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발로 뛰던 건설에서 종이 없는 행정으로” 공공 건설사업 정보 디지털화 나선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

수정

사진=pixels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국내에서 진행되는 모든 공공 건설사업 정보를 디지털화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제6차 건설공사 지원통합정보체계 기본계획'을 5일 발표했다.

건설CALS 개방률 75%로 확대-BIM 개선-전면 디지털 환경으로 개선

건설공사 지원통합정보체계 기본계획은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정책 로드맵으로 이번에 발표된 6차 계획은 올해부터 2027년까지의 계획에 해당한다. 이번에 발표된 기본계획은 건설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cycle Support) 정보 개방률을 75%까지 확대하는 등 건설의 디지털화를 앞당기겠다는 게 골자다. 건설CALS는 건설 발주자와 업계가 건설생애주기의 모든 과정에 대한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정보화 시스템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건설CALS 정보 개방률은 59%다.

더불어 공공·민간이 주도하는 건설 정보를 통합 관리해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3차원 정보 모델을 기반으로 관리 대상 건축물의 생애 주기에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통합해 설계 및 시공에 활용하는 건설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활용 환경도 개선할 방침이다.

건설과 관련된 행정 업무 역시 2030년까지 전면 디지털 환경으로 전환해 종이 없는 행정으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지원환경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업무의 간소화와 건설사업 정보시스템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디지털 공사 관리 지원체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건설공사 지원통합정보체계 기본계획 발전 과정/출처=국토교통부

ICT 발전, 인구구조 변화가 앞당긴 '건설 디지털화'

이번 건설공사 지원통합정보체계 기본계획에 건설 정보 디지털화가 핵심 과제로 제시된 것은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 중인 건설정보 관련 시책과 연계된 공유·활용 중심의 건설정보혁신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

건설 업계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의 발전과 함께 빠른 속도로 개방화·자동화·지능화를 실현하고 있다. 고령화와 생산인구 감소로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새로운 건설 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자 지금까지 많은 인력이 투입되던 단순 반복 작업에 자동화와 기계화가 도입됐다. 더불어 대표적인 '발로 뛰는' 산업으로 꼽히던 건설 분야에서도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비대면 업무가 증가했다는 점은 대면 산업에서 디지털 중심 산업으로 산업 전체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GS건설, DL건설, 포스코건설을 비롯한 국내 30대 건설사는 빠짐없이 스마트건설기술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업계는 지금으로서는 ‘BIM·디지털 전환’에 불과하지만, 앞으로 5년 안에 건설 분야에 ‘AI 및 빅데이터 기술’이 핵심 경쟁력으로 떠오를 것이라 내다보고 있다. 그동안 건설 산업은 다른 분야에 비해 느린 속도의 기술 혁신으로 생산성이 정체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지만, 이제 건설 과정에도 BIM을 비롯해 AI, XR(AR, VR 등 확장 현실), 플랫폼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대되며 노동집약에서 기술집약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 역시 건설 디지털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2021년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과학기술원 융합 오픈 XR 플랫폼 구축 사업에 465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으며, 지난해에는 7월과 9월, 12월 각각 스마트건설활성화방안, 제7차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 디지털 국가전략 등 디지털 중심 건설 분야 기술 발전 전략 및 법정계획을 발표했다. 디지털플랫폼 정부, 한국판 뉴딜2.0 등 디지털 혁신에 대한 정책적 지원 역시 지속적으로 확대 중이다.

글로벌 미래 성장 핵심 키워드 "디지털 전환"

건설 산업의 디지털 전환 바람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들은 경제회복과 산업구조 재편을 위한 미래 성장의 핵심 전략으로 디지털 전환을 내세웠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건설 생태계 변화와 산업혁신에 중점을 둔 ‘제조업기술확장파트너쉽(Manufacturing Extension Partnership)’과 ‘사회적 거리두기 디지털 정책(Digital Policy for Physical Distancing)’ 등을 추진 중이다. 미국은 이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도 산업의 활성화를 동시에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국은 브렉시트 이후 국가 경쟁력 확보와 디지털 경제 활성화에 주력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비용 33% 감축, 공기 및 탄소 배출량 50% 감소, 전문가 50% 확대 등을 목표로 하는 건설 2025(Construction 2025)를 내세웠다. BIM을 기반으로 건설 환경을 개선하고 안전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건설의 전 단계인 프로젝트 조달 및 협업시스템 관리에도 스마트화를 추진 중이다.

EU 역시 친환경성과 디지털화를 동시에 강조한 ‘신산업전략 패키지(New Industrial Stratetgy)’를 추진 중이며, 중국은 코로나19 사태로 크게 흔들린 자국 경제를 부양할 정책으로 ‘신기건(新基建, 신인프라건설)’을 전면에 내세웠다. 전통적 인프라 외에도 IoT와 빅데이터, AI 등 융합 인프라를 비롯해 정보통신, 혁신 인프라 구축에 지원을 아끼지 않을 전망이다. 일본 역시 지리공간정보, 방재정보, 각종 통계정보 등 신뢰성 높은 공공 데이터 제공을 통해 세계 최첨단 IT 국가를 창조한다는 내용의 ‘IT 신전략’을 2019년부터 이어오고 있다.

대한민국 건설 디지털화, 어디까지 왔나?

지금까지 우리 정부의 건설 디지털화는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각종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기는 했지만, 구체적인 제도와 표준화 정비에 미흡한 나머지 BIM의 현장 적용은 여전히 아쉬운 수준이다. BIM과 CALS의 연계도 초기 단계에 머물렀다. 무엇보다 문제점 개선을 요구하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아 민간의 건설사업정보 공유 수요에 대응하지 못했다는 점도 한계로 지적된다. 글로벌 건설 산업 기술 환경 변화에 발맞춰 정부 주도의 건설 디지털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다양해진 민간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더불어 선도적 기술 정착을 위한 지속적인 세부 제도 및 표준화에 대한 정비 또한 수반돼야 할 것이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Real name
안현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정보 범람의 시대를 함께 헤쳐 나갈 동반자로서 꼭 필요한 정보, 거짓 없는 정보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오늘을 사는 모든 분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