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글로벌시장
  • 홍콩 찾은 트럼프 차남 “금융 재정의” 선언, 미·중 스테이블코인 패권 경쟁 본격화

홍콩 찾은 트럼프 차남 “금융 재정의” 선언, 미·중 스테이블코인 패권 경쟁 본격화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수정

금융패권 경쟁에 홍콩 활용 시사
홍콩 관료 사회 ‘눈치 보기’ 돌입
미·중 기축통화 패권 최전선 낙점
8월 14일(현지시각) 에릭 트럼프 월드리버티파이낸셜 공동 창업자(가운데)가 전략적 제휴사 ALT5 Sigma의 나스닥 상장식에 참석해 환호하고 있다/사진=에릭 트럼프 X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이자, 암호화폐 기업가 에릭 트럼프가 홍콩에서 열린 가상자산 콘퍼런스에 참석해 아시아 금융 허브 장악 의지를 드러냈다. 홍콩은 미국의 아시아 진출 교두보인 동시에 중국의 방어선으로, 에릭 트럼프의 이번 발언을 계기로 미·중 금융 패권 경쟁 또한 더욱 격화할 전망이다.

아시아 금융 생태계에 영향력 행사 예고

1일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에릭 트럼프는 지난달 29일 홍콩에서 열린 ‘비트코인 아시아 2025’ 콘퍼런스에 연사로 나서 자신의 회사 월드리버티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이 아시아, 중동, 미국 전역에 걸쳐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전개하며 “전 세계 금융을 재정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미국과 중국 모두 암호화폐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같은 발언은 에릭 트럼프의 개인적 포부를 넘어 미국이 홍콩을 거점으로 아시아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시도의 연장선으로 해석됐다. 홍콩을 장악하는 순간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 등 인접 시장까지 영향력을 확산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미국이 홍콩을 미·중 금융 패권 경쟁의 최전선으로 보고, 시장 확장의 출발점으로 삼았다는 게 금융 시장 전반의 시각이다.

실제로 홍콩은 미국과 중국 양측 모두에게 ‘금융 전초기지’라는 전략적 성격을 지닌다. 미국은 홍콩을 발판 삼아 아시아 전반에 달러 패권을 확장하려 하고, 중국은 홍콩을 통해 위안화 기반 디지털 통화를 방어하는 식이다. 이 같은 구도 속에서 홍콩은 하나의 도시를 넘어 양국의 금융 패권이 정면충돌하는 무대가 된다. 결국 에릭 트럼프의 발언은 이러한 판세를 공식화한 데 불과한 셈이다.

제도는 열어두되, 정치적 부담은 최소화

홍콩 관료사회의 미묘한 ‘눈치 보기’도 이와 무관치 않다. 비트코인 아시아 2025 공식 웹사이트의 연사 명단에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의 에릭 입 치항 전무이사와 입법회(레고) 의원 조니 응 킷총은 개막 직전 제외됐다. 이를 두고 현지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이 연사로 나서는 행사에 참석하지 말라”는 성격의 요청이 있었다는 취지의 증언을 전했다. 공식적인 금지 명령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정치적 부담을 피하려는 방향성은 명확하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참석 자제 움직임은 단순한 일정 변경을 넘어 홍콩 당국의 정책 신호로 읽힌다. 미·중 사이에서 특정 인물과의 근접도를 지나치게 높였다는 인상을 주지 않으려는 의도가 깔려 있단 분석이다. 규제기관의 고위 인사가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과 함께 연단에 서는 순간 ‘미국 편향’ 프레임이 씌워질 수 있고, 이는 본토와 갈등의 씨앗을 낳는다. 당국으로선 행사 자체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노출 강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리스크를 관리한 셈이다.

그러나 이 같은 현실적 선택 속에서도 홍콩 정부는 민간 부문과 글로벌 투자자에게 ‘정책은 계속 간다’는 신호를 보냈다. 지난 6월에는 ‘디지털 자산 정책 성명 2.0’을 내놨고, 7월 초에는 스테이블코인 조례를 시행하며 법정통화 연동 토큰의 국경 간 사용 프레임을 명문화했다. 이처럼 제도는 열어두되, 정치적 해석 가능성은 낮추는 홍콩 당국의 행보는 불확실성이 높은 미·중 금융 환경에서 장기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현실적 해법으로 평가된다.

중국엔 방어선, 미국엔 공격 거점

이와 함께 국제 금융질서엔 새로운 전장이 열렸다. 홍콩금융관리국(HKMA)은 지난달 1일 홍콩달러에 가치를 고정한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를 면허제로 관리하겠단 계획을 밝히며 오는 9월 30일까지 신청을 받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홍콩을 실험대 삼아 제도를 정착시키겠다는 계획이지만, 달러에 고정된 토큰이 홍콩을 통해 확산하면 위안화 국제화 전략은 치명타를 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사실상 스테이블코인 방어선에 가깝단 평이 지배적이다.

중국 본토는 여전히 가상자산 거래를 금지하고 있지만,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인 디지털 위안화 추진에는 속도를 내 왔다. 디지털 위안화를 국경 결제에 확대 적용해 달러 의존도를 축소하려는 전략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스테이블코인이 민간 주도로 확산하면, 디지털 위안화의 전략적 가치는 희석될 공산이 크다.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스테이블코인의 80%가량이 미국 국채에 배정된 만큼 미국의 금융지배력은 갈수록 강화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중국 내부에서는 여전히 신중론이 우세하다.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는 6월 상하이 포럼에서 “스테이블코인의 등장으로 금융 관리·감독에 더욱 어려움이 커졌다”고 발언했으며, 중국 금융당국자들 역시 시장의 과열된 관심을 ‘식힐 필요가 있다’는 공통 의견을 공유했다. 이는 당국이 단순히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여부를 검토하는 수준을 넘어, 시장 심리 자체를 관리 대상으로 삼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하지만 미국 주도의 흐름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견제의 목소리 또한 거세지는 추세다.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금융개발연구소의 리양 원사는 “스테이블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와 기존 금융 시스템 간 통합은 되돌릴 수 없는 추세”라며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 중심 전략에만 의존할 경우 글로벌 통화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결국 중국의 신중론은 제도 시행 속도를 늦추되, 전략적 경쟁 구도에서는 손을 놓지 않겠다는 이중적 태도로 요약되는 양상이다.

Picture

Member for

10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정
Position
기자
Bio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