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남윤정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금감원, '손태승 사태' 관련해 내부통제 미작동 지적 경영진 문책, 지배구조 쇄신 등에 이사회 역할 강조지주사와 자회사 이사 겸직 구조, 경영진 견제 한계
20240912_wooribank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부정 대출 사태와 관련해 이사회에 대한 책임론이 확산하는 가운데, 내부통제의 중역을 수행할 사외이사의 면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를 겪으면서 다수의 사외이사들이 그간 쉬쉬한 정황이 '내부고발' 등으로 드러났는데, 우리금융 사외이사가 이례적으로 지주 및 주요 자회사에서 겸직을 하면서 자초한 부작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다이먼 회장 "1970년대식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여전해"재정 적자, 인프라 지출 확대 등 인플레이션 압박 요인


충전소 등 전기차 인프라 부족에 하이브리드차 수요 급증정부 보조금 지원받은 中 업체, '저가 하이브리드차' 공세


챗GPT 엔터프라이즈, 출시 1년 만에 이용자 급증기업용 AI 서비스가 오픈AI 핵심 수익원으로 부상오픈AI 대항마 앤스로픽도 기업용 AI 시장서 두각
20240906_ai_enterprise
오픈AI가 지난해 출시한 '기업용 챗GPT'의 유료 사용자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출시 이후 맞춤형 학습과 미세조정 등의 기능을 강화하면서 구독형 기업용 서비스가 오픈AI의 핵심 수익원으로 부상한 가운데, 오픈AI는 출시를 앞둔 신형 대형언어모델(LLM)에도 고가의 구독료를 책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中 인구학자, 韓처럼 외국인 돌보미 도입해 저출생 해소 제안'양국 간 소득 격차 크지 않아 실업률 높아 실효성 없다' 반론도


내년도 외평기금 운용액 140조원 대로 감소최근 2년간 외평기금 58조원 일반회계 전환법안 통과 늦어져 '외평채' 발행도 지연될 듯
20240901_money_korea
내년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의 운용액이 올해보다 65조원 가까이 줄어든다. 정부가 당분간 원·달러 환율이 급락(원화 가치 급등)할 가능성이 작다고 보고 구조적으로 손실이 나는 운용 구조인 외평기금을 대폭 줄이기로 한 결과다. 외평기금 수지를 개선해 ‘세수 펑크’로 악화한 재정 상황을 일정 부분 개선하는 효과가 예상되지만, 외평기금 운용액의 급변동이 외환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상시 대응 실탄이 부족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메타, AR 스튜디오·디바이스 개발 잠정 중단 올해 초 출시한 애플의 비전 프로도 판매 부진시장 선두 주자였던 구글은 구글 글래스 단종
20240830_arvr_te
애플의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가 기대보다 저조한 성과를 내면서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확장현실(XR)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오픈AI의 챗GPT 출시 이후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경쟁이 심화하면서 메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AI에 전사의 역량과 자금을 집중하고 있다.
8월 말·9월 초, 20여 개 기업 회사채 발행 추진SK 4,500억원 등 우량 등급기업도 회사채 발행


美, 고용·내수 등 경기지표 두고 전문가 엇갈린 전망제조업 침체가 노동 수요 둔화로 이어져 실업률 상승


주담대 금리 인상에 이어 전세대출·신용대출도 제한플러스모기지론도 중단, 주담대 한도 줄어드는 효과정부는 수도권 핀셋 규제, 2단계 스트레스 DSR 강화
20240822 bank loan
은행권이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에 이어 전세자금 대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최근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면서 '갭투자'를 노린 투기성 대출이 늘어남에 따라 관련 규제를 강화해 가계부채 총량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다음 달부터는 금융당국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황비율(DSR) 2단계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대출 한도가 줄어드는 만큼 수도권 주택 시장이 변곡점을 맞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알짜 기업 두산밥캣 기업가치 저평가에 소액주주 반발두산에너빌리티 인적 분할 두고도 주주가치 훼손 논란금감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하며 지배구조 개편 제동
20240821 doosan m&a
두산그룹의 사업구조 개편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압박이 장기화되는 모양새다. 앞서 금감원은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의 합병과 관련해 주주가치 훼손 논란이 제기되자 두산 측이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정정을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이어 이복현 금감원장이 증권신고서에 부족한 점이 있을 때 횟수에 제한 없이 정정을 요구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금감원이 두산 측의 정정 신고서를 계속해서 반려할 경우 두산은 다음 달로 예정된 주주총회를 열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여야, 전국 확대 시행 하루 앞두고 2년 유예 합의 택시 수요 감소, 운전자 고령화 등 고려하지 않아택시업계 줄도산 위기, 노사 어느 쪽도 이득 없어
20240820 taxi
여아가 '택시월급제'의 전국 확대 시행을 2년간 유예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2019년 택시운송사업발전법 개정을 통해 도입된 택시월급제는 기사들이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고 고정 급여를 받는 것을 골자로 한다. 기사들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한다는 취지였지만 법안 공포 이후 택시 업계 노사 모두가 폐지를 요구하면서 '수혜자 없는 정책'으로 비판받고 있다. 업계에선 국회가 현장을 모르는 탁상 입법을 추진했다가 택시 업계 전체를 혼란에 빠뜨렸다는 지적이 나온다.
극우주의 지도자 밀레이, 선거기간 반중 발언 쏟아냈지만IMF 차관 상환 부담에 취임 후 中에 통화스와프 갱신 요청


슈미트 "구글, 악착같이 일하는 스타트업 이길 수 없어"구글 근무시스템 비판한 스탠퍼드대 발언 공개 후 뭇매


시스템 반도체 수요 증가에 팹리스 시장 빠르게 성장세계 50대 팹리스에 韓 기업은 LX세미콘 단 한 곳뿐


서울시, 중국 온라인 쇼핑몰 제품 144건 안전성 검사총 11건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 물질 검출해외 직구 안전성 보장 위해 실효성 있는 규제 필요
20240814 ali te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알테쉬)에서 판매하는 샌들, 모자, 네일, 냄비 등 11종에서 국내 기준치를 훌쩍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식품 용기의 경우 지난달에도 법랑 그릇 등에서 납, 니켈 등이 검출되는 등 유해 성분이 지속적으로 확인돼 제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번에 적발된 제품 대부분이 피부 등에 직접 닿는 제품인 데다 기준치의 299배에 달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된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통계청, 2024년 2분기 지역경제동향 발표소매판매액 2.9% 하락, 15년 만에 최대폭내수 부진에 2분기 성장률 마이너스 전환
20240813 domestic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전국 15개 시도의 2분기 소비가 감소했다. 신선식품과 농산물 가격 등 생활 물가가 오른 데다 전기차와 가전기기 판매, 주유소 매출 등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민간 소비가 부진했다. 최근 2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 이어 지역 소비와 관련한 지표마저 부진한 가운데 오는 8월 기준금리 인하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월 SK·LG '역대급 물량'에 회사채 활황8월 들어 선행지표 '여전채 스프레드' 확대불확실성 증대에 기업 자금 조달 부담 커져
20240812 fe debt
올해 초 역대급 물량이 몰리면서 호황을 누렸던 회사채 시장이 다음 달부터는 주춤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달 들어 회사채 수급 여건을 가늠하는 여신전문금융회사 발행 회사채(여전채)와 국고채 간 금리 격차(스프레드)가 조금씩 벌어지는 가운데 하반기 공사채 공급 확대로 인한 구축효과 및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이 감지되고 있어서다.
中, 美 수출 규제에 막혀 첨단 반도체 생산 사실상 불가능'과학기술 자립' 위해 예산 확대, 천문학적인 보조금 지원중국산 레거시, 저가공세로 점유율 확대 '시장 잠식' 우려
20240808 china chip
중국이 미국과 서구 동맹국의 첨단 반도체 규제에 대항해 '레거시(범용) 반도체'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은 빠르게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산 레거시 반도체가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2027년 글로벌 시장의 3분의 1을 장악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7년여 만에 최대 흑자, 상품수지도 15개월 연속 흑자수출 8.7% 증가, 반도체 수출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