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시중은행 전환한 대구은행, 신용 리스크·건전성 관리는 과제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

수정

7번째 시중은행 인가, 32년 만에 새 시중은행 탄생
금융위, 은행권 경쟁 촉진해 독과점 개선효과 기대
인터넷銀·지방銀 장점 결합, 중금리 대출시장 공략
dgb_20240515

대구·경북권을 거점으로 하는 지방은행인 DGB대구은행이 '전국구'를 영업 단위로 하는 시중은행으로 전환한다. 1992년 평화은행 인가 이후 32년 만에 새로운 시중은행의 출범이자 신한·우리·하나·한국씨티·KB국민·SC제일은행에 이은 7번째 시중은행이다. 지난해부터 금융당국은 은행권의 독과점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 신규 은행 인가를 추진해 왔다. 대구은행이 중금리 대출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만큼 신용 리스크 관리가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위,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인가

16일 금융위원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7월 정부는 은행업권의 경쟁을 촉진하기 위해 지방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대구은행이 그 첫 사례가 됐다. 이날 금융위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외부평가위원회 심사 등을 거쳐 자본금, 대주주, 사업계획의 타당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인가 요건을 모두 충족한 것으로 판단했다.

시중은행 인가 요건은 최소 자본금 1,000억원, 비금융주력자 주식보유한도 4%다. 지방은행의 경우 최소 자본금은 250억원, 비금융주력자 주식보유한도는 15%다. 대구은행은 지난 2월 7일 시중은행 전환 신청 당시 자본금은 7,006억원, 4% 초과 보유 비금융주력자가 없어 요건을 충족했다. 금융위는 "지방은행과 시중은행은 차이는 법령상 비금융주력자 주식보유한도와 최소 자본금 요건뿐이지만 중요 사항의 변경인 만큼 법령상 모든 세부 심사 요건을 다 살펴봤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대구은행이 새롭게 진출하는 영업 구역을 중심으로 은행 간 경쟁을 촉진해 소비자 후생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미 은행업을 영위해 온 지방은행이 업무 영역과 규모, 지역을 확장하는 방식인 만큼 단시일 내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 입장에서도 '저금리 상품'에 대한 선택권이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구은행은 시중은행과 동일한 'AAA' 신용등급을 받고 있지만 채권을 발행할 때 '지방은행 디스카운트'가 적용돼 0.25%p 정도 높은 금리를 지불하고 있다. 하지만 시중은행으로 전환하면 지금보다 저렴한 가격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대출 금리 인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dgb_20240516
17일 황병우 DGB대구은행장이 영상을 통해 시중은행 전환에 관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DGB대구은행

국내 최초 지방은행에서 전국구 은행으로 재탄생

DGB대구은행은 1967년 10월 국내 최초의 지방은행으로 출범해 대구·경북권 대표은행으로 성장했고 이제 설립 57년 만에 전국구 시중은행으로의 도약을 눈앞에 두고 있다. 대구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 78조원으로 외국계 시중은행에 비견되는 규모로 성장했다. 신용등급도 대형 시중은행과 동일한 우량은행이다. 지난 2011년에는 DGB금융그룹을 출범, 종합금융그룹으로 성장했으며 최근에는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대구은행은 금융당국의 최종 인가가 결정됨에 따라 조만간 시중은행으로서의 영업 활동에 나설 방침이다. 먼저 전국구 은행으로 고객에게 새롭게 각인되기 위해 사명을 'iM뱅크'로 변경한다. 이와 함께 인터넷전문은행의 장점과 지방은행의 전문성을 갖춘 '뉴 하이브리드 뱅크(New Hybrid Bank)'를 새로운 비전으로 제시했다. 지방은행으로서 축적한 '관계형 금융'의 노하우 등을 기반으로 중신용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에 대한 여신 규모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기 위해 향후 3년간 수도권과 충청·강원 등에 영업점 14곳을 신설하기로 했다.

시중은행 전환 이후에도 대구·경북권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지속해서 노력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이날 인가 결정과 관련해 '본점은 대구광역시에 둘 것'을 부대조건으로 부과한 바 있다. 더불어 내부통제도 강화할 계획이다. 앞서 대구은행은 지난해 예금 연계 증권계좌를 무더기로 임의 개설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금융당국으로부터 3개월 업무 일부(예금 연계 증권계좌 개설) 정지와 과태료 20억원의 제재를 받았다. 이에 대해 금융위는 "대구은행에 내부통제 개선 사항의 이행 실태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요구했다"며 "보고 내용의 적정성을 점검해 필요시 보완·개선 등의 추가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용 리스크 관리' 시중은행 정착 성패 달려

특히 '중·저신용자 고객 확장'은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에 대한 성공 여부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중금리 대출 시장은 인터넷은행들이 사활을 거는 핵심 영역이기도 하다. 다만 최근 경기침체로 '중금리 시장'의 불확실성은 심화한 데 반해 연체율이 증가로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이 늘어나면서 인터넷은행들의 행보도 위축되는 상황이라는 게 금융권의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출이 증가할수록 연체율도 비례해서 증가하고 있다. 2023년 11월 기준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의 평균 연체율은 2.51%로 2022년 말 1.71%에 비해 크게 상승했다. 이 때문에 업계 관계자들은 대구은행이 중금리 대출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고도화된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대구은행은 "신용평가 모형을 전면 고도화하고, 시스템화한 여신심사체계를 도입하는 등 시중은행 전환 후에도 건전성 관리를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추겠다"고 강조했다.

최근 은행 간 대출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대구은행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대구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은 지난해 말 16.53%에서 올 1분기 말 16.4%로 1분기 만에 0.13%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CET1)도 0.08%p 내린 13.51%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올해 3월 기준 11조8,033억원으로 2023년 말 10조5,511억원과 비교해 3개월 새 11.9% 증가했다. 전년 동월 8조9,349억원과 비교하면 32.1% 증가한 규모다. 전체 원화대출 중 주담대 비중도 17.7%에서 21.2%로 3.5%p 증가했다.

가파른 대출 증가에 따라 연체율도 빠르게 늘었다. 지난해 1분기 0.27%였던 가계대출 연체율은 1년 새 0.20%p 오른 0.47%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충당금 전입액은 237억원에서 99% 늘어난 472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 연체율은 0.05%p 상승하고 관련 충당금 전입은 30% 증가에 그쳤다. 건전성 악화 우려에 대해 금융위는 "현재 대구은행은 자본적정성 관련 규제비율 대비 충분한 여유자본을 적립하고 있다"며 "시중은행 전환 후 DGB금융지주 증자를 통해 5년간 7,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할 계획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bank_20240517
지난해 7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은행권 경영, 영업 관행,
제도개선 방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은행권 과점 구도 깰 '금융 메기' 될 수 있을까?

은행권에서는 대구은행이 은행권의 과점 구도를 깰 '메기'가 될 수 있을 것인지를 두고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올해 3월 말 기준 대구은행의 원화대출금은 55조5,744억원으로 지방은행이 없는 충청·강원권의 경우 대구은행이 영업망을 확대하면 외국계 은행에 준하는 신규 대출처가 마련되면서 여·수신 경쟁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 정부의 기대대로 은행권 과점을 해소하는 데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부정적 견해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 독과점 완화에 조금의 도움은 될 수 있지만 독과점 이슈를 해결할 정도로 유효할지는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최근 대구은행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다고는 하지만 체급만 보면 시중은행의 6분의 1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실제 1분기 기준 대구은행의 총자본은 4조9,857억원이다. 반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총자본은 23조~36조원대로 대구은행의 5배가 넘는다. 1분기 기준 대구은행의 총자산 역시 79조6,291억원으로 400조~500조원대인 5대 은행의 6분의 1 수준이다. 자산규모가 가장 작은 NH농협은행의 410조2,298억원과 비교하면 약 20%에 불과하다.

이는 오히려 점포가 없는 인터넷은행과 비슷한 수준이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1분기에만 70만 명 이상의 신규 고객을 끌어모으며 고객 수 2,300만 명을 넘어섰다.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8.8% 늘어난 1,484억원을 달성하며 1,5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대구은행을 바짝 뒤쫓고 있다. 더욱이 신규 영업점을 늘린다고 하더라도 지방 소재 기업인 대구은행이 주요 고객이 몰려있는 수도권에서 얼마나 경쟁력을 발휘할지도 미지수다.

Picture

Member for

1 month 1 week
Real name
김세화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국내외 이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분석을 토대로 독자 여러분께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