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10조원 자사주 매입하는 삼성전자, 시장은 "실효성 의문"
Picture

Member for

4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수정

삼성전자의 '소각용' 1차 자사주 매입, 17일 종료 예정
남은 7조원 규모 자사주 소각 여부 '불투명'
"오너 일가 지키기 위한 조치" 매입 취지에 대한 의구심 제기도

삼성전자가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을 순조롭게 이행하고 있다. 3조원 규모 1차 자사주 매입이 어느덧 마무리 국면에 접어든 가운데, 시장은 남은 7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 및 활용 방법에 이목을 집중하는 추세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가 추가 매입한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임직원 보상 등에 활용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1차 자사주 매입 마무리 국면

14일 투자금융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18일부터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 등 5개 증권사를 통해 자사주 매입을 진행 중이다. 이달 11일 기준 삼성전자는 신고된 5,014만4,628주 중 4,860만 주를 매입했으며, 체결률은 96.92% 수준이다. 우선주는 691만2,036주 중 669만 주가 취득됐으며 체결률은 96.79%다. 체결액은 보통주 약 2조6,480억원, 우선주 3,04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번 자사주 취득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11월 15일 발표했던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 중 1차분에 해당한다. 당시 회사는 향후 1년간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할 예정이며, 이 중 3조원의 자사주는 3개월 내 사들여 전량 소각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1차 자사주 매입은 이달 17일까지 진행되며, 이후 예정대로 모두 소각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업계에서는 조만간 삼성전자의 2차 자사주 매입안이 공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직 세부 매입 규모가 명확히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1차 매입 규모가 3조원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2차 매입 규모 역시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2차도 1차 자사주 매입과 비슷하게 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면서도 “자사주 매입과 관련한 변수를 전부 파악할 수 없다 보니 정확한 예상은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소각 않으면 어쩌나" 우려도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 계획의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실적과 주가가 나란히 악화하는 국면인 만큼, 자사주 매입보다는 유의미한 M&A(인수합병)나 경쟁사로 흩어진 기존 반도체 인력을 복원하는 데 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주가수익률은 마이너스(-) 32%를 기록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300조800억원, 영업이익은 32조7,300억원 수준이었다. 매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2022년(302조2,314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지만, 영업이익은 시장 예상치인 35조원을 밑돌았다. 

한편에서는 삼성전자가 추가로 매입한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임직원 보상에 활용, 주주가치 제고라는 기존 목적을 외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시장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최근 임원 초과이익성과급(OPI)의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겠다고 밝힌 상태"라며 "지난 2018년 자사주 소각을 실시한 이후로 추가 자사주를 취득하지 않아 현재 보유 중인 자사주가 없는 만큼, 이번에 매입할 자사주를 임직원 보상 수단에 활용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짚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한 뒤 소각하지 않으면 유통 주식 수가 유지되거나 증가하며 주당 가치가 희석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일반주주의 자금을 활용해 매입한 자사주를 임직원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할 경우, 기존 주주들에게 돌아가야 할 가치가 분산되면서 주주환원 효과가 반감될 위험이 있다. 

자사주 매입, 애초에 '왜' 했나

일각에서는 대규모 자사주 매각 계획의 근본적인 '취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우선 자사주 매입이 삼성전자의 여론 전환용 '꼼수'에 가깝다는 평가가 있다. 지난해 하반기 주가가 미끄러지며 시장 충격이 확대되자, 삼성전자가 여론을 진화하기 위해 부랴부랴 자사주 매입 계획을 내놨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주가가 4만원대로 내려앉으며 국내외 투자자의 압력이 커지자 서둘러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며 "당시 시장에서는 전량 소각 기대가 일었지만, 현금 흐름이 별로 없는 현 상황에 과연 삼성전자가 전량 소각을 결정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자사주 취득이 삼성 오너 일가에게 필요한 조치였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주가 하락으로 인해 오너 일가의 담보계약 평가가치가 훼손된 가운데, 삼성전자가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 방어 및 오너 일가 지분율 제고에 착수했다는 분석이다. 앞서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등은 상속세 납부를 위해 삼성전자 지분을 담보로 약 2조5,000억원의 주식담보대출을 받은 바 있다.

이들은 지난해 지속된 삼성전자의 주가 약세로 인해 줄줄이 추가 담보를 제공해야 했다. 우선 홍 전 관장은 지난해 11월경 한국증권금융과 체결한 담보 계약 2건을 유지하기 위해 123만4,000주를 추가 담보로 내놨다. 삼성전자 주가가 미끄러지며 대출금 3,850억원에 대한 담보유지비율(110%)이 미달된 것이다. 두 자매도 비슷한 상황이다. 이부진 사장의 경우 2023년 9월 1,500억원을 융통하기 위해 맺은 주식담보대출 계약에 발목을 잡혔다. 담보유지금액을 맞추기 위한 주가 마지노선이 6만3,000원 선으로 높기 때문이다. 이서현 사장이 지난해 7월 하나증권에서 받은 200억원 규모 대출의 담보유지비율 기준도 5만9,000원 선이다. 두 자매 역시 잔여 주식을 추가 담보로 제공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Picture

Member for

4 months
Real name
전수빈
Position
연구원
Bio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