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딥폴리시
  • [딥폴리시]홍콩·일본, 달러 독주 속 스테이블코인 대안 모색

[딥폴리시]홍콩·일본, 달러 독주 속 스테이블코인 대안 모색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송혜리
Position
연구원
Bio
다양한 주제에 대해 사실에 근거한 분석으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전달에 책임을 다하겠습니다.

수정

달러 중심으로 고착화된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시장
홍콩·일본, 제도화된 스테이블코인으로 대응 모색
제도화·신뢰성·실행력이 성패를 가르는 핵심 요인

본 기사는 스위스 인공지능연구소(SIAI)의 SIAI Business Review 시리즈 기고문을 한국 시장 상황에 맞춰 재구성한 글입니다. 본 시리즈는 최신 기술·경제·정책 이슈에 대해 연구자의 시각을 담아, 일반 독자들에게도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사에 담긴 견해는 집필자의 개인적 의견이며, SIAI 또는 그 소속 기관의 공식 입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025년 8월 기준 전 세계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99% 이상이 미국 달러화(약 1,390조원)에 집중돼 있다. 미 연방 차원의 입법 조치가 이러한 지배력을 공고히 하면서 2024년 스테이블코인 결제 규모는 수천조원에 달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만 약 5,000억 달러(약 700조원)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핵심 쟁점은 달러의 절대적 우위 속에서 대체 통화가 현실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 여부로 모아지고 있다. 현재 아시아에서 그 가능성을 갖춘 국가는 홍콩과 일본이다. 홍콩은 홍콩달러(HKD)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을 제도화했고, 일본은 자국 국채 시장을 기반으로 엔화 표시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착수했다. 이외의 시도는 영향력이 제한적이다.

사진=ChatGPT

통화 경쟁으로의 전환

지금까지 논의는 민간 스테이블코인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대립 구도로 보는 데 집중돼 있었다. 그러나 본질은 기술 경쟁이 아니라 통화 경쟁이다. 승패를 가를 요소는 준비금의 신뢰성, 규제의 명확성, 그리고 활용 범위다.

이 기준을 가장 먼저 제도화한 국가는 미국이다. 미국은 지니어스법(GENIUS Act)을 제정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은행 수준의 감독을 적용하는 한편, 전통 금융망을 통한 유통을 허용했다. 이로써 달러 결제망은 속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고, 현재 1,200억 달러(약 167조원) 이상이 미 국채에 투자돼 있으며 하루 수십억 달러가 청산되고 있다.

아시아가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서비스 개발을 넘어 제도적 기반과 통화 신뢰성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런 점에서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조례와 일본의 자금결제법 개정은 실험이 아니라 통화정책의 도구라는 의미를 가진다.

홍콩의 선택: HKD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홍콩은 2025년 8월 1일부터 ‘스테이블코인 조례’를 시행해 준비금, 상환, 거버넌스, 공시를 모두 홍콩금융관리국(HKMA)의 감독 아래 두었다. 동시에 ▲ 소비자 대상의 디지털 홍콩달러(e-HKD) 시범 사업, ▲ 중앙은행 간 결제를 위한 다자간 CBDC 프로젝트 엠브리지(mBridge), ▲ 민간 발행 홍콩달러(HKD) 스테이블코인을 병행해 소매·도매·민간 부문을 각각 구분한 구조를 마련했다.

홍콩달러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성은 1983년부터 시행해 온 통화위원회제(Currency Board)에 기반한다. 이 제도는 발행 통화만큼 외화를 의무적으로 보유해 환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장기간 운용되며 신뢰성을 확보해 왔다. 여기에 지급결제 동시이행(DvP) 같은 디지털 기능을 더하면 기업과 금융기관이 무역 결제나 증권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시장 잠재력은 수치로 확인된다. 2024년 중국 수출액은 약 3조5,800억 달러(약 4,990조원)였으며, 이 중 3%만 HKD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돼도 연간 약 1,070억 달러(약 149조원) 규모가 된다. 이는 담보, 에스크로, 청구서 토큰화 등 2차 시장을 성장시키기에 충분하다. 또한 준비금의 매일 공시, 독립 감사, 은행 영업시간 내 즉시 상환이 보장된다면 HKD 스테이블코인은 금융기관과 규제 당국이 인정할 수 있는 안정적 결제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일본의 선택: 엔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일본은 자금결제법을 개정해 엔화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통화 표시 자산’으로 정의하고, 은행·신탁사·송금업체가 발행할 수 있도록 했다. 2025년 8월에는 일본의 핀테크 기업 JPYC가 최초로 발행 허가를 받아 엔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시작했다.

엔화 스테이블코인의 신뢰성은 1,200조 엔(약 1경1,200조원)에 달하는 일본 국채(Japanese Government Bonds, JGB) 시장에서 확보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채권 시장인 일본 국채는 변동성이 있음에도 외국인 투자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환헤지 수익률도 이를 뒷받침한다.

다만 일본은행이 국채 매입을 줄이면서 장기 국채에 대한 안정적 수요가 약화될 가능성이 위험 요인으로 지적된다. 이 때문에 준비금은 현금과 단기 국채 중심으로 운용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리스크를 줄이는 방식이 요구된다. 일본의 건전성 규제와 안정적 담보는 기업과 송금업체가 원하는 안전성을 제공하며, 엔화 스테이블코인을 아시아 지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결제 수단으로 만들 수 있다.

일본 엔화(JPY)와 중국 위안화(CNY)의 채권 및 글로벌 결제 비교
주: 항목(Indicator)-정부 채권 잔액, 외국인 보유 비중, SWIFT 글로벌 결제 비중

중국의 대응: 홍콩을 통한 위안화 실험

중국은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이는 2021년 가상 자산 전면 규제 이후 정책 방향이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발행은 홍콩에서 시험 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중국 수출업체와 가계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비공식적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안화는 여전히 국제 결제 비중이 약 3%에 머물고 있다. 자본 이동 통제와 제한적인 결제 통화 역할이 주요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한계 속에서 홍콩 법제 아래 발행되는 홍콩달러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와 연동된 안정성과 지역 규제를 통한 감독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평가된다.

미국의 전략: 정책 명확성이 만드는 우위

제도화 경쟁에서는 실행 속도가 우위를 결정한다. 미국은 연방 법 제정, 준비금 규정 강화, 은행권과의 이자 지급 논의 등 구체적인 실행 단계에 들어섰다. 준비금이 투명하고 표준화된 형태로 자본시장에 편입될 경우 국채 수요가 확대되고 담보 시장의 심도도 강화될 수 있다.

홍콩과 일본이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준비금 구성의 엄격한 기준, 독립 감사와 수탁, 상환 보장, 단기 자산 위주 운용, 매일 공시라는 원칙을 신속히 적용해야 한다. 현재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은 주 단위로 수십억 달러가 거래되지만, 비달러 기반 코인은 여전히 크게 뒤처져 있다. 아시아가 균형을 이루려면 홍콩달러(HKD)와 일본 엔화(JPY)라는 실질적 상품과 이를 뒷받침할 제도를 동시에 구축해야 한다.

2025년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의 세계 시장 점유율
주: USD(갈색), EUR(회색), 기타 (JPY, GBP, HKD 등)(분홍)

아시아의 선택

아시아의 과제는 달러 독주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대응 방식을 선택하는 데 있다. 홍콩은 HKMA의 감독 아래 홍콩달러 스테이블코인을 제도화했고, 일본은 국채 시장을 기반으로 한 법적 틀 속에서 엔화 스테이블코인을 구축하고 있다. 이외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는 이러한 구조를 보완하는 역할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미국이 이미 논의 단계를 넘어 실행 단계로 전환한 만큼 아시아가 활용할 수 있는 시간과 수단은 제한적이다. 그러나 홍콩달러와 일본 엔화, 이 두 통화만으로도 일정한 균형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시도가 실효성을 가지려면 민간 기술 경쟁이 아니라 공적 자금의 책임성에 기초해 설계돼야 한다.

본 연구 기사의 원문은 Two Rails, One Race: Why Hong Kong's HKD and Japan's Yen Are Asia's Only Real Counters to a US-Led Stablecoin Future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기사의 저작권은 스위스 인공지능연구소(SIAI)에 있습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3 weeks
Real name
송혜리
Position
연구원
Bio
다양한 주제에 대해 사실에 근거한 분석으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전달에 책임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