘2023년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서울시 주요 수변지역과 열린공간(오픈스페이스)을 중심으로 공간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첫 번째 발표는 김성은 서울연구원 환경안전연구실 부연구위원이 ‘서울시 주요 지류하천 수변지역 이용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진행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서울시 4대 권역하천인 안양천, 중랑천, 탄천, 홍제천을 대상으로 수변지역의 현황과 특성, 시민들의 이용특성,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하천변 간선도로, 도시기반시설지 등으로 인한 수변과 하천과의 공간적 단절 ▲수변의 입지조건과 풍부한 활용자원 간의 연계성 부족 ▲시민들의 이용욕구 반영 부족 ▲단순화되고 획일화된 하천 이용행태 등이 수변지역 이용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김 부연구위윈은 “각 하천과 수변이 갖는 특성 및 잠재력을 기반으로 수변의 매력을 드러낼 수 있도록 지역자원과 연계된 브랜드화와 지역거점 조성(안양천)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두 번째로는 윤서연 서울연구원 도시인프라계획센터 부연구위원의 ‘‘따로 또 같이’ 사회, 열린공간 서울’ 발제가 이어졌다. 윤 부연구위원은 “최근 30년간 서울의 주요 거점지역에 열린공간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공원과 광장이 조성됨에 따라 시민들의 여가공간으로 활용돼 왔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서울의 자연녹지·하천·공원 등 열린공간은 45%(16.2㎡)로, 뉴욕·파리의 1인당 공원면적(10.7㎡·14.7㎡)보다 많은 편이다.

그러나 윤 부연구위원은 “그 외 서울의 55% 면적은 도시의 ‘나머지 공간’으로 소극적·관례적 조성에 머물러 있다”며 특히 “잘 쓰이지 않거나 찾아보기 어렵고, 즐길만한 공간은 여전히 부족해 열린공간으로의 접근은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그는 “시민들의 다양한 생활양식을 담아낼 수 있는 플랫폼으로써 열린공간의 개념 전환”이 필요하며 “도심 속 열린공간 조성을 위해 숨어있는 혹은 찾기 어려운 작은 열린공간을 드러내 잠재력을 찾고, 나아가 이들을 이어주어 시민들의 도시 활동을 포괄할 수 있는 일상의 도시공간으로 탈바꿈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의 높은 생활권 녹지’ 비율의 실상

서울의 절반 가까운 지역이 자연녹지 등 열린공간인 것은 사실이나 문제는 지역별로 녹지 비중 양극화가 심하다는 점이다. 지난 2021년 한양대 도시공학과 연구진은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에 ‘구글스트리트뷰와 딥러닝을 활용한 서울시 녹지 형평성 분석’ 논문을 통해 기존의 녹지 비율을 파악하는 식생지수 등의 전통적 분석 방식 대신 구글스트리트뷰 이미지에 나타난 실제 생활권 녹지 비율을 분석했다. 실제 시민들이 거주하는 생활권과 거리가 먼 산림이나 대규모 공원 대신 작은 공원, 아파트 조경수 등의 생활권 녹지 비율을 추산한 셈이다.

분석 결과 서울 외곽인 북서부, 남서부, 남동부 지역은 전통적 분석의 결과대로 대규모 산지와 녹지가 많았지만, 실제 생활권 녹지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진·금천·양천구 대부분 지역, 관악·은평구 일부 지역은 가로 녹지율 분포가 부족한 반면, 강남, 서초구 대부분 지역과 강동·노원·송파·종로구 일부 지역은 생활권 녹지가 비교적 밀집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이러한 차이에 대해 가로녹지율이 기존의 전통적 분석 방식과 다른 가로변에 존재하는 생활 녹지가 중심으로 추산됐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연구에 활용된 구글스트리트뷰가 차량을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인 만큼 차량 시선에서의 녹지 비율이라는 한계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시민들이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 개념과 비교했을 때 이 같은 새로운 녹지 분석은 향후 서울시의 열린공간 활용 활성화 정책 방안에 의미 있는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고 평했다.

출처=서울연구원,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생활권 녹지 양극화의 또 다른 배경, ‘녹지 조성 및 관리 기관의 부재

대표적으로 생활권 공원과 녹지 조성을 일관성 있게 주도할 수 있는 기관의 부재가 녹지 양극화의 원인으로 꼽힌다. 서울시 공원 조성은 푸른도시여가국이 주도하고 있으나, 시행 사업이 많은 탓에 생활권 녹지 조성사업이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서울시에는 2,600개 공원이 있지만 대부분 자치구 공원이며, 이 가운데 22개만 서울시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다. 그 외 공원은 구청에서 관리하고 서울시는 지도감독만 하고 있다. 이처럼 관리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녹지 서비스에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는 ‘2030 한강자연성 회복계획’, ‘푸른도시선언’ 등의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시민들이 체감하는 녹지 접근성과 지역에 따른 불균형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서울 시민단체 ‘생명의숲’에 따르면 서울의 공원, 도시공원, 도보생활권공원의 자치구별 격차는 최대 14.3배에 달한다. 또한 서울시 전체 인구 70%의 1인당 공원면적은 3제곱미터 이하에 불과하며, 특히 서울의 423개 행정동 가운데 생활권 도시공원이 전혀 없는 곳도 7곳이나 된다.

허상만 생명의숲 이사장은 “도시의 유명 공원이나 한강 수변 등 경관이 빼어난 녹지 주변은 값비싼 주거단지로 둘러싸여 있다“며 ”인구가 밀집된 서울의 한 자치구는 아파트 재개발로 조경녹지가 증가했지만 정작 늘어난 녹지면적이 사유화되면서 이용자를 배제하는 현상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선 불균형 해소를 위해 도심의 유휴공간들을 활용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서울의 한 시민단체 활동가는 “자연공간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도심 내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며 ”푸른도시서울상, 산림청의 제도권 내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상지 확보나 조성비용 확보에 한계가 있다. 기초 자치단체 의지에 따라 편차가 크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민참여 창구 등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3 weeks
Real name
한세호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세상에 알려야 할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정보는 물론 재미와 인사이트까지 골고루 갖춘 균형 잡힌 기사로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