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행동주의 펀드 돌턴, 금투세 폐지 등 韓 증시 분석
"저평가된 韓 증시, 상법 개정안은 소액주주에 기회"
4년 새 행동주의 펀드 표적 된 韓 기업 10배가량 증가

미국 행동주의 펀드가 "한국 주식이 '초특가 세일(deeply discounted)'에 돌입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코리아 밸류업 정책과 금융투자소득세 폐지가 맞물려 시장 환경이 개선되면서 저평가된 우량 기업을 중심으로 가치를 창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다. 이에 재계에서는 국내 기업이 행동주의 펀드의 타깃이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얼어붙은 공모주 시장, SGI서울보증보험 IPO도 '주춤'
'조 단위 대어' 케이뱅크는 상장 철회, 토스는 미국行
"예금보험공사가 물량 쏟아낼 텐데" 시장 우려도 여전

상장 재도전에 나선 SGI서울보증보험이 증권신고서 제출을 내년으로 미룬다. 공모주 시장에 찬바람이 몰아치며 증시에 신규 입성한 종목들의 주가가 줄줄이 미끄러지는 가운데, 케이뱅크·비바리퍼블리카 등 'IPO(기업공개) 대어'들의 상장마저 줄줄이 지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SGI서울보증보험이 고질적인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 우려를 해소하지 못할 경우 내년에도 증시 입성에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연준, 11월 FOMC에서도 스몰컷 단행
"금리 격차 줄어들었는데" 트럼프 당선 후 원·달러 환율 치솟아
환율에 주목하는 한은,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향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가 좁혀짐에 따라 한국은행의 운신 폭이 넓어진 가운데, 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사실상 작다는 평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후보가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치솟은 영향이다.

중국 합작법인 PZSS 매각 결정
철강 감산 기조에 투자자 물색 난항
성장 정체 극복 카드는 ‘인도’

중국 철강 시장이 기나긴 한파를 지나는 가운데 포스코가 시장 철수에 나선다. 1997년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에 설립한 스테인리스강 공장을 매각하면서다. 적자 사업 매각 등 포스코의 사업 재편이 속도를 높였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포스코는 인도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모습이다.

IFRS17 주요 계리가정 가이드라인 발표
해지율 현실화로 재무 건전성 제고 목적
보험사 ‘보험료 인상-판매 중단’ 딜레마

앞으로 보험사들이 저마다 유리한 방식으로 회계 규정을 해석하는 ‘고무줄식 회계’가 금지된다. 상품 해지율 등을 회계에 정확하게 반영하도록 금융당국이 미세 조정에 나서면서다. 일부 보험사가 성과를 부풀리기 위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가정을 적용했다는 판단에서 비롯된 조처로, 금융당국은 이를 통해 보험사 ‘옥석 가리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지난 8월부터 외국인 투자 순유출 3개월째 이어져
韓 떠난 자금은 대규모 부양책 발표한 中으로 몰려

쿠팡 김범석 의장, 내년 8월까지 약 5천억원 상당의 주식 매각 예정 발표
회사를 반석에 올려놓고 주식 매각하는 것에 책임 경영의 증거라는 평가
높은 눈 높이 맞춰주지 못한 인력들의 불만 많지만, 그만큼 책임감과 역량이 뛰어나다는 해석도
쿠팡 김범석 의장이 내년 8월까지 1,500만주, 약 5천억원 규모의 주식을 매도하고, 그 중 200만주를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지난 2010년 창업한 이후 14년 만이다. 지난 2021년 나스닥 상장 당시에 다른 관계자들과 투자자들이 모두 주식을 대규모로 매각하면서 주가가 대폭락했는데, 끝까지 참고 기다리다가 이제 분기별 영업이익이 안정적으로 나오는 상황, 인수했던 적자 기업 파페치의 영업손실이 0이 되는 시점을 눈 앞에 두는 수준으로까지 회사를 키우고 나서야 주식을 매도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 책임 경영의 산 증인이다.

5대 은행 보수적 기업대출 영업 확대
대기업 대출 20% 늘어난 반면 中企는 6% 증가
중기대출 연체율 늘자 채권 매각·상각 65% 급증

은행권이 대기업 대출을 확대하는 동안 중소기업 대출 문턱은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 중소기업의 연체 및 부도 위험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시중은행이 중소기업 대출에 더욱 보수적으로 접근하겠다는 기조를 밝히면서 향후 성장기업마저 자금을 융통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가산금리 공시 강화 추진
“은행 담합 불러올 수 있어” 지적도
기업 경쟁력 악화, 부작용 초래 우려

은행권을 향한 정치권의 압박이 갈수록 거세지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소비자들의 금융 부담을 줄이겠다며 은행의 가산금리 산정 내역을 공개하도록 하는 은행법 개정안을 들고나오면서다. 유사 횡재세 도입에 이어 가산금리 관련 규제까지 거론되면서 시장의 흐름을 거스르는 반(反)시장 정책이 과도하다는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다.
Pagination
- First page
- Previous page
- …
- 8
- 9
- 10
- 11
- 12
- …
- Next page
- Last page