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무역 흑자 추구 안 해, 수입 늘리겠다" 노선 전환 시사한 中, 美 겨냥했나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中 국무원 부총리, 경제적 세계화 필요성 주장
무역 흑자 확대에 힘 쏟던 中, 노선 전환하나
美 대중국 수입 축소·관세 강화 움직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돼

중국이 자국은 무역 흑자를 추구하지 않으며, 향후 균형 있는 무역을 위해 수입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 수년간 수출 및 무역 흑자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던 중국이 '노선 전환'을 선언한 것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중국이 미국의 대중국 수입 축소 및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를 고려해 자세를 낮췄다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中 "무역 전쟁에 승자 없어"

 21일(이하 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중국의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는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제55차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우리는 무역 흑자를 추구하지는 않는다"며 "무역 균형을 맞추기 위해 더 경쟁력 있고 품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수입할 용의가 있다"고 발언했다. 이어 "중국 개방의 문호는 닫히지 않고 더 넓게 열릴 것이며, 우리의 비즈니스 환경은 더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딩 부총리는 경제적 세계화가 상호 이익과 공동 진보의 과정이라고도 강조했다. 그는 "보호무역주의는 어디에도 이르지 못하며, 무역 전쟁에는 승자가 없다"면서 "다자주의가 세계 평화를 유지하고 인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올바른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관세 장벽'을 앞세워 보호무역주의 강화를 시사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中 무역 흑자 '역대급'

무역 흑자를 추구하지 않는다는 딩 부총리의 발언을 접한 시장은 좀처럼 의문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중국이 무역 흑자 확대를 위해 각종 노력을 기울여 왔기 때문이다. 중국 산업계는 수출 실적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강화해 왔고, 정부는 기업들에게 저금리 대출과 보조금 등을 제공하며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인도 등 다수의 국가가 관세 강화, 수출 통제 등 견제 카드를 꺼내 들었으나, 중국의 무역 흑자 확대를 막지는 못했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무역 흑자는 사상 최대 규모인 9,921억 달러(약 1,447조원)를 기록했다. 2022년 기록했던 최고 기록(8,380억 달러)을 2년 만에 경신한 것이다. 이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수치이자, 폴란드의 연간 국내총생산(GDP)과 맞먹는 규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의 수출액은 3조5,800억 달러(약 5,221조원)으로 전년 대비 5.9% 증가했고, 수입액은 2조5,850억 달러(약 3,770조원)으로 1.1% 증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분석에 따르면 같은 기간 중국의 대미 수출은 3,600억 달러(약 526조원)로 2018년 대비 23% 늘어났으며, 대EU 흑자는 2조5,000억 달러(약 3,646조원)으로 2018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대중국 의존도 축소하는 美

이처럼 수출 확대에 힘을 쏟던 중국이 돌연 무역 흑자 축소를 감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배경에는 미국이 있다. 미국은 무역 적자를 줄이기 위해 대중국 수입을 꾸준히 축소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미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는 2,794억 달러(약 385조2,926억원)로 2022년 대비 1,029억 달러(약 141조8,991억원) 줄어들었다. 대중국 수입액이 1091억 달러(약 150조4,379억원) 감소하며 201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한 결과다. 중국산 제품 수입도 4,270억 달러(약 588조7,049억 원)로 줄어들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사태로 중국산 제품 수입이 급감했던 2020년(4,320억 달러)보다 적은 수치다.

미국은 추가적인 무역 장벽 수립도 예고한 상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전 한국을 비롯한 모든 국가의 수입품에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 60%의 고율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최근에는 중국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 각각 25%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하기도 했다.

지난 20일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해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자신의 첫 번째 임기 동안 체결한 협정을 중국이 준수하고 있는지 조사하라는 명령에 서명한 상태다. 미국이 해당 조사 결과를 근거로 대중국 제재에 나서며 관세 장벽이 현실화할 경우, 향후 중국의 무역 흑자 규모 축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