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중국, 수출 및 외국인 투자 모두 ‘급감’, 미중 갈등에 오히려 ‘불황 위기’에 직면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한세호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세상에 알려야 할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정보는 물론 재미와 인사이트까지 골고루 갖춘 균형 잡힌 기사로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중국 산둥반도 남부 칭다오항 국제 터미널에 정박해 있는 컨테이너선/사진=중국 칭다오항 홈페이지

중국의 수출액과 외국인 투자액이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리오프닝을 통해 경제 회복을 기대했으나 오히려 경기는 둔화하고 있는 셈이다. 일각에선 미중 분쟁의 결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향후 우리 경제에도 ‘반도체 수출 악화’ 등의 악영향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리오프닝에도 부진한 흐름 계속되는 중국

중국 해관총서(관세청)는 13일 중국의 6월 수출액이 2,853억 달러(약 361조원)로 전년 동월 대비 12.4%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7.5%를 기록했던 지난달과 시장 예상치 -9.5%를 모두 하회한 수준으로, 2020년 1~2월(-17.2%) 이후 40개월 만의 최저치다.

내수 부진에 따라 수입액도 전월과 시장 전망치를 모두 밑돌았다. 중국의 6월 수입액은 전년 동월 대비 6.8% 감소한 2,147억 달러(약 271조원)로, 지난해 10월부터 9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6월 무역수지는 706억 달러(약 89조원)을 기록하며 또다시 시장 전망치(약 939억 달러)를 하회했다.

한편 외국인 직접 투자액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로디엄그룹의 분석에 따르면 중국 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올해 1분기 200억 달러(약 25조3,54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1,000억 달러(약 126조 7,700억원) 대비 1/5 수준이다.

중국 정부도 최근의 부진한 흐름을 인정하는 분위기다. 뤼다량 해관총서 대변인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경제 회복이 부진했고 예측이 어려운 부분이 다소 있었다”며 “주요국의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계속되는 지정학적 충돌 등을 고려할 때 중국 대외 무역의 안정적인 성장이 당초 예상보다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깊어진 '미중 갈등'에 경기 반등 가능성 낮아져

수출 규모 축소와 외국인 직접 투자액이 동시에 감소하는 원인을 두고 현재 진행형인 미중 갈등을 빼놓고 설명하긴 어렵다. 양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자국에 유리한 세계질서를 재편하려는 시도를 보여왔고, 최근에는 그에 따른 결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미국은 지난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등 주요 경제안보 제도를 출범하면서 바이든식 중국 견제와 경제안보 조치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중국도 이에 질세라 정부 주도 아래 외국 기업에 대한 불시 조사와 규제 등을 강화하며 역공세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의 미국의 위협 차단에 초점을 둔 정책들이 중국 경제 성장을 크게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 보도를 통해 “시진핑이 중국 경제의 핵심적인 엔진을 끄고 있다”면서 “시 주석 집권 이후 증가한 외국 기업 불시 조사와 기업인 구금 사례가 외국인 투자액이 급감한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달 1일부터 시행된 ‘반(反)간첩법(방첩법)’이 중국 시장을 조사하는 외국 기업의 일상적 비즈니스 활동 등을 스파이 활동으로 간주할 여지가 높아지면서 외국 기업들이 중국에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지속된 미중 갈등이 결국 중국의 ‘백기 투항론’으로 이어질 거란 전망도 나온다. 미국이 중국에 대한 광범위한 관세 폭탄을 투하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하는 카드가 마땅치 않은 중국이 장기 침체와 금융위기에 접어들면서 결국 백기투항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뒷받침해 주는 핵심 변수가 바로 중국의 높은 부채와 그에 따른 금융위기론이다. 실제로 현재 중국 지방정부와 기업 부문의 부채는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GDP 대비 정부부채는 76%로 지난 3년간 19%p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같은 막대한 금융 부채는 그동안 다수의 전문가들로부터 중국을 비롯한 글로벌 경제의 시한 폭탄으로 지적돼 왔다.

국내 2023년 1분기 실질GDP 성장률에서 순수출기여도가 최근 4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출처=한국개발연구원

중국 부진에 한국 경제 회복도 지연될 가능성 높아

중국의 경기 둔화와 미중 갈등 심화는 한국 경제에도 그리 반가운 소식이 아니다. 대(對)중국 수출은 그간 우리 경제 성장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 가운데 하나기 때문이다.

특히 미중 갈등에 따른 정세 변화는 국가 주력산업인 반도체 분야에 큰 타격을 미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전기차와 이차전지 등의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반도체가 불황을 겪으면서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9.1% 감소했다. 최근에는 중국의 리오프닝에도 IT 경기 부진과 글로벌 경기 위축 등이 겹치면서 감소세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이렇듯 미중 갈등은 국내 반도체 산업의 부진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 확산에 따른 IT 기기 수요 증가로 빠르게 회복했던 반도체 기업들은 지난 몇 년간 시설 투자와 함께 생산을 크게 늘렸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더불어 IT 기기 수요가 감소하자 재고가 쌓이기 시작했고, 여기에 중국 경기 침체까지 겹치면서 결국 과잉생산과 수출 문제가 동시에 부진을 키우고 있다.

올 하반기 국내 경제 전망도 여전히 어둡기만 하다.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 부진은 완화되고는 있지만,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반도체 부진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도체 수요 회복 시기와 중국경제 회복의 파급 정도 등이 우리 경제의 성장세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는 전문가들도 적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관계자는 “2023년 하반기에 반도체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지 못할 경우 우리 경제의 회복도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중국경제의 회복이 중국 내 서비스업에 국한되고 투자 부문으로 파급되지 못할 경우 우리 경제에 대한 긍정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한세호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세상에 알려야 할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소식을 전하겠습니다. 정보는 물론 재미와 인사이트까지 골고루 갖춘 균형 잡힌 기사로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