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대통령실 용산 떠나 세종 가나, 이전 기대감에 세종시 집값 '들썩'
Picture

Member for

5 months 3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수정

2021년 이후 장기간 침체 세종
지난달 바닥 찍고 꿈틀
‘천도론’에 집값 불붙어
정부세종청사 전경/사진=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조기 대선을 앞두고 차기 대통령 집무실 이전 여부에 관심이 쏠리면서 세종시 집값이 꿈틀거리고 있다. 세종시 집값이 '바닥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대통령실이 용산을 떠나 세종시로 재이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긴 데 따른 것이다.

세종시 아파트, 3월 거래량 늘고 신고가 행진

11일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지난달 세종시 아파트 거래량은 715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월(372건)과 비교했을 때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해 11월부터 거래량이 늘기 시작해 지난달 최근 3년 새 최대를 나타낸 것이다. 시장의 매수심리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아실의 주택가격심리지수(KB부동산 통계 기반)는 지난달 31일 43.6을 기록했다. 작년 12월 23일을 기점으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아직 아파트를 사기보다 팔려는 심리가 더 크긴 하지만, 작년 이맘때(6.4)와 비교하면 7배가량 증가한 셈이다.

올해 들어 반곡, 소담, 어진동의 주요 단지도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회세종의사당이 들어설 예정인 세종동(S-1 생활권)과 인접한 지역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작년 말 6억4,000만원에 거래됐던 반곡동 ‘수루배1단지캐슬&파밀리에디아트’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6억8,000만원에 거래됐다. 어진동 ‘중흥S클래스센텀뷰(한뜰마을6단지)’ 전용면적 84㎡는 3월 7억3,000만원에 손바뀜했는데, 지금은 8억5,000만원(9일, 같은 층 기준)에 매물이 올라와 있다. 매물은 감소하는 추세다. 최근 한 달 새 인터넷에 등록된 매물 4.5%가 줄었다. 지난달 거래 증가 속에 시장 분위기가 달아오르면서 매물을 거둬들이는 집주인이 늘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행정수도 이전 기대감

부동산업계는 대통령실 세종 이전에 따른 기대감이 주택 거래량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한다. 최근 정치권에서는 오는 6월 3일 대선을 앞두고 세종으로 대통령실을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2월 말 김동연 경기도지는 "불법으로 쌓아 올린 '내란 소굴' 용산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면서 대통령실의 세종시 이전을 언급한 바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도 "청와대, 여의도 국회를 합친 명품 집무실을 구축해 세종시를 국민통합의 장으로 만들자"며 세종시 대통령실 이전을 주장했다.

실제 파면된 대통령의 집무실을 그대로 쓴다는 점은 새 정부로서는 거부감이 들 수 있는 지점이다. 특히 민주당에서 이런 분위기가 강하게 읽힌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한국의 대통령실 자리가 용산이어야 된다는 것에 대해 대부분 국민들이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이 같은 이유로 개방됐던 청와대를 개보수해 다시 대통령실로 활용하는 방안, 접근성을 고려해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 집무실을 두는 방안, 이미 대통령 제2집무실을 짓고 있는 세종시로 대통령실을 완전 이전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세종시도 환영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10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선 후보들에게 대통령실과 국회의사당을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는 방안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최 시장은 "세종시를 행정수도 또는 제2의 수도로 완결시킬 개헌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더 이상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실과 국회의사당을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해 세종시를 완전한 수도로 정립하거나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이원제 국회 방안을 고려해 서울과 세종의 국가행정 운영 기능을 분리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세종시 전경/사진=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尹 정부, 2022년부터 세종시 제2집무실 추진

대통령 집무실을 세종시로 완전 이전하는 방안은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해 상당수 대권 주자들도 검토했던 사안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전에 차기 정권 출범시 대통령실의 세종 이전 가능성을 검토하라고 민주당 내 충청권 의원들에게 지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도 2022년 8월부터 세종시에 대통령 제2집무실을 추진해 왔다. 2024년 6월에 대통령실과 국회 등의 터 210만㎡(63만 평)를 국가상징구역으로 지정했고, 같은 해 10월 제2집무실 사업비를 3,846억원으로 책정했다. 2025년 상반기엔 제2집무실과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마련을 위한 국제 공모를 시작할 예정이다. 제2집무실은 2027년 이후, 제2국회는 2031년 이후 완공될 예정이다.

하지만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옮기기 위해선 큰 산을 넘어야 한다. 헌법에 세종시를 수도로 명시하는 개헌이다. 2014년 헌법재판소가 “서울이 대한민국의 수도라는 것은 관습헌법이며, 수도를 바꾸기 위해선 개헌을 해야 한다”고 결정했기 때문이다. 2018년 문재인 전 대통령은 이 내용을 포함한 개헌안을 발표했으나, 야당과 합의되지 않아 폐기됐다. 12·3 내란 뒤에도 개헌 의견이 쏟아지고 있으나, 아직 여야는 개헌 논의를 시작하지 않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총괄기획가인 황재훈 충북대 교수(도시공학)는 “현재 추진 중인 대통령 제2집무실, 국회 세종의사당(제2국회) 사업은 내용에 한계가 있다. 장기적으로 보면, 결국 온전한 시설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대통령실과 국회는 국가의 양대 중추 시설이므로 위치, 관계, 형태 등을 통합적으로 고민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법의 제정·개정, 통합 추진 조직, 통합 마스터플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3 weeks
Real name
이동진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