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연간 목표 아래까지 미끄러졌다" 中, 2분기 경제성장률 4.7% 기록
Picture

Member for

2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수정

中 경제, 지난 2분기 4.7% 성장하는 데 그쳐
내수 부진·부동산 침체 등 구조적 문제 여전
'연 5%' 경제 성장 목표 달성 어려울 수도
china 20240716

중국의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국내총생산 증가율)이 시장 기대를 밑돈 것으로 확인됐다. 내수 부진, 부동산 시장 침체 등 내부 악재의 압박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는 가운데, 최근 5% 이상까지 치솟았던 경제성장률이 3개 분기 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시장 기대 밑돈 中 2분기 성장률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로이터통신과 블룸버그통신이 시장 전문가와 함께 추정한 5.1%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자, 지난해 1분기(4.5%) 이후 최저치다. 지난해 3분기 4.9%(전년 동기 대비), 지난해 4분기 5.2%, 올 1분기 5.3% 성장하며 3개 분기 연속 회복세를 보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2분기 들어 급격하게 둔화세로 돌아선 것이다.

중국 당국은 경제성장률이 ‘단기 요인’으로 인해 위축됐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성장률 하락은) 극단적인 날씨와 홍수·재해 등 단기 요인의 영향이고, 현재 경제 운영에 어려움과 도전이 다소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라며 "특히 국내 수요가 부족하고 ‘국내 대순환(내수)’이 원활하지 않은 등의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는 경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장기적으로 긍정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기본 상황은 바뀌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는 중국 경제 지표 하락의 원인이 구조적 문제에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지방 정부의 채무 부담 가중, 내수 부진 등 고질적인 악재가 누적되며 경제 성장 전반이 둔화됐다는 지적이다.

내부 악재 누적되며 경제 성장 위축

실제 이날 발표된 6월 중국 소매 판매는 지난해 동기 대비 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시장 전문가 추정치(3.4%)를 크게 하회하는 수준이며, 2022년 12월(-1.8%) 이후 17개월 만에 최저치다. 미국의 경제 종합 미디어그룹 마켓워치는 중국의 내수 위축 상황과 관련해 “고용주가 급여를 줄이고 청년 실업률도 높기 때문에 가계가 적극적으로 소비에 나서기 어려운 구조”라고 분석했다.

수년째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부동산 시장 역시 하락세를 이어갔다. 6월 중국의 신규 주택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5% 감소했다. 2015년 6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부동산 투자 역시 올해 상반기 중(1~6월) 전년 대비 10% 감소하며 중국 경제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같은 기간 부동산 업체의 자금 조달도 23% 줄었고, 신규 주택 판매액 또한 25% 급감했다. 

지방 정부의 드러나지 않은 채무 역시 중국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자금조달용 특수법인(LGFV)을 앞세워 무작정 부채 규모를 키워온 지방 정부가 경기 침체로 인해 줄줄이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시각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4일(현지시간) 중국 안팎의 경제학자들을 인용해 공식 통계에 포함되지 않은 중국 지방 정부의 빚이 7조~11조 달러(약 9,680조~1경5,211조원)에 달한다고 추정했다. 이는 중국 중앙 정부 부채의 약 2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china deflation 20240716

1분기 '반짝 성장세' 끝났다

이처럼 내부적인 악재가 꾸준히 누적되자 일각에서는 중국이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달성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흘러나온다. 지난 3월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개회식에서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 목표치가 5% 안팎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지난해 3월 제시한 2023년 경제 성장 목표와 동일한 수준이다. 당시 리 총리는 “(성장률 목표치 설정 시) 국내외 형세와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했고, 필요와 가능성을 함께 따졌다”며 “올해 우리나라 발전이 직면한 환경은 여전히 전략적 기회와 리스크가 병존해 있고, 유리한 조건이 불리한 요소보다 강하다”고 자신한 바 있다.

이후 중국은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부 부양책을 발판 삼아 도약에 성공했다. 중국의 지난 1분기 경제 성장률은 5.3%로 시장 전망치인 4.6%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에 주요 기관들은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상향 조정했다. 지난 5월 골드만삭스는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5%로, 모건스탠리는 4.2%에서 4.8%로 상향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치는 4.7%에서 4.9%로 조정됐으며,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전망치를 4.6%에서 5%로 올려 잡았다.

문제는 중국이 1분기의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장 전문가는 "1분기 '반짝 성장'을 견인했던 중국 제조업은 최근 들어 성장이 점차 둔화하고 있다. (1분기와 같은) 성장세를 이어가기는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며 "2분기 경제성장률은 중국의 현재 침체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는 지표다. 극적인 변화가 생기지 않는 한 올해 중국이 5% 이상의 뚜렷한 경제 성장을 기록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Picture

Member for

2 months 4 weeks
Real name
김서지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