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신규 인력 채용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조사와 비교할 때 채용을 고려하는 기업 비율은 소폭 줄었지만, 평균 채용계획 인원은 오히려 늘었다. 특히 제조업 생산직에서 인력 수요가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나며 팬데믹 이후 중소기업 고용시장 내부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대비 채용계획 기업은 5.6% 하락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4월 ‘참 괜찮은 중소기업’ 플랫폼에 등재된 중소기업 1,031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도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응답기업의 71.0%가 신규 인력 채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선 응답기업의 76.6%가 채용계획이 있다고 답한 것과 비교할 때 채용을 고려하는 기업의 비율이 소폭 줄어든 셈이다.
그러나 기업당 평균 채용인원은 상반된 양상을 나타냈다. 올해 채용 규모는 평균 6.6명으로 지난해 4.3명보다 2.3명이나 더 늘었다. 채용 규모를 확대한다는 응답(27.4%)도 규모를 축소한다는 응답(9.7%)보다 높았다.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62.9%였다.
한편 채용계획이 있는 기업 가운데 37.6%가 경력직을 선호했고, 별도 자격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도 41.4%로 높았다. 아울러 올해 인력운용현황에 대한 설문에서는 과반수(55.7%)의 중소기업이 인력 상황이 적정하다고 응답했다. 필요인원 대비 재직인원 비율은 평균 90.9%로 전년 대비 8%p 증가했으며, 필요인원의 ‘100%’ 이상을 채용한 기업 역시 49.9%로 지난해(29.3%)보다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방역조치가 완화됨에 따라 고용 상황이 점차 회복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팬데믹 이후 회복되는 고용시장에 나타난 양극화 현상
고용시장 전반이 회복되고 있지만, 중소기업계 내부에서도 양극화 현상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기업 규모가 클수록 신규 직원을 채용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채용 계획이 있는 기업별 규모를 따졌을 때 300인 이상 기업이 8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0~299인 82.6% △50~99인 74.4% △10~49인 67.4% △10인 미만 52.6% 순으로 신규 직원 채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신규 채용계획을 가진 기업 비율이 모두 70%대를 넘어섰던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직무별로 살펴보면 생산직의 채용 계획이 44.7%로 가장 높았다. 팬데믹에 따라 고용 규모를 대폭 축소했던 제조업 중심으로 활발히 채용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뒤로는 연구개발·생산관리(32.8%), 기타(20.8%), 국내외영업·마케팅(20.1%) 순으로 높았다.
한편 정부와 지자체의 청년 취업 지원 정책 등이 중소기업의 신규 채용규모 확대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정부는 올해 청년 지원 제도 전반을 정비하며 청년들의 고용 확대를 위한 ‘청년 일자리 지원 제도’를 확대했다. 이 가운데 청년들의 취업 촉진을 위해 취업 수당과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청년도전지원사업’과 기업들의 청년 고용 확대를 유도하기 위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 등이 대표적인 정책으로 꼽힌다.
청년 실업률 개선되고 있지만 ‘불안정한 일자리’ 위주
올해 들어 청년 실업률의 개선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달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만 15∼29살 청년 실업률은 6.7%(청년 경제활동인구 417만 명 중 실업자 27만9천명)다. 이는 1999년 6월 이래 역대 1분기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로, 코로나19 기간인 2021년 이후 매 분기 개선되고 있다.
다만 이 같은 개선세와 달리 청년들의 고용 안전성을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 청년 취업자의 산업별 취업 분포를 살펴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이 올 1분기 청년 취업자 수 증가세의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3월 기준 청년 취업자수가 55만3천명이었지만 올해 3월에는 64만3천명으로 9만 명이나 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제조업과 도매 및 소매업은 지난해 3월보다 각각 5만 명, 7만6천명 줄었다.
근로 계약기간을 살펴봐도 일자리 질이 나빠지고 있음이 드러난다. 올해 3월 근로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청년층 상용 근로자(249만3천명)는 지난해보다 4만5천명 감소한 반면, 계약 기간 1개월 이상∼1년 미만인 청년 임시직(106만8천명)과 계약 기간 1개월 미만인 청년 일용직(13만8천명)은 각각 1만3천명, 1만 명 늘어났다.
나아가 실업자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그냥 쉬는 청년’도 급증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자신의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답한 청년 수는 전년 동기 대비 5.1% 늘어난 45만5천명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노동연구원 관계자는 “과거 쉬는 인구에는 정년퇴직이나 건강상의 이유를 가진 고령층 비중이 높았지만, 현재는 청년 비중이 급증하는 추세”라며 “청년들의 일자리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과 고용 정책에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