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원가 상승 '직격탄', 주요 건설사들 3분기 실적 곤두박질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원가 상승에 발목 잡힌 건설사들
현대건설 영업이익 반토막, 대우건설은 67% 급감
실적 견인했던 주택시장도 위축, 내년 반등 불투명
construction_3Q_PE_20241101

부동산 시장 침체에 원자재 가격 상승까지 맞물리면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3분기 실적이 줄줄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원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추세인 만큼 당분간 실적 부진을 벗어나기는 어렵단 관측이 나온다.

국내 주요 건설사 실적 '줄하락'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건설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1,1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1%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해도 22.4% 줄어든 수치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3분기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22.1% 줄어든 2,36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같은 기간 HDC현대산업개발의 영업이익 또한 23.5% 감소한 475억원을 기록했다. 두 회사 모두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율이 두 자릿수를 보였다. 대우건설 역시 3분기 영업이익이 62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2% 감소했다. 이는 주요 건설사 중 가장 큰 감소폭이다.

건설사 실적 하락의 주된 원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이다. 현대건설은 이번 실적 발표 후 보도자료에서 "원자잿값의 지속 상승과 안전·품질 투자비 반영 등의 영향으로 원가율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우건설도 실적 감소 원인에 대해 "원가율 상승과 일부 현장의 추가 원가 반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건설사들도 사정이 비슷하다는 것이 업계 얘기다.

건설공사비지수 30% 이상 급등, 원자재가·임금 상승 영향

실제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통계에 따르면 올 7월 기준 건설공사비지수는 130.10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가 발발했던 2020년 7월의 건설공사비지수는 99.31에 불과했지만 이후 112.51(2021년 7월), 125.01(2022년 7월), 127.33(2023년 7월) 등으로 꾸준히 오르더니, 결국 4년 사이 30% 이상 상승하게 됐다. 특히 올 2월부터는 130대의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 같은 건설공사비지수 상승에는 자재가격 인상과 함께 임금이 오른 것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대한건설협회의 ‘2024년 하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에 의하면 전체 127개 직종의 일 평균 임금은 27만4,286만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1.29% 상승했다. 공사 현장의 일 평균 임금은 3.02%(2022년 1월ㆍ직전 분기 기준), 2.42%(2022년 9월), 2.49%(2023년 1월), 3.95%(2023년 9월), 1.99%(2024년 1월) 등으로 매 반기 꾸준히 오르고 있다.

이렇다 보니 건설 공사비를 둘러싼 발주자와 시공사 간 분쟁도 끊이지 않는 분위기다. 건설원가관리 전문기업 터너앤타운젠드코리아가 시행사·정비조합·기업·자산운용사 등 발주자 2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발주자들이 최근 5년간 진행한 74건의 프로젝트 중 52건(70%)에서 건설사가 총 공사비의 10% 이상을 물가상승 보상금으로 요구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총 공사비의 5% 이하 및 5~10%를 물가상승 보상금으로 요구한 프로젝트가 각각 11건(15%)이었고 10~15% 증액 요구가 19건(26%)으로 가장 많았다. 15~20% 및 20% 초과 증액 요구는 각각 15건(20%), 18건(24%)이었다.

construction PK 20240704 001 img

국내 건설업, 3가지 악재 해결 못 하면 생존 불가

전문가들은 건설업계의 업황 악화가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원가 상승세가 여전한 데다 최근 주택시장까지 급격히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간 건설시장 실적을 견인한 국내 주택시장의 규모는 2015년 이전까지는 20조원 내외였으나, 2020년 이후 80조원 규모로 급격히 확대했다. 지난 10년간 건설기업체 수도 9만9,000개 수준에서 15만8,400개 수준으로 늘었다. 이에 따라 1사당 평균 매출액도 종합건설사는 2010년 125억9,000만원 수준에서 77억9,000만원, 전문건설사는 17억2,000만원에서 11억9,000만원 수준으로 급감했다.

건설업계 내부에서는 국내 건설 산업이 현재 처한 위기를 해결하지 못하면 생존 자체가 어려울 것이라는 경고도 나온다. 서울대학교 이복남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교수는 "국내 건설은 3고(금리, 물가, 환율), 3저(생산성, 기술, 수익성), 3불(부정, 불신, 부실)이라는 3대 악재로 큰 위기에 빠졌다"고 진단하며 "이 3가지를 해결하지 못하면 생존하기가 어렵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건설에는 구심점이 없으며, 발주자의 역할과 책임이 실종된 현실, 공학기술이 외면받는 현장, 공학보다 기능 만능주의에 매몰된 현장 등으로 수명이 다한 생태계"라고 비판하며 "국가 차원의 건설 비전과 목표, 전략 수립을 민간 단체가 주도한 후 국가·산업 차원으로 이슈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Real name
임선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