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국토부 'UAM 인증기준 안내서' 마련, 조기 상용화 지원한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기체 안전성 기반’ UAM 제작 기준으로 작성
새로운 UAM 기체 개발할 제작사에 제공할 방침
민간에서도 UAM 표준화 위한 시도 '활발'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정부가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개발 및 조기 상용화 지원을 위한 가이드라인(안내서)을 마련했다. 안내서는 기체 안전성 기반과 관련한 UAM 제작 기준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 최근 UAM은 화물드론, 에어택시 등을 활용해 도심의 교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항공기 기술기준 반영 및 기체 안전성 기반 UAM 실현 도모

21일 국토교통부는 UAM의 실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UAM 인증기준 안내서’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안내서 마련을 위해 지난 2월부터 항공안전기술원, 항공 전문가 등 관계자들로 협의체를 구성해 9개월간 관련 논의를 진행해 왔다.

안내서는 비행기, 헬리콥터, 엔진, 프로펠러 등 인증기준이 포함된 '항공기 기술기준'을 기본으로 작성됐다. 또 UAM 기체의 설계‧제작 및 안전성 인증 등을 위해 필요한 비행 성능, 구조, 전기 엔진 등 10개 분야(151항목)의 인증기준과 관련 절차 등이 담겼으며, UAM에 특화된 수직 이착륙 및 전기추진에 대한 기준도 수록됐다. UAM 인증을 위한 기준의 10개 분야는 △일반 △비행 △구조 △설계 및 구성 △동력장치 △장비품 △비행승무원 인터페이스 △전기엔진 △프로펠러 △지속감항성유지 등이다.

국토부는 이번 안내서를 새로운 UAM 기체를 개발해 인증받고자 하거나 이를 준비하는 제작사가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제공할 방침이다. 또 UAM 인증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이후에도 지속해서 보완할 예정이다. 유경수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관은 “향후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UAM 연구 그룹에 적극 참가해 국제표준 마련에 기여하고, 미국 연방항공청(FAA) 및 유럽 항공안전청(EASA)과 긴밀히 협력해 UAM 분야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UAM-인증기준-안내서사진국토교통부
UAM 인증기준 안내서/사진=국토교통부

UAM 표준화를 위한 시도들

민간 차원에서도 UAM 표준화를 위한 시도들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5월 출범한 UAM 관련 표준화 협의체인 ‘UAM 포럼’이 대표적이다. UAM 생태계 내 다양한 이해당사자로 구성된 UAM 포럼은 기술표준, 서비스·생태계 표준, 표준화 정책·협력 등의 분과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표준화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앞장서고 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도 UAM 분야의 글로벌 사실표준화기구 신설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UAM 포럼 지원에 나섰다. TTA는 앞서 2000년부터 민간의 표준경쟁력을 높이고 시장 중심의 표준개발 활성화를 위해 표준화포럼을 지원해 왔다. 표준화포럼은 약 2,000개의 ICT 관련 산·학·연이 참여하는 민간 표준화 협의체로 지금까지 연간 약 200건에 이르는 포럼표준과 함께 국내 기업 주도의 국제 사실표준 24건을 개발 및 보급한 바 있다.

국내 산업계가 표준화에 집중하는 이유는 표준이 그 자체로 기술 경쟁력이 되기 때문이다. 표준이 기술패권시대의 핵심인 시대에선 특정 기술이 국제기구나 시장에서 표준으로 인정되면 해당 기술을 개발한 기업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다. 이때 사실표준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처럼 시장에서 표준으로 인정받거나, 필요에 따라 업계를 중심으로 결성된 사실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하는 표준을 의미한다. 강제 사항은 아니지만 업계에선 대부분 이 규격을 준수하고, 수요가 없어질 경우 자연스럽게 도태된다. 반대 개념으론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표준화기구(ISO/IEC) 등 대표성이 있는 국제표준화단체나 정부 기관이 제정하는 공식 표준이 있다.

TTA 관계자는 “최근 자율주행 산업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듯 신기술이 개발돼도 표준과 맞지 않으면 활용되기 어렵다”며 “첨단 기술의 복합체인 UAM 산업의 미래는 기술 우위를 선점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가와 기업 간 긴밀한 연합을 통해 글로벌 표준을 확보하는 전략에 의해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정부와 민간이 합심해 표준화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