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가파르게 증가하는 캐나다 우라늄 생산량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공급 부족 고려한 움직임 트럼프 '25% 관세' 대응 카드로도 활용 가능해
캐나다 정부가 우라늄 생산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우라늄 공급 부족 우려가 가시화한 가운데, 자체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해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우라늄 생산량 늘리는 캐나다 기업들
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캐나다 최대 우라늄 기업 카메코(Cameco)는 지난해 캐나다 우라늄 산업 중심지 북부 서스캐처원주(州)의 두 광산에서 1만6,783톤(t)에 달하는 우라늄을 생산(U3O8 기준)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년 대비 약 33%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카메코는 서스캐처원주 맥아더 리버(McArthur River) 광산 생산량을 현재 대비 3분의 1 이상 확대된 연간 1만1,340톤으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투자은행 RBC캐피털마켓에 따르면 현재 카메코 외로도 데니슨마인스(Denison Mines), 오라노캐나다(Orano Canada), 팔라딘에너지(Paladin Energy), 넥스젠에너지(NexGen Energy) 등 다수의 캐나다 우라늄 기업이 광산 개발·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넥스젠은 서스캐처원주 북부 아타바스카 분지에 개발 중인 룩1(Rook1) 광산이 향후 5년 내에 카자흐스탄 생산량을 넘어설 것이라는 야심 찬 목표를 제시했다. 해당 광산에 16억 달러(약 2조3,4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 연간 1만3,608톤 이상의 우라늄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현재 글로벌 우라늄 생산량의 약 5분의 1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외로도 데니슨의 휠러 리버(Wheeler River) 프로젝트, 팔라딘에너지의 패터슨레이크(Patterson Lake) 프로젝트 광산 등 역시 총 연간 최대 8,165톤의 우라늄을 생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기업들의 생산량 확대 기조에 힘입어 캐나다 우라늄 생산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매년 두 자릿수 증가율을 지속하고 있다.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캐나다의 2023년 생산량은 전년 7,380톤에서 58% 급증한 1만1,657톤을 기록했다. 캐나다 정부는 2035년 우라늄 생산량은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영향 미쳐
이 같은 캐나다의 우라늄 생산량 확대 기조의 배경에는 '지정학적 긴장'이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 이후 서방국들은 러시아산 우라늄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적인 우라늄 생산량을 확대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텍사스·와이오밍·애리조나·유타주 등지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치되던 우라늄 광산을 재가동했으며, 전 세계 우라늄 매장량 중 4분의 1을 보유하고 있는 호주에서도 최근 들어 우라늄 생산 확대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아울러 러시아가 4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우라늄 농축 공정도 점차 서방으로 이동하는 추세다. 프랑스의 오라노는 17억 유로(약 2조5,700억원)를 투입해 새로운 우라늄 농축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생산 목표 시기는 2028년이다. 미국도 작년 10월 자국 기업을 포함한 서방 기업들과 소형모듈원전(SMR)에 쓰이는 고순도저농축우라늄(HALEU) 공급 계약을 맺었고, 최근 기존 원전용 핵연료 조달 계약도 제안했다.
우라늄으로 트럼프 '관세 폭탄' 대응?
한편 일각에서는 캐나다의 우라늄 생산 확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장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지난해 11월 트럼프 당선인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1월 20일(취임일)에 나의 첫 번째 행정명령의 하나로서 미국으로 오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모든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서류에 서명하겠다”고 밝혔다. 무관세가 적용되는 자유무역협정(FTA)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무시하고 관세 강화를 시사한 것이다.
이에 캐나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에 '맞불'을 놓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달 블룸버그통신은 캐나다가 우라늄, 석유, 칼륨 등 미국에 수출하는 원자재 일부에 수출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캐나다 정부 내부 논의에 정통한 관계자들을 인용해 수출세 부과는 미국을 압박하는 캐나다의 최후 수단이며,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와 특정 캐나다 제품에 대한 수출 통제가 우선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