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온라인 홈 트레이닝 플랫폼 QUAT(콰트)로 잘 알려진 앱 개발사 엔라이즈는 9일 헬스 푸드 테크 스타트업 프레시코드의 지적재산권(IP)을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는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의 시너지를 활용해 건강 및 웰니스 분야로 엔라이즈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프레시코드, 폐업했지만 브랜드 가치는 남아
프레시코드는 설립 5년차에 회원 수 20만 명을 돌파하며 건강 푸드 테크 업계에서 빠르게 입지를 다졌다. 2021년까지 누적 2백만 개의 샐러드를 판매해 가능성을 입증했다. 그러나 유망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어려움에 시달렸고, 결국 계속된 손실과 자금난으로 지난달 파산을 선언했다.
9일 엔라이즈는 이번 인수로 프레시코드가 보유한 △상표 △특허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에 대한 권리를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프레시코드의 IP 경쟁력을 활용해 커머스 영역에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운동을 넘어 건강한 식사 문화까지 제공하며 콰트를 ‘건강관리 슈퍼앱’으로 육성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트니스 트레이닝과 영양가 있는 식단을 결합한 총체적인 건강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는 포부다. 엔라이즈는 프레시코드의 200개 품목에 달하는 방대한 제품 라인업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건강식품을 출시할 계획도 진행 중에 있다.
이번 인수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운영 자산은 제외하고 프레시코드의 지적 재산만 인수했다는 점이다. 우선 기업의 지적 재산과 운영 자산의 차이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적 재산은 일반적으로 발명품, 문학 및 예술 작품, 디자인, 상징, 이름, 이미지와 같은 정신의 창작물을 일컫는다. 반면에 운영 자산에는 주로 기계, 건물, 재고와 같은 유형 자산이 포함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프레시코드라는 회사 전체를 인수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대신 IP 권리에만 초점을 맞췄다. 예를 들어, 삼성이 사업을 중단하자 하이닉스가 삼성의 공장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면 이는 운영 자산을 인수하는 것이 된다. 반대로 하이마트가 삼성전자 브랜드에 대한 권리를 구매하기로 결정하고 이후 자사 마트에서 삼성 이름으로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면 이는 지적 재산의 인수가 되는 것이다.
지적 재산이 가치 있는 이유
왜 기업이 회사 전체가 아닌 IP만 인수하는 데 관심을 가질까. 그 답은 오늘날의 디지털 시대에 IP가 지닌 엄청난 가치에 있다. 특히 기존 브랜드가 일궈둔 지적 재산은 평판, 고객 신뢰 등의 영역에서 상당한 시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프레시코드의 IP를 인수했다는 것은 엔라이즈가 프레시코드의 혁신, 특허 또는 브랜드 가치에서 잠재력을 발견했다는 의미다. 운영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책임이나 문제를 감수하지 않고도 프레시코드의 지적 성과를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김봉기 엔라이즈 대표는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며 “이번 지식재산권 확보로 콰트의 검증된 제품 개발력과 안정적인 유통망을 통해 프레시코드가 만들어온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식문화를 콰트스토어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 투자업계 전문가는 이번 인수를 두고 “일반적으로 IP는 무형자산, 그 중 상품화 시킬 수 있는 무형자산에 대한 막연한 정의로 돌아간다”며 “회사 브랜드 자체를 IP로 생각하는건 좀 더 나아간 관점”이라고 진단했다.
1990년대 이후 IP 관리는 특히 빠르게 확장하는 기술 및 문화 부문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부상했다. 이후 지적 자산 관리(IAM)는 다양한 전문 기업이 제공하는 전문 서비스로 발전했고 오늘날 IP 자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점 더 퍼지고 있다.
IP 자산은 경제에 기여하는 주요 요소로 환영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한국의 K-pop도 일종의 IP 자산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의 브랜드 가치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각국의 정책 입안자들은 기업과 마찬가지로 국가도 강력한 IP 포트폴리오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고 믿으며 경제 전략에서 IP 자산을 점점 더 강조하고 있다.
"국가 간 총성 없는 전쟁"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제5회 지식재산의 날’에서 “지식재산 위상이 갈수록 높아지면서 국가 간 총성 없는 전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며 “지식재산은 국익을 지켜내고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 성장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상상력이 지식재산을 통해 핵심 경쟁력이 되는 나라를 만들어 가겠다”고 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장담과 달리 현실은 초라하다. 지식재산 강국이 되기 위해선 지식재산 가치를 평가받고 거래할 수 있는 인프라가 먼저다. 하지만 국내엔 전무한 실정이다. 지식재산 금융 규모가 6조원에 달했다고 자찬하지만 대부분 부동산 담보대출이다. ‘무늬만 지식재산 금융’이라는 지적이다. 지식재산 권리화의 최전선에 있는 변리사의 위상도 초라하다. 변호사의 자문역에 그치는 것이 현실이다.
유럽연합(EU)은 독일 프랑스 등 주도로 올해 ‘통합특허법원(UPC)’을 신설하면서 변리사가 특허침해 소송을 변호사 없이 단독 수행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우주, 반도체, 양자기술, 원자력 등 국가 흥망을 가를 기술 패권 전쟁 시대다. 기술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지식재산 확보를 위해 어떤 법적, 제도적 인프라가 필요한지 고민해야 할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