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美 빅테크 '보유 현금' 5,700억 달러 넘는데, 못쓰는 이유는?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빅테크 5개사 현금 및 장단기 투자금 5,700억 달러 보유
영업현금흐름 6~10위 기업의 2배 넘어선 규모
기업 인수합병 원하지만 전 세계 규제 강화로 인해 난항
BIGTECH_TE_20240408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모회사 알파벳, 아마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등 5대 빅테크가 보유한 현금이 6,0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업들은 막대한 자금력으로 인수합병(M&A)을 모색하고 있지만 각국 경쟁당국의 빅테크에 대한 감독 강화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효율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5개 빅테크 보유 현금 5,700억 달러로 집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를 인용해 지난해 애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알파벳, 메타 등 5개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이 총 4,768억9,000만 달러(약 645조원)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애플이 1,164억3,000만 달러(약 157조원)로 가장 많았고 MS 1,026억5,000만 달러(약 139조원), 알파벳 1,017억5,000만 달러(약 138조원), 아마존 849억5,000만 달러(약 115조원), 메타 711억1,000만 달러(약 96조원) 순이었다.

이들 상위 5개 기업의 영업현금흐름은 6~10위인 엑손모빌, 버크셔해서웨이,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웰스파고, AT&T의 총액 2,282억2,000만 달러(약 308조원)의 두 배를 넘어섰다. 영업현금흐름에 장·단기 투자금까지 합치면 빅테크 5곳의 현금 보유액은 5,700억 달러(약 771조원)에 달한다고 WSJ는 분석했다. 다른 업종처럼 높은 고정비용 없이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업 모델 덕에 더 많은 현금을 창출할 수 있었다.

사용처 찾기는 과제, M&A자사주 매입 등에 지출

문제는 빅테크들의 막대한 자본이 본업이 아닌 M&A, 자사주 매입, 배당 등에 과잉 지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온라인 마케팅 소프트웨어 업체 허브스팟 인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인수가는 400억 달러(약 54조원)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로이터통신이 구글의 인수 타진 소식을 보도하기 전보다 프리미엄이 30% 붙은 가격이다. 구글의 역대 M&A 중 가장 규모가 컸던 2012년 모토로라 인수가 125억 달러(약 17조원)의 3배가 넘는 금액이다.

업계에 따르면 구글의 1분기 기준 현금 보유액은 980억 달러로, 빅테크들 가운데서도 가장 큰 규모의 드라이 파우더(미소진자금)를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메타의 두 배에 달하며 애플의 645억 달러도 가볍게 웃도는 수준이다. 구글이 허브스팟 인수를 추진하게 된 데는 MS가 여러 난관을 극복하고 블리자드 인수를 성사시킨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apple_goolge_VE_20240408

M&A 원하지만 각국 경쟁 당국 규제에 불발되기도

하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규제당국이 빅테크의 시장 지배력 확대를 경계함에 따라 M&A가 성사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실정이다. 실제로 최근 몇 년 동안 각국의 경쟁 당국은 빅테크 기업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며 인수 계획을 불허했다. 또 최종 승인을 받더라도 과거에 비해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MS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는 성사되기까지 2년 가까이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M&A가 막바지에 이르러 무산된 것은 MS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에는 포토샵으로 유명한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가 디자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피그마와의 합병 계획을 전격 철회했다. EU와 영국 경쟁 당국이 두 회사 간의 합병이 경쟁을 저해한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은 데 따른 것이다. 당시 어도비가 제시한 가격은 200억 달러(약 26조원)로 소프트웨어 업체 인수로는 사상 최대 규모였는데 계약 파기로 위약금 10억 달러를 지불하게 됐다.

이에 앞서 지난해 5월에는 메타가 영국 경쟁 당국의 제동으로 2020년 인수했던 지피를 헐값에 매각했다. 지피는 이른바 ‘움짤’이라고 불리는 GIF 이미지 파일 공유 플랫폼으로 메타는 이를 4억 달러에 인수해 인스타그램과 합병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영국 경쟁 당국은 해당 거래가 소셜미디어 플랫폼과 영국 광고주 간 경쟁을 제한할 수 있다며 매각을 명령했다.

이처럼 M&A가 줄줄이 좌초되면서 테크 업계에서는 “기술 기업 간 대규모 M&A는 앞으로 불가능해진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EU의 경우 미국의 빅테크에 의한 시장 잠식을 막기 위해 M&A에 더 강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고 미국 역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후 부정적 기류가 부쩍 강화됐다. WSJ는 “벤처기업이 회사를 매각해 초기 투자에 대한 수익을 얻고 이를 다른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선순환 구조가 망가졌다”고 꼬집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