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지갑 닫은 국민들, 소매판매 21년 만에 최대 폭 감소 “끝모를 내수 부진 터널”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수정

작년 연간 소매판매액 2.2% 하락
카드 대란' 이후 최악의 소비절벽
저성장 고착화 우려, 내수부진 심화 경고

가계 소비가 ‘카드 사태’로 씀씀이가 급감했던 2003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생산·투자는 이전보다 늘며 체면치레를 했지만 내수 부진의 골은 오히려 깊어졌다. 우리 경제를 이끌었던 수출이 도널드 트럼프발 관세 여파에 한풀 꺾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수마저 반등 여부가 불분명해지면서 한국 경제의 부진 탈출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소매판매 3년째 줄어, 역대 최장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산업 생산은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전 산업 생산 증가율은 2022년 4.6%에 이어 2023년 1%로 하락한 뒤 지난해에도 1%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 생산은 4.1% 늘었다. 전기 장비·1차 금속 등은 감소했지만 반도체·의약품 분야가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반도체 분야 호황으로 4.4% 늘며 전년(-2.6%)의 부진을 극복했다. 서비스 생산은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년 증가폭(3.2%)의 절반 이하다.

투자 분야도 부문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설비 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와 운송장비에서 모두 늘어 4.1% 증가했다. 반면 건설경기를 나타내는 건설기성은 4.9% 줄었다. 2021년(-6.7%) 이후 최대 감소폭이다.

생산과 투자는 선방했지만 소비는 2.2% 감소하며 3년 연속 뒷걸음질했다. 1995년 통계를 집계한 이래 최장기간 마이너스 행진이다. 고물가·고금리로 실질소득이 줄어든 데다 임금 역시 후퇴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상반기 상용근로자 1명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354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만5,000원 감소했다.

장기간 불황이 이어지고 소비자들의 지갑마저 얇아지다 보니 유통 업계는 직격탄을 맞았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 신고를 한 통신판매 업체(인터넷으로 가구·가전·식품·의류 등을 판매하는 업체)가 총 9만4,850곳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전년(7만8,580곳)보다 1만6,270곳(20.7%) 급증한 수치다.

대형 유통사도 예외는 아니다. 이마트의 지난해 매출은 29조1,658억원, 영업이익은 1,499억원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3분기 당시 3년 만에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할 때와 달리 매출·영업이익 전망이 각각 550억원, 400억원 감소했다. 롯데쇼핑 역시 지난해 3분기 전망치 대비 매출이 약 1,200억원 줄었다. 신세계는 지난해 연 매출이 6조4,942억원으로 약 2.2%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259억원으로 17.8%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1.3%까지 내린 해외IB의 韓성장률 눈높이

올해도 소비가 되살아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고용 시장이 악화하고 가계부채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어서다. 작년 12월 취업자는 2,804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2,000명 감소했다. 2021년 2월 이후 3년 10개월 만에 줄어들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취업자 증가폭이 작년(15만9,000명)을 밑도는 12만 명가량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 9월 말 기준 한국 가계의 금융부채는 2,356조원으로 집계됐다.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은 90.8%에 달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은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으면 민간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불어난 이자비용에 가계가 지갑을 닫는다는 뜻이다.

이에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에 대한 글로벌 투자은행(IB)의 눈높이도 낮아졌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최근 주요 글로벌 IB들은 비상계엄 선포 이후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재차 하향 조정하고 있다. JP모건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종전 1.7%에서 1.3%로 크게 낮춰잡았고 ING는 1.4%로 제시했다. 씨티는 비상계엄 직후 1.6%에서 1.5%로 다시 하향조정했으며, 뉴욕증권거래소 리서치 전문 기업인 캐피털이코노믹스는 1.5%를 전망했다. 정부가 전일 경제방향정책을 통해 발표한 성장률 전망치인 1.8%와 글로벌 IB의 전망치가 벌써 최대 0.5%포인트(p)의 괴리를 보이는 것이다.

글로벌 IB들은 지난달 발생한 비상계엄 선포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와 제주항공 참사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 내수 부진 장기화 등을 이유로 꼽았다. JP모건은 "수출이 견조한 반면 지난해 1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정치·정책 불확실성으로 급락하는 등 내수 부문이 취약한 상황"이라며 "당분간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ING는 "국내외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가계와 기업의 심리지표도 2008년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이라며 "연말 항공기 참사도 가세하여 부진한 경제 심리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봤다.

내수침체·고환율에 폐업 내몰려, 中企·자영업자들 금리 인하 요구

이런 가운데 시장에서는 이달 25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출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우리 경제의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금리 인하 압박도 거세지고 있어서다. 특히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 사이에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최근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고환율과 내수 경기 부진으로 폐업이 잇따르는 밑바닥 경기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이어 “지난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시중은행들은 대출금리를 거의 내리지 않았다”며 “더 늦기 전에 정부와 중앙은행은 위축된 경기를 살릴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연합회 관계자도 “내수 경기 침체 상황에 직면한 소상공인들은 그동안 내수 활성화를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해 달라고 꾸준히 촉구했다”며 “서민의 부담을 덜어줄 실효성 있는 금융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중소기업들은 기준금리뿐 아니라 은행권 시장금리를 내릴 수 있는 정부 대책도 요청하고 있다. 컨벤션업계의 한 기업 대표는 “우리처럼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은 기술 보증 같은 담보대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금리 동결에 따른 타격이 더 크다”며 “정책자금으로 버티고 있지만 대출금리가 내려가지 않으면 대다수 중소기업이 사지로 내몰릴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김차수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정확성은 신속성에 우선하는 가치라고 믿습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신선한 시각으로 여러분께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