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입체주소(지상도로, 고가도로, 지하도로, 내부도로), 사물주소, 공간주소 등 주소정보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부의 중‧장기 계획이 마련됐다. 행정안전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등의 의견 수렴과 중앙주소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제1차 주소정보활용지원센터 운영계획’을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운영계획은 주소정보를 활용해 창업을 희망하는 기업, 주소정보 관련 기업 등을 지원해 주소산업 시장을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부는 차후 △주소정보 품질 고도화 △주소정보 활용 활성화 △주소정보 산업 창출 등 3대 목표와 4대 전략을 앞세워 향후 5년간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주소체계 체계화·고도화에 중점
이번 계획은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에 따른 하위 계획으로, 2030년까지 1조원 규모의 주소정보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주소 정보 인프라를 2배 이상 확충해 촘촘한 주소 체계를 구축하고, 주소 정보 활용 확산을 통해 연간 3조3,000억원의 비용편익을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먼저 주소체계 입체화, 사물주소 확충(14종→35종) 등을 통해 주소정보를 한층 체계화할 예정이다. 또한 고품질의 주소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람‧차량‧로봇별 이동 경로 및 출입구를 구축하는 등 주소체계를 지능화하고, 주소정보 생산·관리 품질 검사를 강화해 나간다.
아울러 주소정보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실내 내비게이션 등 산업 모델을 개발‧보급하고, 한국형 주소(K-주소)를 국제표준(ISO 등)에 반영하는 등 국내 주소정보 기업의 해외 진출 기반을 마련한다. 주소정보활용지원센터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 분야에 필요한 주소정보 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주소 관련 산‧학‧연‧정의 정보 공유 및 협력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이번에 새롭게 구축‧제공되는 주소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주소정보 사용법을 홍보하고, 주소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나아가 공공 및 산업 등 사회 각 분야를 118개 분야로 구분, 3년 단위로 주소정보 활용 실태 조사를 실시한다.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 사업과의 시너지
지난 4월 행정안전부는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 구축' 1단계 사업자를 선정 소식을 전한 바 있다.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 구축 사업은 전국 245개(행정시 포함) 자치단체와 1,000여 명의 지방공무원이 도로명주소 부여·관리에 사용하는 ‘주소정보관리시스템’을 개편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먼저 1단계 사업을 통해 그간 자치단체 도로명주소 담당자가 수기로 처리해 왔던 주소 업무를 전산화해 지능형 업무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도로명주소법 개정에 따라 새롭게 도입되는 입체주소 체계를 시스템에 구현, 지금까지 지상도로와 건물 출입구에만 부여해 왔던 도로명주소를 건물 내부 동·층·호, 지하상가, 입체도로 등 사물, 공간 등에 확대 부여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개발한다.
아울러 정부는 1단계 사업을 통해 노후화해 성능이 미흡하고 장애가 자주 발생하는 주소 관련 자치단체 전산 장비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재구축, 주소정보 관리·분석을 위한 고성능의 기반 시설을 갖춘다. 이 같은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 1단계 사업은 이번 주소정보활용센터 운영계획 추진을 위한 핵심 기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2·3단계 사업에서는 ▲최신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주소 관리 업무 혁신 ▲주소정보 제공 및 활용체계 개편 ▲현장 행정 시스템 개선 ▲자치단체 데이터 통합·이관 등 지난해 정보화전략계획 수립(ISP) 당시 확정한 연도별 목표과제가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즉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은 주소정보활용센터와 '주소체계 체계화·고도화'라는 목표를 같이하는 '짝꿍' 사업인 셈이다.
주소정보 체계화, 일상·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주소정보 체계화는 일상생활 속 편의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대표적인 예가 '전기차 충전소'다. 앞서 서울시는 가로등형, 집중형 충전시설 등 옥외 설치 19기를 포함한 91기의 충전기에 사물주소를 적용했다. 사물주소가 부여된 전기차 충전소에는 이동 중에도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주소판을 설치했으며, 특히 야간 이용이 많은 충전소의 경우 태양광 LED 사물주소판을 설치해 야간 주행 중에도 인식이 원활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오는 8월까지 옥외 급속충전기 200기에 주소를 부여하고, 길도우미앱(티맵)과 충전플랫폼(티비유-일렉베리)에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이어 내년 6월까지는 모빌리티사, 충전 플랫폼사와 기술 협력을 통해 건물 내 급속충전기를 포함한 총 1,800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 길도우미앱에 반영할 예정이다.
3차원으로 고도화된 주소 체계는 IoT(사물인터넷), 실내 내비게이션, 드론 배송, 자율주행 등 4차 산업 핵심 기술 발전의 ‘발판’ 역할도 수행한다. 대표적인 예로 '드론 배송'이 있다. 국내 드론 배송 시장은 현행 주소 체계의 한계로 정체 상태다. 하지만 차후 입체주소 체계가 도입되고 주소정보가 체계화할 경우, 정확한 배송지 지정을 통해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되어 빠르게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자율주행 사업 역시 주소정보에 큰 영향을 받는다. 기존 주소 체계에서 실내 주차장은 건물의 일부분으로 취급되어 별도 주소와 전자 지도가 없었다. 차량이 이동할 정확한 위치를 지정해야 하는 자율주행 기반 서비스가 사실상 불가능했던 셈이다. 하지만 입체주소 체계가 도입될 경우 건물에만 부여하던 주소를 주차면 등 세부 시설물에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한층 다양한 기술적 도전이 가능해진다.
주소정보의 체계화는 국민 편의성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첨단 사업의 발전 기반을 마련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행안부의 일관된 주소정보 관련 정책이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정체되어 있던 국내 첨단 사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일상 속에서 빛을 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