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건설사 부도 신고, 전년 대비 두 배 늘어 치솟는 공사비에 재무 상황 줄줄이 악화 "원자재 가격 또 뛴다" 고환율 추세에 우려 확산
올해 건설 경기 침체로 국내 건설사들의 부도 건수가 5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공사비 상승, 미분양 증가 등으로 기업 재무 부담이 가중되며 건설업계 전반이 휘청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건설사 부도·폐업 속출
12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부도를 신고한 건설사는 총 27곳으로 확인됐다. 이는 2019년(49곳) 이후 5년 만에 최대치이자, 지난해 같은 기간(13곳) 대비 두 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부산 6곳 ▲전남 4곳 ▲경남·경기 3곳 등 순으로 부도 사례가 많았다. 광주에서는 2곳, 서울, 울산, 강원, 충남, 전북, 제주는 각각 1곳의 건설사가 부도 처리됐다.
경영난에 허덕이다 스스로 문을 닫은 건설사도 증가했다. 올해 1~10월 폐업을 택한 건설사는 2,104곳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4% 늘어난 수준이다. 업역별로 살펴보면 종합건설사 폐업은 394곳으로 20.9% 증가했고, 전문건설사 폐업은 1,710곳으로 8.3% 늘었다.
건설 체감경기 역시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1월 건설경기실사지수(CBSI)는 669로 전월 대비 40p 하락했다. 지난 5월 지수 개편 이래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고 풀이한다.
공사비·미분양 부담에 위기 가중
시장은 건설업 경기 침체의 원인으로 공사비 상승을 지목한다. 2년 이상 공사비 상승세가 이어지며 건설사들의 재무 부담이 가중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기준 100이었던 공사비지수는 2021년 117.37, 2022년 125.33으로 상승했으며, 올해 9월에는 130.4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공사비지수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건설공사 직접공사비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다.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급등이 꼽힌다. 2020년 톤당 7만5,000원이었던 시멘트 가격은 올해 11만2,000원으로 49% 올랐다. 레미콘과 철강 등 주요 건설 자재 가격도 줄줄이 상승해 공사비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이에 더해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매물 역시 건설사들에 막대한 부담을 안기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매물은 1만8,307가구로 확인됐다. 이는 9월 1만7,262가구에서 6.1%(1,045가구) 증가한 수준이자 2020년 7월(1만8,560가구) 이후 4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환율 리스크' 부각
일각에서는 공사비 상승세가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온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고환율 추세가 지속되며 건설 원자재 가격이 추가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다. 1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종가(오후 3시 30분 기준)는 전날보다 5.3원 오른 1,432.2원을 기록했다. 환율 종가가 1,430원을 넘긴 것은 지난 9일(1,437원) 이후 이틀 만이다.
현재의 고환율 상황과 관련해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는 철근 등 자재를 연간 단위로 계약해 미리 확보해 두기 때문에 환율로 인해 단기간 내 타격을 입을 확률은 낮다"면서도 "고환율 추세가 장기화하면 원자재 가격은 언제든 다시 오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자재비 상승은 공사비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안 그래도 업황이 좋지 못한 상황인데, 환율이 사업 부담을 더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고환율 상황은 국내 건설사의 해외 플랜트와 건설 프로젝트 수주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환율이 뛰면 해외 공사에 투입되는 원자재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질적인 수익이 감소하며 건설사 실적이 악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편에서는 고환율로 인해 정부가 올해 목표로 한 '해외 수주 1조 달러'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에 건설사들은 비상 대응 회의를 열고 해외 사업장 상황을 확인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