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미국 따라 독일도 경제 침체의 늪으로 빠져드나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수정

독일의 3월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3.4% 감소했으며 이는 12개월 만에 최대치다. 설상가상으로 독일의 GDP 성장률은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되는 분위기다.

독일의 경제 '적신호'는 작년부터 예상되어왔으나, 독일의 경기 침체가 러·우 전쟁, 미국의 대중 제재, 미국 자체의 경기 침체 등 복합적인 요인이 맞물려 점차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12월 크게 떨어졌던 산업생산 증가율이 올해 초 잠깐 반등했다가 다시 3월부터 하락세로 돌아섰다.

독일, 두 분기 연속 GDP 저조로 불황 전조

미국에 이어 독일까지 불황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독일 연방통계청은 현지 시각 기준 8일 3월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3.4% 감소했다고 전했다. 올해 1월 3.7%, 2월 2.1% 잠시 호조세를 보인 뒤 근 3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온 것이다. 감소 폭은 지난해 5월(3.7% 감소) 이후 12개월 만에 최대치다.

생산 부문의 경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생산 감소 폭은 6.5%로 가장 컸다. 건설 부문 생산은 4.6%로, 기계·장비 생산은 3.4%로 감소했다. 산업 수요를 반영하는 산업 주문은 같은 달 1.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글로벌 팬데믹이 있었던 2020년 4월 이후 월 기준으로 최대 감소 폭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제조업 또한 하반기 실적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각에서는 독일의 전반적인 기업 활동이 둔화하고 있는 만큼 오는 25일 발표될 1분기 GDP 증가율이 0보다 낮아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만약 예측에 따라 GDP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면 지난해 4분기(-0.5%)에 이어 두 분기 연속 역성장하는 셈이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기술적 경기 침체, 즉 불황에 들어선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미 CNBC 방송은 독일의 경기 침체가 유로존 전체의 GDP 증가율을 끌어내렸다고 보도했다. 유로존의 1분기 GDP 증가율 예비치는 0.1%로, 전문가 컨센서스인 0.2%를 밑도는 수치다.

네덜란드 은행 ING의 카르스텐 브제스키 이코노미스트는 “강력한 수요 유입이 없는 가운데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산업재고가 줄어들고 전례 없는 가장 공격적인 긴축 정책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미국 경제 둔화에 따른 수출 타격도 예상된다”고 말했다.

사진=prexels

작년부터 계속 울려왔던 독일의 경제 위기 '알람'

독일의 경제 침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계속해서 들려왔다. 특히 올해 1분기의 경우 0% 저성장이 예고되면서 일각에서는 브렉시트 이후 EU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는 독일의 EU 탈퇴에 대한 여론의 목소리가 높아져 왔다.

이뿐만 아니라 지난 2022년 10월 독일 경제부는 다가오는 2023년에 독일 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예견하기도 했다. 당시 독일 당국은 2023년 GDP 증가율이 -0.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예측된 1분기 GDP 증가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작년 예측이 현재 정확히 맞아 들어가고 있는 셈이다.

특히 로베르트 하베크 독일 부총리 겸 경제·기후보호부 장관은 2022년 10월 당시 에너지 원자재값이 오르고 식료품값이 급등하면서 독일 정부의 물가상승률이 2023년 7%를 기록할 것으로도 전망했다. 암울하게도 2023년 4월 기준 독일의 물가상승률은 7.2%로, 하베크 부총리의 전망마저 현실로 나타났다.

독일·중국·미국의 경제 위기는 곧 글로벌 경제 위기

독일의 산업 경쟁력 악화의 가장 큰 이유는 장기화되고 있는 러·우 전쟁 때문이다. 독일은 1990년대 이래 글로벌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과거의 사회주의권과 네트워크를 활발하게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유럽이 우크라이나 전쟁의 폭풍에 빠져들면서 독일 또한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독일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가 매우 높기에 대(對)러 제재로 인해 큰 시름을 앓고 있다.

현재 중국 또한 지정학적 고립으로 인해 반도체 산업의 향방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아울러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로 반도체 생산량도 크게 줄어드는 추세다. 심지어 부동산·건설 부분이 후퇴하면서 재정적 대응 능력마저 제약되고 있다.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한 지방정부의 인프라 투자가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독일, 중국만 경제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현재 미국은 통화 긴축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연착륙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는 분위기다. 실제 연준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은 실리콘밸리의 ‘자금줄’ 역할을 했던 SVB의 뱅크런을 야기했고, 해당 여파로 뉴욕의 시그니처뱅크 및 크레디트스위스와 같은 유럽 은행의 유동성 위기를 초래했다. 이는 은행들의 대출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한 데다, 일반적으로 시차를 두고 반영되기 때문에 올 하반기 역시 침체가 예상된다는 게 금융 업계 전문가들의 논리다.

경제 강대국인 미국, 독일, 중국이 경제 침체 위기 국면에 접어들자 일각에서는 글로벌 경제 위기에 대해 대비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경제 침체 위기가 경제·정치·외교 등 복합적 이유로, 그중에서도 장기화되고 있는 러·우 전쟁으로 인해 찾아오고 있는 만큼 전쟁 종식이 되지 않는 이상 이에 대한 해결책을 내기에는 쉽지 않아 보인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이효정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지식은 전달하는 정보가 아니라, 함께 고민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