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멕시코만 명칭 변경부터 파나마 운하 통제까지, 트럼프의 '자국 우선주의' 야욕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美 정부·기업, 멕시코만 '미국만'으로 표기 예정
캐나다, 파나마, 그린란드 등에도 '트럼프 그림자' 드리워
"파나마 운하 中 영향력 줄여라" 美, 파나마에 직접적 주문
구글 지도에 표기된 멕시코만/사진=구글 지도 캡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 행보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 그는 행정명령을 통해 멕시코만(Gulf of Mexico)의 공식 명칭을 '미국만(Gulf of America)'으로 변경했으며, 향후 파나마 운하·그린란드의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 및 경제적 강압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 같은 미국의 영토 확장 압박을 직면한 국가들은 즉각 반발 의사를 표명하고 나섰다.

트럼프, '멕시코만' 공식 명칭 변경

1일(이하 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연방정부 공식 지명 데이터베이스인 '지리명 정보 시스템'에서 미국 남동부와 멕시코의 공동 해역인 멕시코만의 공식 명칭을 미국만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첫날이었던 지난달 20일(이하 현지시각) 행정명령을 통해 멕시코만의 공식 명칭을 미국만으로 변경한 것에 따른 조치다.

일부 기관과 기업은 이미 변경된 명칭을 반영하고 있다. 미국 해안경비대, 민간 기상 서비스 기업인 '웨더 트랙 US' 등이 새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글로벌 IT 기업 구글 역시 자사 지도 서비스에서 해당 해역을 미국만으로 표기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글은 공식 명칭이 국가마다 다를 때에는 사용자의 지역에서 사용하는 이름으로 표출되며, 다른 나라의 사용자들은 두 명칭을 모두 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해당 해역은 미국에서는 미국만으로, 멕시코에서는 멕시코만으로 표기될 예정이다. 이외 국가의 사용자들에게는 두 이름이 병기된 화면이 노출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해역 명칭 변화에 멕시코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쉐인바움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자국 연안 12해리(약 22km) 내에서 어떤 명칭을 쓰든 상관없지만, 국제 사회에서 통용되는 멕시코만의 명칭을 변경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이라는 국호를 '멕시코 아메리카(Mexican America)'로 바꾸자는 역제안을 하며 반격에 나서기도 했다.

트럼프의 '영토 확장' 의지

향후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만 명칭 변경 외에도 미국의 이익을 위한 공격적인 대외 정책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캐나다에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어떤가”라며 합병 관련 압박을 가한 바 있다. 캐나다가 미국과 집단 안보 동맹을 맺은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도발적인 발언이다. 그는 “(캐나다와 미국 사이) 인위적으로 그은 국경선을 제거하면 어떤 모습이 될지 생각해 봐야 하며, 그게 국가 안보에 훨씬 좋다”고 주장했다.

파나마 운하 환수 및 그린란드의 미국 편입 문제와 관련해서도 잡음이 커지는 추세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2017~2021년) 때부터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가 미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주장해 왔으며, 지난해 대선 이후에도 여러 차례 미국의 경제·국가 안보를 위해 파나마 운하와 그린란드를 미국이 소유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지난달 7일 자신의 저택이 있는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는 파나마 운하·그린란드의 통제권 확보를 위해 군사 또는 경제적 강압을 배제할 것이냐는 질문에 ”두 사안 어떤 것에 대해서도 나는 확언할 수 없다“고 답하기도 했다.

당시 그는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장악하고 있는데, 미국이 운하를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과 무역 시장에서 갈등을 빚고 있는 중국이 파나마 운하 인근의 주요 항구와 시설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그린란드에 관해선 “주민들이 미국으로의 편입 투표에 나설 경우 덴마크 정부가 이를 방해한다면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덴마크가 그린란드에 대해 법적 권리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있다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해 그것을 포기해야 한다”고 했다.

파나마 운하 관련 압박 거세져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파나마 운하에 대한 미국의 압박은 한층 거세지는 추세다. 2일 AP통신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이날 낸 성명에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파나마 측에 중국의 운하 통제력이 위협적이고, 현 상태를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루비오 장관은 즉각적인 변화가 없다면 미국이 조약에 따라 권리를 보호하는 데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루비오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첫 해외 방문으로 파나마를 찾아 호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을 면담했다.

이에 파나마는 운하 운영이 파나마의 주권 사항이라는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하며 미국의 압박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루비오 장관과의 면담 이후 "파나마 운하 통제·운영과 관련한 주권은 (외국 정부와의) 논의 대상이 아니다"라면서 "운하는 파나마가 운영하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이날 대화에서 미국이 무력 조처를 암시하는 등의 "실질적 위협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에 더해 물리오 대통령은 루비오 장관과 '파나마 운하 인근의 항구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고도 밝혔다. 이는 파나마 운하 양 끝단에 있는 2개 항구(발보아·크리스토발)에 대한 언급이다. 해당 항구는 중국 관할하에 있는 홍콩계 CK 허치슨 홀딩스 자회사가 운영하는 곳으로, 미국은 CK 허치슨과 중국의 관계로 인해 파나마 운하에서 보안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꾸준히 제기해 왔다. 파나마 당국은 이 같은 미국의 우려를 반영해 현재 CK 허치슨 홀딩스 자회사의 자금 흐름 등에 대한 강도 높은 감사를 진행 중이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